2007.6.28(목)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007.6.28(목)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 우리공사에서 제공하는 가격동향 및 표준가격은 자유로이 인용 · 전재 할 수 있으나, 출처는 반드시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농산물
가격지수 : 107.92 전일대비 -0.29
《 약세 요인 》
○ 열매, 양념, 서양 채소류와 버섯류는 우천으로 판매부진, 전일재고 증가로 하락세
- 노각오이, 취청오이, 가지는 우천으로 판매부진, 양파, 파세리는 재고증가로 매수세 약화
- 생표고는 가평과 천안에서, 새송이는 진주와 청도에서 출하량 증가로 시세 하락
《 강세 요인 》
○ 뿌리, 잎 채소류와 서류는 반입량 감소와 상품성 향상으로 오름세
- 무, 열무, 배추는 전일 시세하락 영향으로 출하량 줄고 재고소진으로 중도매인 구매력 증가
- 고구마는 경기여주산 밤고구마 상품성 향상과 재고확보 위한 구매활발로 시세상승
◈ 고구마 감자류
가격지수 : 133.91 전일대비 9.44
◇ 고구마 - 오름세
- 금일 18톤 출하되면서 전일대비 18% 감소. 고구마는 여주 97%,
- 서산 3% 등 반입. 밤고구마 84%, 호박고구마 16% 차지
- 밤고구마는 여주산 4,500-35,000원, 호박고구마는 여주 4,000-18,500원
- 경기 여주지역 밤고구마 상품성 좋아 중도매인 구매력 증가
- 장마철 일반 가정용 간식 소비수요 증가로 전일 재고소진
- 상품 평균 21,067원으로 전일대비 14% 시세 상승하면서 오름세 거래
◇ 감자 - 약보합세
- 금일 503톤 출하되면서 전일대비 15% 감소.
- 수미종 감자는 당진 29%, 서산 13%, 보성 8%, 무안 4% 등 반입
- 당진 1,500-30,000원, 서산 2,000-35,000원, 보성 3,000-25,000원 거래.
- 우천으로 산지 작업 부진한 가운데 반입량 줄었으나 납품업체 주문 감소
- 유통업체 월말 세일행사용 주문 감소로 중도매인 구매력 저하
- 금일 상품 평균 13,221원으로 전일대비 4% 시세 하락하면서 약보합세
◈ 잎채소류
가격지수 : 115.56 전일대비 3.56
◇ 배추-내림세
- 반입량이 감소한데다 목요일 장마전선이 북상하면서 전국적으로 많은 비가 내린다는 기상예보로
구매량이 늘어 오름세
- 금일 반입량은 667톤으로 전일대비 1.4% 증가하였으며 영월 35%, 횡성 27%, 청송 11%,
평창 8%에서 출하됨
- 가격은 10kg그물망 기준 상품 4,493원, 보통 3,484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21.2%, 28% 상승함
- 지역별 단가는 청송 5,569원, 영월 3,900원, 평창 3,459원, 횡성 3,407원으로 청송지역 물량이
상품성이 우수해 높게 거래됨
- 장마철 기상변동이 심해 일별 가격 등락이 심하게 발생하고 있음.
- 작업전 기상예보와 도매시장 거래동향 등 가격 변수를 면밀히 검토해 출하시기를 조절하는 지혜가
필요할 듯
◇ 상추 - 강보합세
- 반입량은 전자경매 기준 71톤으로 전일보다 12.1% 감소함
- 주 출하지역은 경기 이천, 광주, 용인, 성남 등 경기도 일원과 충북 충주 등지이며,
- 품종별로는 적포기 54톤, 청상추 9톤, 적상추 5톤가량임.
- 적포기 전체 평균가는 3,580원이며, 이천 2,810원, 광주 4,270원, 용인 3,570원,
- 적상추 평균가는 2,560원이며, 남양주 3,080원, 용인 1,910원, 성남 2,130원,
- 청상추 평균가는 2,920원이며, 용인 2,050원, 광주 3,950원, 성남 2,880원에 거래됨
◈ 열매채소류
가격지수 : 83.1 전일대비 -7.08
◈ 뿌리채소류
가격지수 : 165.13 전일대비 21.71
◇ 무-오름세
- 전일 폭락세가 금일은 폭등세로 돌아섬
- 전일 가격 약세로 작업을 중단한 곳이 많아 반입량은 감소하였으나 목요일 중부지방을 중심으로
많은 비가 온다는 기상예보 수요는 증가함
- 금일 반입량은 437톤으로 전일대비 7.3% 감소하였으며 고창 24%, 태안 15%, 당진 13%,
무안 12%에서 출하됨
- 금주들어 부안의 물량감소가 두드러진 반면 고창은 증가함
- 가격은 18kg마대 기준 상품 14,840원, 보통 11,464원으로 전일대비 30.8%, 21.9% 상승해 오름폭이
크게 나타남
- 지역별로는 태안, 당진 등 충청지역이 상품성이 좋아 거래를 주도함.
