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10.08(월)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007.10.08(월)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 우리공사에서 제공하는 가격동향 및 표준가격은 자유로이 인용 · 전재 할 수 있으나, 출처는 반드시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농산물
가격지수 : 126.45 전일대비 3.54
《 강세 요인 》
○ 잎, 뿌리, 양념, 서양 채소류와 버섯류는 주초 소매상 및 납품업체 주문 증가로 강세
- 시금치, 쑥갓, 무, 대파는 월요일 거래활발로 중도매인 구매력 증가하면서 시세상승
- 청피망, 파세리, 치커리, 생표고, 팽이버섯은 요식업소 주문 증가로 오름세
《 약세 요인 》
○ 열매 채소류와 서류는 산지 기상호조로 출하작업 활발, 반입량 증가하면서 약세
- 백다다기오이, 애호박은 날씨가 서늘해지면서 소비부진으로 매수세 약화되어 시세하락
- 고구마, 감자는 반입량 증가와 주말 재고가 늘면서 중도매인 구매력 저하로 내림세
◈ 고구마 감자류
가격지수 : 111.57 전일대비 -9.84
◇ 고구마 - 내림세
- 금일 143톤 출하되면서 전일 대비 33% 반입량 증가.
- 고구마는여주 16%, 서산 13%, 이천 12%, 익산 10%, 김제 7% 등 반입.
- 밤고구마는 여주 1,000-15,000원, 익산 2,000-14,000원,
- 호박고구마는 서산 1,000-15,500원, 태안 1,000-17,000원
- 충남지역 호박고구마 출하량 증가. 중도매인 구매력 저하로 약세
- 금일 상품 평균 11,217원으로 전일대비 17% 하락하면서 내림세
◇ 감자 - 약보합세
- 금일 253톤 출하되면서 전일대비 61% 반입량 증가.
- 수미종 감자는 평창 48%, 횡성 15%, 홍천 10%, 인제 10% 등 반입
- 평창 1,000-28,000원, 횡성 2,000-19,000원, 홍천 2,000-23,000원.
- 주초를 맞아 산지 출하량 증대로 강원지역 반입량 늘면서 매수세 약화
- 금일 중품 평균 13,476원으로 전일대비 7% 하락하면서 약보합세
◈ 잎채소류
가격지수 : 157.28 전일대비 8.58
◇ 배추-보합세
- 추초 이틀치 물량으로는 다소 적은 물량이 출하되었음에도 지난 토요일 가격이 너무 많이 올라
금일은 보합세
- 금일 반입량은 937톤으로 전일대비 57.9% 증가하였으나 전일이 토요일이었던 점을 감안하면
평일보다 조금 많은 수준임
- 출하지는 태백 26%, 평창 25%, 횡성 14%, 정선 11% 순으로 거의 모든 지역에서 출하량이 증가한
가운데 횡성의 반입량 증가가 두드러짐
- 가격은 10kg그물망 기준 상품 7,899원으로 0.7% 상승하였으나 보통 5,855원으로 2.2% 하락함
- 기온이 낮아지면서 결구가 상태가 좋아지면서 상품성은 호전됨
- 지역별 단가는 태백 5,850원, 평창 5,730원, 횡성 6,720원, 강릉 10,110원으로 안반데기 출하로
강릉의 거래가격이 현저하게 높음
◈ 열매채소류
가격지수 : 158.34 전일대비 -1.8
◇ 무-보합세
- 주초임에도 반입량이 저조해 오름세
- 금일 반입량은 524톤으로 전일대비 1.3% 감소하였으며 홍천 43%, 평창 14%, 인제 10%에서
출하됨
- 지난 토요일 가격 약세로 지방시장 분산으로 반입량이 많지 않았음
- 가격은 18kg상자 기준 상품 14,360원, 보통 12,224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14.6%, 24.8% 상승함
- 최고가는 18,000원이었고 홍천 내면과 강릉 대기리 물량이 상품성이 좋아 거래를 주도함
◈ 뿌리채소류
