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4.14(월)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008.4.14(월)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담당부서 전산정보팀
문의 0234350314
수정일 2008-04-14 09:29





우리공사에서 제공하는 가격동향 및 표준가격은 자유로이 인용 · 전재 할 수 있으나, 출처는 반드시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농산물

가격지수 : 97.03 전일대비 2.08
《 강세 요인 》
○ 주초장 농산물 수요 증가하였고, 반입량 감소한 품목 위주 오름세
- 반입량이 적은데다, 봄철 김치 수요 증가한 얼갈이와 배추가 큰 폭 상승함
- 또한 엽채소류 위주 강세를 보여 쑥갓, 아욱, 근대, 미나리 등이 오름세
《 약세 요인 》
○ 최근 강세를 보이던 품목의 반입량 증가와 소비 부진한 품목 등 하락세
- 가격 상승으로 물량 증가한 수입 당근과 양파 등이 내림세를 보였으며
- 최근 소비 부진한 청양 고추 등이 하락세 주도

◈ 고구마 감자류
가격지수 : 118.44 전일대비 -1.38


◈ 잎채소류
가격지수 : 102.64 전일대비 9.29


◈ 열매채소류
가격지수 : 90.32 전일대비 -1.02


◈ 뿌리채소류
가격지수 : 118.98 전일대비 7.41


◈ 양념 채소류
가격지수 : 91.73 전일대비 -2.89


◈ 서양 채소류
가격지수 : 70.9 전일대비 6.61


◈ 버섯류
가격지수 : 85.08 전일대비 1.25

◇ 버섯류 : 강보합세
- 반입물량이 219톤으로 전일199톤의 110% 물량 반입.
- 버섯류는 전 품종별로 우수품은 시세하락폭이 적고 소비자의 소비가 증가하고 있으며,
주초 물량이 대거 반입함에도 매기형성으로 강보합세
- 버섯류는 느타리버섯, 새송이, 팽이의 약세를 제외하고 기타품목은 강보합세를 나타냄
- 버섯류는 우수상품 중심으로 매기 강세를 보이고 있으며, 중.저급품은 약보합권 형성
. 느타리버섯은 약세를 보이고 있으나 일시적인 현상으로 보이며,
소비자 소비는 꾸준하고 전일 재고소진에 따라 소폭 오름세를 형성할 것으로 전망.


2.
수산물

□ 패류(조개류 및 연체류) : 금일 반입량 103톤 전일대비 16톤 감소

◈ 조개류 표준가격지수 : 94.26 전일대비 +0.25

○ 조개류 오름세 품목 : 봉지바지락, 바지락수입, 깐홍합, 동죽, 가무락(모시조개) 상품, 새꼬막 17kg망 상품,
《 조개류 강세 요인 》
- 봉지바지락은 북한산과 태안산이 주 반입, 가격은 전일대비 대폭 오름세, 5㎏상자에 상품은 16,500원으로 46.7%상승, 중품은 15,500원으로 47.6%상승
- 바지락수입은 금일 12톤 반입 전일대비 33톤 감소. 북한산과 중국산이 주 반입. 반입물량 감소 및 수요증가로 가격은 대폭 오름세. 20kg 상품은 34,000원으로 전일대비 11.5%상승, 중품은 26,500원으로 32.5%상승.
- 깐홍합(1㎏)은 여수산이 주 반입됨. 가격은 대폭 오름세. 상품 가격은 1㎏ 3,875원으로 40.9% 상승.
- 동죽은 서산산이 주 반입. 가격은 대폭 오름세, 전일대비 상품 31.8% 상승(1㎏ 1,450원)
- 가무락(모시조개)은 군산산이 주 반입되고, 상품 가격은 오름세, 목포산 20kg망에 상품 가격은 102,500으로 24.2%상승. 중품 가격은 70,000원으로 9.7%하락.
- 새꼬막은 14톤 반입 전일대비 3톤 증가. 전량 순천산이 주 반입 가격은 오름세. 17kg망 새꼬막 상품 가격은 38,000원으로 18.8%상승. 중품은 28,500원으로 전일과 같음.