◈ 양념 채소류
가격지수 : 100.68 전일대비 -7.66
◇ 생고추 - 내림세
- 소비가 부진하여 재고가 남는 악순환이 계속돼 하락세가 지속
- 생고추 전체 반입량은 전일보다 6.5% 감소한 217톤(전자경매기준)가량 반입.
- 품종별로는 청양 76톤, 일반풋고추 55톤, 꽈리 39톤, 홍고추 33톤 반입.
- 청양은 밀양 54%, 경북 예천 25%, 전남 광주 8%의 분포를 보임
- 청양(10kg 기준) 전체 평균 가격은 12,800원이며, 예천 17,130원, 광주 13,840원, 밀양 10,650원임
- 일반 풋고추는 공주(30%), 춘천(4%), 홍천(4%) 등에서 출하되며
- 일반 풋고추(10kg 기준) 전체 평균가는 10,560원이며,
-공주 11,510원, 밀양 7,760원, 홍천 12,890원, 춘천 15,840원 가량임.
- 꽈리고추는 충남 당진(55%)과 예산(41%)에서 주로 출하되며
- 꽈리(4kg 기준) 전체 평균 가격은 6,170원이며, 예산 6,770원, 당진 5,770원을 형성함.
◇ 양파 - 내림세
- 금일 563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24% 감소.
- 무안 60%, 신안 13%, 해남 7%, 부안 5%, 서산 4% 등 차지함
- 무안산 kg당 63-600원, 신안 147-367원, 해남 143-313원 거래.
- 장마로 인해 산지 작업 부진하면서 남부지방 출하량 크게 감소
- 전일 재고증가와 금일 우천으로 판매부진하면서 중도매인 구매력 저하
- 금일 상품 평균 293원으로 전일대비 8% 시세 하락하면서 내림세 거래
◇ 대파 - 약보합세
- 금일 183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9% 감소.
- 경기 구리 21%, 고양 16%, 남양주 14%, 포천 7%, 연천 5% 등 반입
- 구리 610-920원, 고양 670-850원, 남양주 630-920원, 포천 320-860원
- 중부지방 장마영향으로 작업 부진하여 경기지역 출하량 감소
- 우천으로 지방소매상 주문 감소, 유통업체 월말 세일행사 주문 감소
- 금일 상품 평균 834원으로 전일대비 2% 시세 하락하면서 약보합세
◈ 서양 채소류
가격지수 : 128.23 전일대비 -10.91
◇ 피망, 파프리카 - 내림세
- 금일 피망 반입량은 전자경매 기준으로 전일보다 11.2% 감소한 37톤가량 반입됨
- 품종별로는 청피망 27톤, 홍피망 10톤이며,
- 주 출하지역은 광주(26%), 나주(12%), 횡성(23%), 춘천(9%) 등지임
- 청피망 전체 평균가는 6,640원이며, 춘천 11,050원, 횡성 5,970원, 광주 7,630원, 나주 6,270원에 거래됨
- 파프리카는 전일보다 37.5% 증가한 27톤가량 반입됨.
- 품종별로는 빨강 12톤, 노랑 11톤 주황 4톤 가량이며
- 출하 지역은 남해(17%), 익산(11%), 강진(9%), 진천(9%) 등지임.
- 파프리카 전체 평균가는 11,480원이며, 남해 8,970원, 익산 12,670원, 강진 11,220원, 진천 12,330원임.
- 색깔별 평균 가격은 빨강 11,380원, 노랑 11,180원, 주황 12,630원임.
◇ 양상추, 브로코리 - 오름세
- 양상추 금일 반입량 법인 반입량 기준 전일보다 9.1% 감소한 46톤가량 반입됨.
- 강원 횡성 51%, 춘천 25%, 평창 11%, 충북 단양 4%의 분포를 보임.