가격지수 : 146.12 전일대비 15.42
◇ 오이-보합세
- 주초를 이틀치 물량인 데다 기온이 선선해지고 일사량이 증가하면서 반입량이 크게 증가함
- 금일 반입량은 백다다기 261톤, 취청 119톤으로 전일대비 각각 82.2%, 90.1% 증가함
- 백다다기는 춘천 37%, 부여 12%, 연기 7%에서, 취청은 천안 41%, 여주 17%, 나주 5%에서 출하됨
- 강원지역 출하가 마무리 단계로 접어들면서 출청지역의 반입비중이 크게 높아짐
- 가격은 백다다기 100개 상품 30,826원, 보통 24,041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8%, 5.3% 하락하였고
- 취청은 10kg상자 기준 상품 22,890원, 보통 18,755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6%, 9.2% 상승함
◈ 양념 채소류
가격지수 : 120.63 전일대비 1.58
◇ 생고추 - 오름세
- 생고추 전체 반입량은 전주말 보다 5.3% 증가한 176톤(전자경매기준)가량 반입
- 품종별로는 청양 60톤, 일반풋고추 64톤, 꽈리 28톤, 홍고추 20톤 반입
- 반입량 동향은 강원도 감소, 전라남도 광주 등 증가 추세임
- 청양 고추는 인제(43%), 광주(20%), 춘천(13%), 예천(5%), 홍천(4%)에서 출하됨
- 청양(10kg 기준) 전체 평균 가격은 20,650원으로 전주말 보다 22.8% 상승
- 일반 풋고추는 전남 영암(33%), 춘천(12%), 홍천(10%), 공주(8%), 인제(5%)에서 출하
- 일반 풋고추(10kg 기준) 전체 평균가는 19,260원으로 전주말 보다 29.7% 상승
- 꽈리 고추는 충남 당진(45%), 예산(30%), 밀양(13%) 등에서 출하
- 꽈리(4kg 기준) 전체 평균 가격은 13,760원으로 전주말 보다 3.2% 상승
- 익일은 반입량이 많지 않을 것으로 보여 강세 전망
◇ 양파 - 보합세
- 금일 675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29% 반입량 증가.
- 무안 57%, 함평 12%, 해남 12%, 함양 3%, 신안 3% 등 차지함
- 무안산 kg당 291-504원, 함평 135-481원, 해남 183-488원 거래.
- 제15호 태풍 ‘크로사’ 간접 영향으로 남부지방 조기출하 증가
- 금일 상품 평균 458원으로 전일대비 1% 상승하면서 보합세 거래
◇ 대파 - 오름세
- 금일 207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3% 반입량 감소.
- 강원 평창 38%, 정선 7%, 경기 이천 9%, 구리 7% 등 반입
- 평창 800-2,120원, 이천 1,260-1,730원, 구리 1,000-1,800원
- 지난 주 시세영향으로 반입량 감소. 주초 지방소매상 주문 증가
- 금일 상품 평균 1,715원으로 전일대비 14% 상승하면서 오름세 거래
◈ 서양 채소류
가격지수 : 156.05 전일대비 17.15
◇ 피망 - 오름세, 파프리카 - 내림세
- 금일 피망은 전자경매 기준 전주말 보다 47.2% 감소한 20톤 반입
- 청피망 19톤, 홍피망 1톤이며 나주(28%), 인제(25%), 광주(21%), 춘천(6%)에서 출하
- 청피망 전체 평균가는 17,210원, 홍피망 21,640원으로 각각 31.2% 상승, 11.1% 하락
- 파프리카는 전일보다 28.7% 증가한 22톤가량 반입됨
- 품종별로는 빨강 9톤, 노랑 11톤, 주황 2톤가량이며
- 출하 지역은 춘천(13%), 강릉(12%), 횡성(11%), 원주(6%) 등임
- 노랑파프리카는 20,250원, 빨강 18,010원, 주황 34,310원으로 약세 거래
- 소비 활발하며, 반입량도 많지 않아 익일 강세 전망
◇ 양상추, 브로코리 - 오름세
