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10.24(수)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007.10.24(수)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 우리공사에서 제공하는 가격동향 및 표준가격은 자유로이 인용 · 전재 할 수 있으나, 출처는 반드시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농산물
가격지수 : 142.9 전일대비 -0.86
《 강세 요인 》
○ 양념, 서양 채소류와 서류는 주 출하지역 교체기로 물량 감소하면서 강세
- 풋고추, 깐쪽파, 피망, 양상추, 케일은 강원지역 출하종료기로 물량 감소하여 시세 상승
- 상품성 좋은 서산 호박고구마 출하, 감자는 강원지역 출하량 감소로 오름세
《 약세 요인 》
○ 잎, 뿌리, 열매 채소류는 날씨가 싸늘해지면서 소비부진에 따른 재고증가로 약세
- 얼갈이, 시금치, 무는 전일 시세영향으로 반입량 증가, 전일 재고증가로 시세 하락
- 백다다기오이는 기온 하락영향으로 소비부진, 쥬키니호박은 납품업체 주문 감소로 내림세
◈ 고구마 감자류
가격지수 : 110.01 전일대비 5.61
◇ 고구마 - 보합세
- 금일 84톤 출하되면서 전일 대비 8% 반입량 감소.
- 고구마는 여주 36%, 익산 18%, 서산 13%, 논산 9%, 보령 8% 등 반입.
- 밤고구마는 여주 1,000-15,000원, 익산 2,000-16,000원,
- 호박고구마는 서산 1,500-19,000원, 보령 4,500-19,000원
- 충남 서산 호박고구마 및 경기 여주 밤고구마 출하량 감소.
- 보령산 호박고구마 상품성 우수로 판매호조. 제철 과일 많은 시기로
- 간식용인 고구마 소비 부진으로 중도매인 매수세 약화
- 금일 상품 평균 11,451원으로 전일수준의 보합세 거래
◇ 감자 - 약보합세
- 금일 204톤 출하되면서 전일대비 1% 반입량 감소.
- 수미종 감자는 평창 38%, 강릉 23%, 인제 14%, 횡성 9% 등 반입
- 평창 2,000-22,000원, 강릉 2,000-19,000원, 인제 3,000-21,000원.
- 강원지역 감자 출하량이 점차 안정되면서 금일 남원산 저장감자 출하.
- 산지 출하자 직접 출하가 줄면서 저장 유통업자 통한 출하 증가 전망
- 금일 상품 평균 18,526원으로 전일대비 6% 상승하면서 약보합세
◈ 잎채소류
가격지수 : 186.09 전일대비 -5.54
◇ 상추-내림세
- 금일 상추 반입량 감소하였으나, 주중장 수요 감소로 내림세 거래
- 상추류 전체 55톤 가량 반입되었고, 적포기 38톤, 청상추 10톤, 적상추 5톤 가량임
- 이천, 광주, 용인, 여주 등 경기 일원에서 주 출하되고 있으며, 논산에서 소량 출하됨
- 10월말에 접어들면서 가을 파종 물량이 출하되기 시작하면서 물량 증가 추세로
-점차 시세 안정화되고 있음
- 익일 주중장 수요 감소할것으로 보여 약세 전망
◈ 열매채소류
가격지수 : 157.26 전일대비 -0.64
◇ 쥬키니호박 - 내림세
- 금일 32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16% 감소.
- 충청지역 89%, 경기 7%, 강원 4% 반입됨. 논산 51%, 공주 26% 비중 차지
- 충청 논산, 공주 중심으로 출하되면서 경기지역 출하량 감소
- 전일 시세영향으로 반입량 감소하였으나 소매상 주문 감소로 재고 증가
- 10kg상자 상품 평균 5,891원으로 전일대비 10% 하락하면서 내림세
◈ 뿌리채소류
가격지수 : 223.91 전일대비 -19.44
◇ 무 - 내림세
- 금일 540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2% 감소.
- 강원 홍천 27%, 평창 19%, 정선 11%, 태백 6% 반입됨.
- 강원지역 박스단위 무가 출하기 종료 도래로 물량 감소. 충청권 다발무 출하증가
- 강원 산지 서리가 내리면서 상품성 저하품 늘어 판매부진하면서 재고 증가
- 18kg 중품 평균 14,974원으로 전일대비 14% 하락하면서 내림세
◈ 양념 채소류
가격지수 : 121.34 전일대비 4.13
◇ 생고추-오름세
- 생고추 전체 반입량은 전일 보다 26.9% 감소한 128톤가량 반입
- 품종별로는 청양 50톤, 일반풋고추 39톤, 꽈리 13톤, 홍고추 11톤 반입
- 전남과 경남 지역에서 출하량 증가하고 있으나 산지 교체시기로 물량 감소함
- 광주, 대구 등 지방도매시장으로의 출하도 꾸준하게 이루어 지고 있음
- 전반적인 소비는 다소 부진한 상황이지만 시장 반입량 감소로 강세를 형성하고 있음
- 익일 역시 반입량 많지 않을 것으로 보여 강세 전망됨
◇ 양파 - 약보합세
- 금일 654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10% 반입량 증가.
