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10.04(수)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007.10.04(수)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담당부서 전산정보팀
문의 0234350314
수정일 2007-10-04 08:27

※ 우리공사에서 제공하는 가격동향 및 표준가격은 자유로이 인용 · 전재 할 수 있으나, 출처는 반드시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농산물

가격지수 : 114.97 전일대비 1.3
《 강세 요인 》
○ 잎, 뿌리, 양념 채소류와 버섯류는 전일 재고소진으로 중도매인 구매력 증가하면서 강세
- 얼갈이배추, 시금치, 열무는 전일 우천으로 작업부진하여 반입량 적어 시세상승
- 풋고추, 깐쪽파, 양송이버섯, 고구마는 주중 납품업체 및 소매상 주문 증가로 오름세

《 약세 요인 》
○ 열매, 서양 채소류는 주초부터 계속된 소비부진으로 재고가 늘면서 약세
- 쥬키니호박, 노각오이는 상품성 저하와 소비부진 탓에 중도매인 매수세 약화로 시세하락
- 피망, 양상추, 파세리는 중소형 마트 및 납품업체 주문 줄면서 내림세 거래"

◈ 고구마 감자류
가격지수 : 135.23 전일대비 3.42
◇ 고구마 - 약보합세
- 금일 79톤 출하되면서 전일 대비 7% 반입량 감소.
- 고구마는 논산 29%, 여주 22%, 익산 21%, 고창 11% 등 반입.
- 밤고구마는 논산 1,000-19,000원, 여주 1,000-17,000원,
- 호박고구마는 고창 1,000-22,000원, 태안 2,000-18,000원
- 전일 시세영향으로 산지 출하량 감소. 재고확보 위한 중도매인 매수세 증가
- 금일 상품 평균 14,314원으로 전일대비 5% 상승하면서 약보합세
◇ 감자 - 약보합세
- 금일 259톤 출하되면서 전일대비 1% 반입량 감소.
- 수미종 감자는 평창 64%, 정선 8%, 횡성 8%, 홍천 4% 등 반입
- 평창 2,000-24,000원, 정선 2,500-22,000원, 횡성 2,000-26,000원.
- 전일 우천영향으로 산지 작업 부진하여 반입량 감소. 휴일 재고로 매수세 약화
- 금일 상품 평균 20,823원으로 전일대비 3% 하락하면서 약보합세

◈ 잎채소류
가격지수 : 127.01 전일대비 8.06

◇ 배추-내림세
- 반입량이 감소에도 소비 침체와 상품성 저하로 내림세
- 금일 반입량은 807톤으로 전일대비 19.9% 감소하였으며 태백 30%, 정선 15%, 평창 14%에서


출하됨
- 전일 중부지방을 중심으로 비가 내린데다 추석 이후 내림세가 지속되자 작업량을 늘리지 않았음
- 가격은 10kg그물망 기준 최고가 8,700원으로 태백에서 출하되었고 상품 5,347원, 보통 3,662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9.8%, 3.2% 하락함
- 우중 작업인데다 출하지가 저지대로 이동하면서 상대적으로 고지에 비해 상품성이 떨어짐
- 지역별 단가는 태백 4,294원, 정선 4,154원, 평창 4,396원으로 지역 가격 차이는 거의 없음

◇ 상추 - 오름세
- 잦은 비와 흐린 날씨로 생육이 좋지 않아 반입량 감소로 오름세 거래
- 전자경매 기준 전일보다 18.1%감소한 47톤 반입되었으며
-
이천(31%), 광주(11%), 용인(10%), 성남(8%) 등에서 주로 출하됨
- 품종별로는 적포기 27톤, 청상추 11톤, 적상추 7톤가량임.
- 적포기 전체 평균가는 19,530원, 청상추는 20,750원으로 전일보다 각각 7.3%,48.8% 상승
- 당분간 강세 지속 전망