- 금일 양상추(법인 반입량 기준)는 전주말 보다 4% 감소한 68톤가량 반입됨
- 강원 횡성 26%, 춘천 21%, 평창 13%, 중국 12%, 미국 11%의 분포를 보임
- 양상추 전체 평균은 13,050원으로 전주말 보다 1.0% 상승
- 브로코리는 전자경매 기준 36톤가량 반입되었으며,
- 중국(45%), 제천(21%), 횡성(13%), 평창(7%)에서 출하됨
- 브로코리 전체 평균은 9,310원으로 전일 보다 7.7% 상승
- 가을철 야외행사 증가로 소비 활발할 것으로 보여 익일 강세 전망
◈ 버섯류
가격지수 : 87.5 전일대비 3.23
◇ 버섯류 - 보합세
- 산지 작황이 활발하여 전일대비 21% 증가한 222톤 반입
- 주초 급식업체 납품 증가로 강보합세 형성
- 일부 마트 세일 품목 위주로 오름세 형성
◇ 표고 - 오름세
- 산지 종균 작업 증가로 반입량이 크게 증가하여 전일대비 106% 증가한 37톤 반입
- 충북 영동 33%, 충남 천안 25%, 충남 공주 20%, 경북 청도에서 15% 반입
- 산지 작황이 좋고 청명하고 건조한 가을 날씨로 표고 품질 크게 향상
- 반입량 증가에도 고품질 표고 반입 증가로 오름세 형성
- 주초 유통업체 구매 증가
- 군납업체 납품 증가
- 상품 4kg 평균 30,497원으로 전일대비 16% 상승
2. 수산물
가격지수 : 88.46 전일대비 +0.23
《 강세 요인 》
○ 태풍 크로사 영향에 따른 출하량 감소우려와 주초 요식업체 구매량 증가로 오름세
- 주초 요식업체 구매량 증가한 봉지바지락, 주꾸미, 굴 상승세에 거래
- 소비량 증가로 재고 감소한 갈치, 반입량 감소 우려로 숭어류, 아귀 강세
《 약세 요인 》
○ 산지 어황 호조로 반입물량 증가한 물오징어, 참조기, 생태 하락세에 거래
◈ 생선류
가격지수 : 75.16 전일대비 +1.78
《 강세 요인 》
○ 고등어, 갈치, 수입갈치, 일본산 꽁치, 대구, 병어 강세
- 고등어는 2일간 조업으로 부산산 출하량이 늘어 반입물량이 2톤 증가하였으나 주말 소비 원활로 시장내 재고 감소하면서 오름세에 거래. 특히 상품은 대형어 선도가 뛰어나 상승폭이 컸음.
- 갈치는 제주산 채낚기 출하량 증가하였으나 태풍 크로사 영향으로 익일부터 반입량이 감소할 것을 우려한 중도매인 매수세가 강하게 형성되며 상승세에 거래
- 일본산 갈치는 주말 소비량 원활로 시장내 재고량 감소하였고 토요일 세관 휴무로 반입량이 줄어들어 오름세, 상품성이 양호했던 일본산 망갈치 상승폭이 크게 형성됨
- 일본산 꽁치는 반입량이 늘어났으나 선도가 양호하고 주초 요식업체 주문량 증가로 상승세에 거래
- 대구는 속초, 죽변, 보령산 출하량이 늘어 반입물량이 4톤 증가하였음. 반입량 늘어났으나 기온이 하락하면서 탕류소비가 늘어 오름세에 거래
- 통영, 삼천포산 출하량 증가로 반입물량 늘어난 병어는 체장이 크고 지난주 토요일 반입량 감소로 인해 시장내 재고량이 부족하여 상승세
《 약세 요인 》
○ 생태, 참조기, 가자미, 전어 약세
- 일본산 생태는 반입량이 3톤 증가하였고 대체 수산물인 냉태, 대구 반입량 역시 증가하면서 하락세에 거래
- 제주산 참조기는 어황호조로 출하량 늘어났고 수입산과 가격 차이가 커 소비역시 분산되면서 내림세. 다만 상품은 선도가 뛰어난 대형어 반입으로 강세를 나타냄
- 가자미는 보령, 방어진, 군산산이 주로 거래되었으며 지난주 토요일 가격상승에 따른 판매부진으로 재고량 늘어 하락세
- 전어는 서산, 마산산 출하량이 줄어들었으나 최근 반입량 증가 지속으로 전문점 활어 재고 상태가 늘어 내림세
◈ 조개류 91.01 전일대비 +4.16
《 강세 요인 》
○ 굴, 바지락(봉지바지락), 홍합, 겉소라, 가무락(모시조개) 강세
- 굴은 9톤 반입되어 주말과 같음, 통영산이며 주초 장세를 맞아 급식 수요 및 전문 요식업소의 구매량 증가로 오름세였고 등급간 상품성 차이가 컸음.