- 양상추 전체 평균은 12,760원이며, 춘천 14,060원, 횡성 12,620원, 평창 13,660원에 거래됨
- 브로코리 주 출하지역(전자경매기준)은횡성(77%),제천(17%), 괴산(4%), 평창(3%) 등지이며
- 전자경매 기준 전체 평균가는 9,070원이며, 횡성 9,150원, 제천 9,270원, 괴산 11,800원에 거래됨
◈ 버섯류
가격지수 : 90.51 전일대비 -3.65
◇ 버섯류 - 약보합세
- 전일대비 2% 증가한 185톤 반입
- 장 형성 시간대의 우천으로 소비부진
- 일반소비자 수요 감소로 중도매인 재고량 증가
- 유통업체 위주로 납품 이뤄짐
◇ 표고 - 내림세
- 16톤 반입으로 전일대비 37% 감소
- 우천으로 인해 작업 부진해 충남 공주지역의 출하량이 큰 폭으로 감소함
- 경북 청도 13.7%, 충남 천안 12.8%, 경기 가평 8.7%, 경기 용인 7.3%, 경북 문경에서 6.8% 반입
- 강우량이 많아 습도가 높아지면서 표고 품질 저하
- 전반적인 상품성 하락으로 가격 내림세
- 상품 4kg 28,054원으로 전일대비 10% 하락
2. 수산물
가격지수 : 97.99 전일대비 -0.38
《 강세 요인 》
○ 생선류는 생물의 반입이 줄어 삼치, 병어, 고등어가 오름세에 거래되었고 주중반 급식 납품 수요도 증가
○ 조개류는 반입량이 바지락과 굴, 모시조개가 오름세
《 약세 요인 》
○ 생선류는 국내산 생물 반입 감소로 가격이 높자 수입 물량의 대체 소비 증가
○ 조개류는 굴, 바지락, 모시조개 외에 대부분 품목이 수입산 거래로 약세에 거래
○ 연체류는 국내산 생물인 오징어를 비롯한 대부분 품목이 매기부진으로 약세 형성
◈ 생선류
가격지수 : 83.57 전일대비 +0.54
《 강세 요인 》
○ 고등어, 삼치, 냉동삼치, 병어 강세
- 고등어는 전일대비 1톤 감소한 19톤으로 생물은 부산산, 수입산은 일본 및 대만산이었음. 국내산은 대고등어의 반입이 없어 중 ? 소 고등어가 주반입 오름세에 거래되었고, 수입산은 매기부진으로 내림세였음
- 삼치는 여수 및 부산산으로 전일대비 2톤 증가한 11톤이었음. 생물 삼치는 반입이 줄어 오름세였고 냉동물은 반입량 감소로 강세
- 병어는 여수와 충무산이 주반입되었음. 반입량 감소로 소품 위주로 거래되었고 전일대비 강보합세
《 약세 요인 》
○ 갈치, 생태 약세
- 갈치는 제주산으로 생물은 반입량은 어획부진으로 감소추세였고 전일 가격 상승에 따른 부담으로 중상품은 내림세였으나 하품은 오름세에 거래.수입산도 반입이 증가하여 내림세에 거래되었고 주수요처는 전문 요식업소였으나 급식 수요도 꾸준하여 냉동물의 거래도 꾸준하였음
- 생태는 일본산으로 반입량은 전일 수준인 11톤이었음. 기온 상승에 따른 매기부진과 전일 미판매분 증가로 내림세를 형성하였고 주수요처는 전문 요식업소였음
◈ 조개류 102.32 전일대비 +6.05
《 강세 요인 》
○ 바지락, 굴, 모시조개는 강세
- 굴은 3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1톤 감소. 통영(충무)산이며 산지작업 부진으로 반입량은 감소하여 오름세였으나 전반적으로 수요처가 한정되어 매기는 부진하였음
- 바지락은 7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2톤 증가. 겉망바지락은 태안(안면도)산으로 참바지락이 반입되어 선호도가 높아 오름세였고 수입산은 없었음. 봉지바지락은 반입 증가로 상품은 내림세, 중품은 오름세였고 국내산과 수입산이 동시 반입되었음
- 모시조개는 인천, 서산, 중국 수입산이 소량씩 반입 되었으나 포장규격이 일정치 않아 소포장 위주로 거래되었고 흑모시는 오름세였고 수입산 중간모시는 내림세. 고정수요처인 전문 요식업소 외에 일반 가정수요는 한산하였음
《 약세 요인 》
○ 새꼬막, 홍합, 동죽, 겉소라 약세
- 새꼬막은 순천산으로 8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1톤 감소. 반입량은 꾸준하며 일반 가정수요 보다는 요식업소에서 주로 소비되었고 기온상승으로 소비량은 전체적으로 감소 추세로 내림세
- 홍합은 6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2톤 감소. 마산, 여수산으로 전일대비 반입량은 감소, 다듬이 물량은 보합세에 거래되었고 일반 물량은 소폭의 내림세
- 동죽은 서산산으로 기상여건이 좋아져 반입량 증가로 내림세
- 겉소라는 군산, 서천산으로 반입량은. 소량이나 포장단위가 일정치 않고 등급간 가격차이도 컸음. 수요처 한정으로 매기는 부진하나 내림세였고 군산산 일부품목은 10kg포장품이 반입 되었음
◈ 연체류 110.74 전일대비 -7.26
《 강세 요인 》
○ 미더덕, 산낙지 강세
- 미더덕은 반입량 감소로 전일대비 오름세였고 수요처 한정으로 거래량은 많지 않았음
- 산낙지는 고흥산으로 반입 감소로 강세, 주소비처는 전문 요식업소였음
《 약세 요인 》
○ 생물오징어,문어,수입낙지, 우렁쉥이 약세
- 생물오징어는 23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3톤 증가. 기상이 좋아 출하지역 확산과 산지 조업 활발로 반입량은 증가. 체낙기 물량은 동해에서 주반입되었으나 체장은 작은 편이었고 서해,남해안산은 그물오징어로 등급간 가격차이가 컸으나 매기부진으로 내림세
- 문어는 포항, 속초산 중,소문어 위주로 반입되었으나 반입량 증가로 내림세
- 수입낙지는 4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2톤 감소. 일본산은 소량 반입되었으나 중국산과 같은 가격이었고, 중국산은 선도는 좋은 편이나 반입량 증가로 내림세
- 우렁쉥이는 통영산으로 씨알이 작고 반입량은 감소하였으나 매기부진으로 가격은 약세. 일본 수입산은 5kg상자당 14,000원선에 거래되었으나 거래량은 감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