◈ 열매채소류
가격지수 : 182.26 전일대비 -14.07
◇ 호박-내림세
- 최근 가격 급등세로 가격 부담이 높은데다 반입량이 증가하면서 전일에 이어 내림세
- 금일 반입량은 애호박 117톤, 쥬키니 18톤으로 전일 대비 각각 7.9%, 15.9% 증가함
- 애호박은 청원 21%, 화천 19%, 춘천 11%에서 쥬키니는 횡성 38%, 봉화 20%, 홍천에서 출하됨
- 가격은 애호박 20개 상품 21,337원, 보통 18,095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8.4%, 5.1% 하락하였고
- 쥬키니 10kg상자 상품 29,972원, 보통 23,410원으로 19.4%, 19.8% 하락함

◈ 뿌리채소류
가격지수 : 135.51 전일대비 2.95
◇ 무-내림세
- 반입량이 감소하면서 오름세
- 금일 반입량은 613톤으로 전일대비 8% 감소하였으며 홍천 37%, 평창 22%, 정선 13%, 강릉 12%에서


출하됨
- 금주들어 내면 지역 출하로 홍천의 출하비중이 많이 높아짐
- 가격은 최고가 16,400원으로 평창에서 출하되었고 상품 12,983원, 보통 10,178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1.5%, 2.4% 상승함
- 지역 가격은 홍천 11,676원, 평창 11,835원, 정선 8,185원이었으며 전체 평균 가격은 10,992원이었음

◈ 양념 채소류
가격지수 : 100.36 전일대비 2.73
◇ 양파 - 약보합세
- 금일 582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18% 반입량 감소.
- 무안 63%, 해남 14%, 함평 5%, 정읍 4%, 익산 3% 등 차지함
- 전라지역 94%, 경상지역 6%로 출하 비중 지역차이 심화 나타남.
- 무안산 kg당 244-680원, 해남 131-504원, 함평 333-524원 거래.
- 우천 영향으로 남부지방 출하량 감소. 주중 휴일로 판매부진 재고증가
- 금일 상품 평균 458원으로 전일대비 3% 하락하면서 약보합세
◇ 대파 - 보합세
- 금일 212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5% 반입량 감소.
- 강원 평창 43%, 경기 이천 11%, 안성 6%, 구리 6% 등 반입
- 평창 700-1,920원, 이천 610-1,350원, 안성 920-1,420원
- 잦은 비로 상품성 저하 물량 증가. 품질에 따른 등급간 가격차 심화
- 평창, 정선 등 강원지역 상품성 우수, 경기지역 품질 저하로 약세
- 금일 상품 평균 1,418원으로 전일수준의 보합세 거래
◇ 생고추 - 오름세
- 생고추 전체 반입량은 전일 보다 17.4% 감소한 140톤(전자경매기준)가량 반입
- 추석 이후 가계 지출 부담 증가 등으로 소비 위축되어 최근 낮은 시세를 보이고 있음
- 품종별로는 청양 51톤, 일반풋고추 43톤, 꽈리 19톤, 홍고추 18톤 반입
- 청양 고추는 인제(64%), 광주(9%), 춘천(6%), 예천(6%), 나주(3%)에서 출하됨
- 청양(10kg 기준) 전체 평균 가격은 16,670원으로 전일 보다 10.5% 상승
- 일반 풋고추는 춘천(19%), 홍천(18%), 인제(13%), 영암(9%), 양구(4%) 등에서 출하되며
- 일반 풋고추(10kg 기준) 전체 평균가는 11,500원으로 전일 보다 14.8% 상승
- 꽈리 고추는 충남 당진(56%), 예산(25%), 광주(3%) 등에서 출하
- 꽈리(4kg 기준) 전체 평균 가격은 13,340원으로 전일 보다 24.5% 상승
- 익일은 반입량이 많지 않을 것으로 보여 강세 전망

