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10.16(화)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007.10.16(화)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담당부서 전산정보팀
문의 0234350314
수정일 2007-10-16 08:24





※ 우리공사에서 제공하는 가격동향 및 표준가격은 자유로이 인용 · 전재 할 수 있으나, 출처는 반드시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농산물

가격지수 : 142.18 전일대비 -1.4
《 강세 요인 》
○ 열매, 뿌리, 양념 채소류와 버섯류는 반입량 감소와 소매상 주문 증가로 강세
- 백다다기, 취청오이, 애호박은 반입량 감소와 전일 재고소진으로 오름세 거래
- 당근, 붉은고추, 대파, 새송이버섯은 중소형마트 및 소매상 주문 늘면서 시세 상승

《 약세 요인 》
○ 잎, 서양 채소류는 전일 고가로 판매부진하여 재고증가하면서 중도매인 매수세 줄어 약세
- 배추, 얼갈이는 전일 시세영향으로 산지 출하량 증가, 전일 재고 증가로 시세 하락
- 양상추, 파세리, 청경채는 반입량 증가와 외식업체 및 납품업체 주문 감소로 내림세

◈ 고구마 감자류
가격지수 : 102.01 전일대비 -1.96
◇ 고구마 - 오름세
- 금일 86톤 출하되면서 전일 대비 19% 반입량 감소.
- 고구마는 여주 28%, 서산 11%, 대전 10%, 논산 9%, 보은 7% 등 반입.
- 밤고구마는 여주 1,000-18,000원, 논산 2,500-21,000원,
- 호박고구마는 서산 2,000-12,000원, 논산 2,000-22,000원
- 경기지역 밤고구마 출하량 감소. 기온 떨어지면서 산지 저장량 증가.
- 충남지역 호박고구마 출하 줄고 세척 상태로 상품성 우수하여 매수세 증가
- 금일 상품 평균 11,633원으로 전일대비 10% 상승하면서 오름세
◇ 감자 - 약보합세
- 금일 238톤 출하되면서 전일대비 14% 반입량 감소.
- 수미종 감자는 평창 41%, 인제 11%, 강릉 9%, 횡성 9% 등 반입
- 평창 2,000-21,000원, 인제 1,000-20,000원, 강릉 3,000-19,000원.
- 낮 기온이 떨어지면서 산지 저장량 증가. 강원지역 출하량 감소
- 상품성 우수한 특품은 물량부족으로 상승세, 중.하품 판매부진으로 재고증가
- 금일 상품 평균 16,732원으로 전일대비 2% 하락하면서 약보합세

◈ 잎채소류
가격지수 : 184.13 전일대비 -12.41
◇ 배추-오름세
- 전일 가격 오름세로 반입량이 증가하여 내림세로 돌아섬
- 금일 반입량은 925톤으로 전일대비 24.9% 증가하였으며 평창(29%), 영월(10%), 태백(10%) 등지에서


출하됨
- 그동안 출하를 주도하던 태백은 10% 미만으로 점유율이 낮아져 올해 출하는 거의 마무리 된 것으로


보이면 일부 늦갈이 물량만 소량 작업됨
- 평균 가격은 6,570원으로 전일에 비해 700원 가량 하락함
- 반입량 증가한데다 전일 소비량이 많았던 김치공장 주문량이 금일은 감소함
- 지역별 단가는 춘천, 영월, 영양 순으로 높아 가을배추가 고랭지 2기작에 비해 비교적 상품성이 좋아


보임

◈ 열매채소류
가격지수 : 155.65 전일대비 5.84


◈ 뿌리채소류
가격지수 : 203.19 전일대비 1.22
◇ 무-오름세
- 출하량이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가운데 가격 오름세가 이어짐
- 전일 일시적으로 반입량이 많아 재고가 누적되어 금일은 작업량을 줄임
- 금일 반입량은 443톤으로 전일대비 10.9% 감소하였으며 홍천(56%), 평창(24%), 강릉(6%)에서


출하됨
- 평균가격은 15,500원으로 전일대비 500원 가량 상승함
- 재고 물량에도 반입량이 워낙 저조해 오름세가 이어짐. 그러나 고단가로 가격 부담이 높아 필수


수요처를 제외하고는 소비량을 줄이는 모습임
- 지역별로는 평창이 상품성이 좋아 거래를 주도하는 가운데 홍천지역도 비교적 높은 시세를 형성함.