○ 조개류 내림세 품목 : 새꼬막 7kg pp대 , 소라(피뿔고동) 중품, 가무락(모시조개,중품), 굴
《 조개류 약세 요인 》
- 새꼬막은 14톤 반입 전일대비 3톤 증가. 전량 순천산이 주 반입 가격은 오름세.
7kg pp대 새꼬막 상품은 16,500원으로 15.4%하락. 중품은 12,000원으로 11.1%하락, 하품은 9,000원으로 5.3%하락.
- 소라(피뿔고동)은 순천산이 주 반입. 가격은 내림세. 1kg 상품은 4,550원으로 전일대비 13.3%하락, 중품은 4,550원으로 13.3% 하락
- 가무락(모시조개)은 목포산이 주 반입되고, 상품 가격은 오름세, 목포산 20kg망에 상품 가격은 102,500원으로 24.2%상승. 중품 가격은 70,000원으로 9.7%하락.
- 굴은 7톤 반입 전일대비 2톤 증가. 삼천포, 남해, 충무산이 주 반입. 가격은 약보합세. 중품,상품가격은 보합세, 1kg에 특품 가격은 5,100원으로 2.8% 하락, 상품은 4,400원으로 4.8%하락, 중품은 3,800원으로 4.4%하락


◈ 연체류 가격지수 : 133.55 전일대비 +13.05

○ 연체류 오름세 품목 : 미더덕, 주꾸미, 주꾸미수입, 낙지수입
《 연체류 강세 요인 》
- 미더덕 3톤 반입 전일과 같음. 마산산과 충무산이 주 반입. 가격은 오름세. 상품은 1㎏ 7,850원으로 51.0% 상승, 중품은 7,550원으로 전일대비 55.7% 상승.
- 주꾸미는 11톤 반입 전일대비 6톤 증가. 주꾸미 가격은 내림세. 살아있는 중국산 활쭈꾸미 최상품은 1㎏에 12,000원으로 5㎏에 60,000원, 군산산 선어냉장 생물 주꾸미 상품가격은 5㎏ 38,000원으로 상품 평균가격은 49,000원으로 25.6% 상승. 중품은 군산산 선어냉장 생물쭈꾸미 5㎏에 31,500원으로 전일대비 26% 상승
- 수입쭈꾸미는 11톤 반입 전일대비 6톤 증가. 전량 중국산이 주 반입. 수요증가로 가격은 오름세, 중국산 선어냉장 생물수입쭈구미 4㎏ 상품 가격은 17,000원으로 전일대비 13.3% 상승, 중품은 4㎏에 15,750원으로 8.62% 상승. 단, 중국산 수입 냉동쭈꾸미 가격은 보합세로 5㎏ 상자에 12,000원으로 전일과 같음
- 낙지수입은 2톤 반입 전일대비 1톤 감소. 전량 중국산 가격은 강보합세, 4㎏상자에 상품 가격은 37,000원으로 24.4%상승, 중품은 33,000원으로 20%상승

○ 연체류 내림세 품목 : 물오징어, 문어, 오만둥이
《 연체류 약세 요인 》
- 물오징어는 1톤 반입 전일대비 2톤 감소. (등급간 가격차이가 심하여 체장이 큰 제주산 채낚기 물량 상품 및 중품은 미 반입). 체장이 작은 그물망 트롤물량 부산산 하품만 주로 반입. 부산산 하품 가격은 보합세. 부산산 트롤(그물망) 6㎏상자에 하등품은 10,000원으로 보합세
- 문어는 구룡포산 중문어는 강보합세 1㎏ 5,250원으로 7.1%하락, 목포산 소문어는 5,000원으로 내림세, 포항산 대문어는 4,900원으로 20.3%하락
- 오만둥이(중품)는 마산산이 주 반입. 가격은 내림세, 상품 가격은 1㎏에 3,400원으로 9.3% 하락, 중품 가격은 1㎏ 2,900원으로 13.4% 하락

□ 건어류 : 반입물량 금일 72톤 반입 전일대비 48톤 증가

◈ 건어류 가격지수 : 122.00 전일대비 -0.00

○ 건어류 보합세 품목 : 건멸치, 건오징어, 건명태, 김, 미역
《 건어류 보합세 요인 》
- 건멸치는 38톤 반입 전일대비 34톤 증가. 가격은 보합세.
- 건오징어는 1톤 반입 전일과 같음. 가격은 보합세.
- 건명태는 4톤 반입 전일과 같음. 가격은 보합세.
- 김은 24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8톤 증가. 가격은 보합세.
- 미역은 5톤 반입 전일대비 4톤 증가. 가격은 보합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