◈ 서양 채소류
가격지수 : 132.4 전일대비 -27.58
◇ 피망 - 내림세, 파프리카 - 오름세
- 금일 피망은 전자경매 기준 전일 보다 48.0% 감소한 27톤 반입
- 청피망 23톤, 홍피망 5톤이며 인제(35%), 춘천(8%), 광주(4%)에서 출하
- 청피망 전체 평균가는 12,290원, 홍피망 14,280원으로 각각 12.7%, 27.2% 하락
- 파프리카는 전일보다 79.8% 감소한 3톤가량 반입됨
- 품종별로는 빨강 2톤, 노랑 0.9톤, 주황 0.2톤가량이며
- 출하 지역은 화성(30%), 김제(23%), 인제(9%), 횡성(8%), 춘천(7%) 등임
- 노랑파프리카는 27,350원, 빨강 21,780원, 주황 26,750원으로 강세 거래
- 익일 주말 수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어 강보합세 전망
◇ 양상추 - 내림세, 브로코리 - 오름세
- 금일 양상추(법인 반입량 기준)는 전일 보다 43.4% 증가한 66톤가량 반입됨
- 강원 횡성 38%, 중국 22%, 춘천 19%, 평창 7%, 홍천 4%의 분포를 보임
- 양상추 전체 평균은 13,740원으로 전일 보다 24.2% 하락
- 브로코리는 전자경매 기준 31톤가량 반입되었으며,
- 중국(56%), 횡성(15%), 제천(14%), 평창(7%)에서 출하됨
- 브로코리 전체 평균은 14,840원으로 전일 보다 24.3% 상승
- 익일 소비 부진으로 약세 전망

◈ 버섯류
가격지수 : 88.95 전일대비 5.82
◇ 버섯류 - 상승세
- 전일 중부 지방 우천 및 개천절 휴무로 산지 작업량이 감소하면서 전일대비 13% 감소한 167톤 반입
- 반입량 감소하고, 주 중반 이후 요식업체 구매 증가로 소폭 오름세 형성


◇ 양송이 - 상승세
- 산지 작황 및 작업량 부진으로 전일대비 26% 감소한 9톤 반입
- 충남 부여 53%, 보령 30%, 홍성 8%, 경기 평택에서 4%가 반입
- 충청지역에서 주로 출하되는 가운데, 부여 미산 지역의 양송이 출하 비율이 늘어나고 있음
- 학교 및 군납 등 급식업체 구매 활발
- 2kg 상품 평균 10,774원으로 전일대비 26% 상승


2. 수산물
가격지수 : 88.31 전일대비 -2.46
《 강세 요인 》
○ 반입물량 늘어났으나 상품성 양호한 고등어, 삼치, 수입주꾸미 오름세
《 약세 요인 》
○ 최근 수산물 반입량 증가 지속으로 시장내 재고 늘어 하락세
- 주중 요식업체 매수세 둔화로 숭어류, 체장이 작은 참조기 내림세
- 반입물량 늘어난 수입낙지, 미더덕, 가격상승으로 주문량 줄어든 굴, 봉지바지락 약세

◈ 생선류
가격지수 : 75.56 전일대비 -2.68
《 강세 요인 》
○ 삼치, 병어, 참조기, 아귀 오름세
- 삼치는 포항산 생물 물량 출하가 늘어나면서 반입량이 전일대비 3톤 증가하였음. 반입량 증가와 대형어 반입저조로 상품은 내림세를 나타냄. 반면에 중․소형어는 최근 가격하락 지속에 따른 소비량 증가로 시장내 재고가 감소하면서 오름세
- 병어는 삼천포산 10kg 상자 출하량 늘어났으나 대형어 비중이 높고 상품성이 우수해 오름세를 나타냄
- 참조기는 제주산 출하량이 감소하였고 전일 연휴로 가정용 소비가 늘어나면서 시장내 재고가 줄어 오름세 형성함
- 아귀는 부산, 목포산 출하 감소로 반입량이 줄어들었고 부산산이 체장이 커 강세
《 약세 요인 》
○ 고등어, 수입갈치, 생태, 대구, 숭어류, 전어 약세
- 고등어는 최근 부진했던 어황이 점차 나아지면서 부산산 생물 출하량이 늘어 반입량이 4톤 증가하였음. 냉동고등어와 일본산 수입고등어 반입량 줄었으나 생물 반입 증가로 상품과 하품이 내림세에 거래됨
- 수입갈치는 일본산 냉장갈치 반입 저조로 반입물량이 전일대비 6톤 줄었음. 반입량 줄었으나 제주산 반입량 수준이 양호하고 최근 늘어난 물량이 판매부진으로 재고로 누적되면서 하락세
- 생태는 일본산 반입량이 2톤 감소하였으나 최근 꾸준히 늘어난 물량과 가격상승으로 인해 약보합세
- 대구는 반입량이 전일 수준을 보였으나 죽변, 속초산 물량이 체장이 작아 내림세 주도
- 숭어류와 전어는 주중 소비부진 기대감에 따른 요식업체 구매량이 줄어들어 약세