◈ 양념 채소류
가격지수 : 129.47 전일대비 4.04
◇ 일반풋고추-내림세, 청양-보합세, 꽈리·홍고추-오름세
- 생고추 전체 반입량은 전일 보다 20% 감소한 152톤가량 반입
- 품종별로는 청양 58톤, 일반풋고추 62톤, 꽈리 17톤, 홍고추 10톤 반입
- 전라남도 물량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꽈리의 경우 경남 밀양에서도 출하가 시작됨
- 가을철 야외행사 수요 증가와 날씨가 선선해지면서 찌개류 소비 늘어
청양고추 소비 원활함
- 일반풋고추 약세, 청양은 보합세를 보였고,
-
홍고추는 강원도 지역이 출하 막바지로 접어들면서 반입량 감소해 강세 지속
- 산지에서 광주와 대구 지방 도매시장 출하 물량이 늘어,
-
시장 반입량은 다소 감소할 것으로 보여 금주는 강보합세 전망

◇ 양파 - 약보합세
- 금일 679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14% 반입량 증가.
- 무안 53%, 해남 17%, 함평 12%, 익산 5%, 함양 5% 등 차지함
- 무안산 kg당 208-780원, 해남 211-488원, 함평 250-500원 거래.
- 전일 시세영향으로 함평, 익산지역 출하량 증가. 전일 재고증가로
- 중도매인 구매력 저하. 각급학교 소풍철로 급식업체 주문 감소.
- 금일 상품 평균 457원으로 전일대비 2% 하락하면서 약보합세 거래
◇ 대파 - 강보합세
- 금일 204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2% 반입량 감소.
- 강원 평창 17%, 경기 고양 13%, 구리 12%, 이천 8% 등 반입
- 평창 1,500-2,500원, 고양 1,450-1,950원, 구리 1,680-2,100원
- 전일 시세영향으로 경기 동부지역 출하 증가하였으나 강원산 출하량이
- 급격히 감소하면서 상품성 우수물량 확보 위한 중도매인 매수세 증가
- 전일 재고소진, 지방 소매상 및 중소형 마트 주문 증가.
- 금일 상품 평균 1,992원으로 전일대비 6% 상승하면서 강보합세 거래

◈ 서양 채소류
가격지수 : 160.41 전일대비 -18.97
◇ 피망-오름세, 파프리카-내림세
- 금일 피망은 전자경매 기준 전일보다 17.6% 감소한 33톤 반입
- 청피망 23톤, 홍피망 9톤 가량이며 전라남도(광주,나주) 지역으로 출하지 이동중임
- 광주지역은 생육기 무더위로 열매가 많지 않아 현재 출하량 많지 않으나,
-
하순 이후 점차 증가할 것으로 보임
- 금일 반입량 감소한 반면 납품 및 외식업체 수요 증가로 오름세 거래.
- 파프리카는 전일보다 10.6% 증가한 20톤가량 반입되었으며, 빨강 8톤, 노랑 10톤, 주황 2톤임.
- 반입량 증가와 고단가에 대한 부담으로 피망 대체 수요가 많아 하락세 거래
- 익일 반입량은 금일과 비슷할 것으로 보이며,
-
행사 수요 등으로 소비는 원활할 것으로 보여 강보합세 전망
◇ 양상추-내림세, 빨간양배추-오름세
- 금일 양상추(법인 반입량 기준)는 전일보다 11.5% 증가한 77톤 반입됨
- 강원도 횡성, 춘천, 제천 지역에서 주로 출하되고 있으며,
-
충남 당진, 예산, 경남 하동에서 소량 반입되고 있음
- 강원도 지역의 잦은 비로 작황이 좋지 않아 반입량 감소하여 예년보다 강세 거래되고 있으며,
- 수입의 경우 중국산 물량이 종료된 것으로 보이며, 미국산이 수요 대체
- 빨간 양배추 역시 생육기 잦은 비로 작황이 나빠져 산지 출하량이 적어 강세 거래
- 수입이 금주 중 시장에 반입될 것으로 보이며, 당분간 강세 지속 전망

◈ 버섯류
가격지수 : 106.22 전일대비 2.45
◇ 버섯류 - 상승세
- 산지 출하조절로 전일대비 12% 감소한 190톤 반입
- 학교 체육행사와 소풍 등으로 인해 외식업체 납품 활발
- 탕류 소비 증가로 유통업체의 버섯 구매 증가
◇ 새송이 - 오름세
- 수확기로 인한 작업인력 부족으로 전일대비 21% 감소한 48톤 반입
- 충남 천안 33%, 경북 김천 24%, 경기 이천 18%, 경북 상주에서 17% 반입
- 야외활동 인파 증가로 육류소비가 늘면서 새송이도 수요 동반 상승
- 상품 2kg 평균 9,081원으로 전일대비 6% 상승

2. 수산물
가격지수 : 90.64 전일대비 -0.35
《 강세 요인 》
○ 상품성 우수한 국내산 주꾸미, 반입물량 감소한 일본산 갈치, 물오징어 강세
《 약세 요인 》
○ 주초 산지 출하량이 크게 늘어나면서 전부류 약세에 거래
- 수입물량 증가로 재고 늘어난 수입주꾸미, 수입낙지 약세
- 상품성 저조한 숭어류, 참조기, 반입량 증가한 생태 하락세