- 바지락은 11톤 반입되어 주말대비 3톤 증가. 겉바지락은 태안(안면도), 군산산. 봉지바지락은 안면도산이었음. 겉망바지락은 주말 가격 상승으로 반입량 증가와 상등품의 반입은 늘었으나 주말대비 내림세였고, 반입비중이 높은 봉지바지락은 요식업소의 주초 물량 확보로 오름세
- 홍합은 17톤 반입되어 주말대비 2톤 증가. 마산, 여수산이며 선도와 씨알이 굵은 다듬이 물량의 반입이 증가 추세, 고정수요처인 전문 요식업소의 물량확보로 거래가 꾸준하였고 등급간 가격차이가 적어 강보합세
- 겉소라는 군산,서천산이 소량 반입되었고 수요처 한정과 등급간 가격 등락이 컸으나 반입이 적어 오름세
- 가무락(모시조개)은 목포산 흑모시가 소량 반입되었으나 수요처가 한정되어 강세
《 약세 요인 》
○ 새꼬막, 동죽(겉, 깐동죽), 겉망바지락 약세
- 새꼬막은 10톤 반입되어 주말대비 3톤 증가. 순천산이며 매기부진으로 내림세였고 일본수입산이 20kg 포장품으로 20여 망대 반입되어 국내산보다 높은 45-46,000원선에 거래
- 해락(깐동죽)과 동죽은 서산산이며 반입 증가와 매기부진으로 내림세
◈ 연체류 83.64 전일대비 -6.68
《 강세 요인 》
○ 주꾸미(국내산), 미더덕, 오만둥이 강세
- 주꾸미는 국내산과 중국산이 4톤 반입되어 주말대비 1톤 감소. 국내산은 선도와 상품성에 따라 가격차이가 컸고 주말에 비해 상품성이 좋아져 오름세, 씨알과 선도가 양호한 중국 수입산에 비해서는 선도와 상품성이 낮은 편으로 상대적으로 가격이 낮았음
- 미더덕과 오만둥이는 마산, 여수산으로 반입량 감소와 주초 요식업소의 물량 확보로 가격은 강세
《 약세 요인 》
○ 생물오징어, 수입냉장낙지, 산낙지 약세
- 생물오징어는 44톤 반입되어 주말대비 8톤 증가. 동해안산 채낙기 물량이 주반입되었고 선도와 체장이 크고 좋은 편이나 주말 물량미소진과 당일 반입량 증가로 내림세였으나 거래량은 증가. 백화점 등 대형유통업체의 구매량이 증가 추세
- 수입냉장낙지는 중국산으로 12톤 반입되어 주말대비 3톤 증가, 반입량 증가와 고정 수요처인 요식업소의 구매량 감소로 내림세
- 산낙지는 국내와 중국 수입산이며전체 반입량이 적어 가격 형성은 높으나 수요처 한정으로 가매기는 부진. 수입 냉장 낙지의 반입 증가로 약보합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