◈ 조개류 84.80 전일대비 -5.70
《 강세 요인 》
○ 겉동죽, 가무락(모시조개) 강세
- 겉동죽은 서산산이나 반입량이 줄어 오름세
- 가무락(모시조개)은 목포산 흑모시로 반입은 소량이나 수요처가 한정되어 강보합세

《 약세 요인 》
○ 굴, 바지락, 새꼬막, 해락, 홍합, 겉소라 약세
- 굴은 7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1톤 감소, 통영, 사천산이며 등급간 상품성 차이가 적어 가격차이는 적은 편이나 전일 미판매분과 당일 반입량 누적으로 가격은 내림세, 전문 요식업소 및 급식 납품업체의 수요는 증가 추세
- 바지락은 12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1톤 증가. 겉바지락은 태안(안면도), 군산산. 봉지바지락은 안면도산이었음. 겉망바지락은 반입량 감소에도 대량수요처인 요식업소의 구매량 감소로 약보합세, 반입비중이 높은 봉지바지락은 전일 가격상승에 따른 가격부담으로 구매량 감소로 내림세 ,주 소요처는 요식업소였음.

- 새꼬막은 10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1톤 증가. 순천산이나 전일 및 당일 물량 누적으로 약보합세였고 소비도 부진한 편이었음
- 해락(깐동죽)은 서산산이며 반입 증가와 매기부진으로 내림세
- 홍합은 14톤 반입되어 전일과 같음. 마산, 여수산이며 선도와 씨알이 굵은 다듬이 물량의 반입이 증가 추세, 고정수요처인 전문 요식업소의 물량확보로 거래가 꾸준, 일반물량도 상품성이 좋아져 거래는 증가하나 전일물량 미소진으로 약보합세
- 겉소라는 군산,서천산이 소량 반입되었고 수요처 한정과 등급간 가격 등락이 커 내림세

◈ 연체류 89.35 전일대비 -5.12
《 약세 요인 》
○ 전일 개천절 공휴일에 따른 영업부진으로 미판매 물량이 증가, 대부분 품목이 내림세
- 생물오징어는 31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4톤 증가. 동해안이 반입되었고 주로 채낚기 물량이었음. 선도와 체장이 크고 좋은 편이나 공휴일인 전일 물량 누적과 오늘 반입된 물량 증가로 내림세였고, 백화점 등 대형유통업체의 구매량 증가와 가격 하락으로 고정 급식업체의
거래도 증가 추세
- 수입냉장낙지는 중국산으로 6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3톤 증가, 반입량 증가와 고정 수요처인 요식업소의 구매량 감소로 내림세. 대체품인 냉동물은 급식업체의 수요가 많은 편이나
가격은 보합세
- 주꾸미는 국내산과 중국산이 2톤 반입되었으나 국내산은 선도와 선별부진으로 등급간 가격차이가 컸고 선호도도 낮아 내림세, 수입산은 국내산에 비해 선도와 크기가 고르게 포장, 선호도가 높아 오름세에 거래.
- 미더덕과 오만둥이는 마산, 여수산으로 반입량 감소에도 전문 요식업소의 구매량 감소로 약세
- 산낙지는 중국 수입산이며 소량 반입으로 크기에 따른 가격차이가 컸고 가격도 높은 편이나 매기는 부진하여 내림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