◈ 생선류
가격지수 : 77.38 전일대비 +0.25
《 강세 요인 》
○ 고등어, 수입갈치, 삼치, 대구, 병어 강세
- 고등어는 어황이 다소 부진하여 생물 반입량이 줄어들었으나 일본산 고등어 반입은 늘어 총 반입량은 전일에 비해 1톤 감소하는데 그쳤음. 국내산 생물고등어는 상품성 양호하고 반입량 감소로 강세 형성
- 일본산 갈치는 제주산 출하량 늘어나면서 수요가 분산되었으나 금일 반입량이 크게 줄었고 고정수요는 꾸준히 형성되어 오름세에 거래
- 삼치는 전일 약세를 보인 관계로 산지 출하량이 크게 줄어들어 반입량이 7톤 감소하여 오름세에 거래
- 대구는 안흥, 후포, 군산산이 주로 거래되었으며 주초 반입량 부진에 따른 시장내 재고 부족으로 강세 나타냄
- 병어는 삼천포산이 출하가 되지 않아 반입량이 크게 줄었으며 5kg상자 병어는 목포산이 소량 거래되었고 선도 양호하여 오름세
《 약세 요인 》
○ 생태, 국내산 갈치, 수입꽁치, 부세, 참조기, 아귀, 숭어류 약세
- 일본산 생태는 반입량이 전일대비 1톤 늘어났으며 냉동명태 가격하락으로 수요가 분산되었고 주초 요식업체 전문점 수요도 둔화되어 내림세
- 국내산 갈치는 제주 주변해역 채낚기 조업 호조로 반입량이 크게 늘어나면서 약세
- 수입꽁치는 일본산 냉장 꽁치 반입물량이 늘어났고 주초 수요 마무리로 중간 도매상 매수세도 둔화되면서 약세
- 부세는 중국산 물량이 증가하였고 선도가 떨어져 약세를 보였고, 국내산 참조기 역시 제주산 출하량 늘어 중품이 내림세
- 아귀는 산지 어황 호조로 부산, 목포산 출하량이 늘어나면서 내림세에 거래되었고, 숭어류는 체장이 작고 주중에 접어들면서 횟감수요가 줄어 약세

◈ 조개류 108.05 전일대비 -0.68
《 강세 요인 》
○ 겉소라, 해락, 가무락(모시조개) 강세
- 겉소라는 여수,서천산이 소량 반입, 수요처 한정과 등급간 가격 등락이 컸으나 오름세
- 해락(깐동죽)은 소량 반입에 따른 수요 증가로 오름세
- 가무락(모시조개)은 목포, 군산산이 주반입되었고 목포산에 비해 군산산 흑모시가 가격을 주도하였고 고정 수요처의 물량 확보로 오름세

《 약세 요인 》
○ 바지락, 새꼬막, 굴, 홍합, 겉동죽 약세
- 바지락은 12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1톤 증가. 겉바지락은 태안(안면도), 인천, 서천, 군산산. 봉지바지락은 안면도산이었음. 겉바지락은 출하지역 확산과 반입량 증가로 내림세. 봉지바지락도 주소비처인 칼국수 전문점 등 요식업소의 구매량 감소로 내림세
- 새꼬막은 11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1톤 감소. 순천산이며 산지 출하량 조절로 반입량 변동은 크게 없었음. 주소비처는 전문 요식업체와 급식업체의 구매량 감소로 약보합세
- 굴은 17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2톤 증가, 통영산이 주반입되었고 사천, 마산산 잔굴도 소량 반입되었음. 잔굴은 반입이 소량으로 높은 가격을 형성, 중굴은 매기부진으로 약보합세
- 홍합은 21톤 반입되어 전일과 같음. 마산, 여수산이며 선도와 씨알이 굵은 다듬이 물량은 산지 출하 물량 조절로 강보합세, 일반 물량은 반입증가와 선도부진으로 내림세

- 겉동죽은 서산산으로 반입량 증가와 매기부진으로 내림세

◈ 연체류 90.29 전일대비 -2.27
《 강세 요인 》
○ 생물오징어, 오만둥이, 산낙지 강세
- 생물오징어는 24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7톤 증가. 동해안산 채낙기 물량이 주반입되었고 선도와 체장이 크고 양호하나 반입량 감소로 오름세. 백화점 등 대형유통업체의 구매량이 많았음
- 오만둥이는 마산, 여수산으로 반입량 감소로 인한 수요 증가로 오름세
- 산낙지는 중국산이며 소량 반입에 따른 요식업소의 물량확보로 강세

《 약세 요인 》

미더덕, 문어, 쭈꾸미, 수입냉장낙지 약세
- 미더덕은 마산, 여수산으로 반입량 감소로 인한 요식업소 구매량 증가로 내림세
- 문어는 포항산으로 소문어의 반입이 없었고 중문어 위주로 반입되어 내림세
- 주꾸미는 6톤 반입되었고 국내산은 여수,군산산이 소량 반입됨, 선도와 크기에 따른 가격차이가 컸고 씨알이 작은 잔낙지는 낮은 가격을 형성, 수입산은 반입은 증가하였으나 등급간 가격차이가 큰 편으로 전일대비 내림세
- 수입냉장낙지는 중국산으로 14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3톤 증가, 전문요식업체와 대형 유통업체의 거래는 늘었으나 등급간 가격차이가 컸고 전일대비 내림세

활 꽃게 서산, 인천산으로 12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6톤 감소. 서산, 인천산은 그물망으로, 목포산은 3kg 톱밥포장으로 반입되나 백화점 등 대형유통업체의 가격 할인 품목으로의 거래가 증가추세. 가격은 전일대비 보합세에 거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