- 무안 50%, 해남 10%, 함평 9%, 함양 9%, 신안 6% 등 차지함
- 무안산 kg당 192-810원, 해남 188-513원, 함평 333-500원 거래.
- 전일 시세영향으로 경남 함양, 전남 신안지역 출하량 증가.
- 산지 기상 좋아 출하작업 활발로 반입량 늘어났으나 소매상 및 납품
- 업체 주문이 기대만큼 늘지 않아 전일 재고 증가로 매수세 약화
- 금일 상품 평균 457원으로 전일대비 2% 하락하면서 약보합세 거래
◇ 대파 - 약보합세
- 금일 224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4% 반입량 감소.
- 경기 고양 16%, 구리 8%, 이천 7%, 안성 7%, 철원 6% 등 반입
- 고양 1,300-2,450원, 구리 1,450-2,000원, 이천 1,050-2,350원
- 강원 평창지역 물량 줄면서 철원지역으로 출하지 이동. 경기 북부
- 지역에서 점차 경기 남부 및 충청권으로 교체되면서 반입량 감소
- 중소형 마트 및 지방소매상 주문 늘면서 중도매인 구매력 증가
- 금일 상품 평균 1,895원으로 전일대비 6% 상승하면서 약보합세 거래
◈ 서양 채소류
가격지수 : 219.89 전일대비 29.45
◇ 피망, 파프리카 - 오름세
- 금일 피망은 전자경매 기준 전일보다 20.1% 감소한 29톤 반입
- 청피망 23톤, 홍피망 6톤 가량임.
- 주 출하지인 강원도와 광주 지역 반입량 감소하여 오름세 거래
- 홍피망은 강원도 지역 출하 막바지로 물량 줄어 강세 지속됨
- 파프리카는 전일보다 22.9% 감소한 13톤가량 이며, 빨강 6톤, 노랑 5톤, 주황 1톤임.
- 피망의 강세로 대체 수요재인 파프리카의 수요도 늘어 강세 거래
- 익일 주중장으로 외식업체 등 수요 감소할 것으로 보여 약보합세 전망
◇ 양상추-오름세, 브로코리-내림세
- 양상추(법인 반입량 기준)는 전일보다 36.3% 감소한 44톤 반입됨
- 미국산 소량 반입되었고, 강원 지역 출하량 감소하여 오름세 거래
- 작황이 좋지 않고, 반입량 감소로 표준가격 대비 528.6% 수준으로 높은 시세를 보이고 있음
- 브로코리는 전자경매 기준 24톤가량 반입되어 전일보다 7.7% 감소
- 중국산과 강원도 물량이 대부분이며, 여주, 당진, 하동에서 소량 반입
- 반입량 감소하였으나 주중 외식업체 수요 감소로 소폭 하락함
- 익일은 주중장으로 수요 감소 예상되어 약보합세 전망됨.
◈ 버섯류
가격지수 : 105.92 전일대비 0.26
◇ 버섯류 - 약보합세
- 산지 출하조절로 전일대비 8% 감소한 190톤 반입
- 가을철 버섯 소비 꾸준으로 중도매인 재고량 감소추세
- 주중 급식업체 납품 수요 활발
- 금일 반입량이 증가한 표고를 제외하고 전 품목 보합세 형성
◇ 느타리 - 강보합세
- 산지 작업 부진으로 전일대비 16% 증가한 35톤 반입
- 경기 여주 25%, 양평 23%, 전남 보성 21%, 충남 보령에서 12% 반입
- 강원도 지역의 출하는 거의 되지 않고 있으며, 경기지역의 참느타리 버섯의 작업량은
꾸준한 반입량 유지
- 찌게, 전골류 소비 증가로 요식업체 구매 활발
- 상품 2kg 평균 8,455원으로 전일대비 7% 상승
2. 수산물
가격지수 : 104.97 전일대비 -1.03
《 강세 요인 》
○ 꾸준한 소비 수요를 보이는 주꾸미, 반입량 감소한 봉지바지락, 대구 강세
《 약세 요인 》
○ 주중 소비부진으로 소비지 중간도매상 구매량 줄어들어 내림세에 거래
- 반입물량이 증가한 수입낙지, 체장이 작은 고등어 약세
- 전문점 주문량 줄어든 일본산 생태, 아귀, 상품성 저조한 참조기, 삼치 하락세
◈ 생선류
가격지수 : 77.69 전일대비 -0.86
《 강세 요인 》
○ 수입고등어, 갈치, 일본산 갈치, 수입부세, 대구, 감숭어, 전어 강세
- 수입고등어는 국내산 고등어 상품성 저조와 반입량 감소로 대고등어 수요가 늘어 강세
- 갈치는 제주산 채낚기 출하량이 소폭 증가하였으나 일본 및 중국산 갈치 반입량이 감소하면서
전일대비 5톤 줄어들었음. 제주산 선도 양호하고 월명기를 앞두고 반입량 감소가
예상되어 상승세에 거래
- 일본산 갈치는 전문점 고정 수요는 꾸준하나 금일 반입량이 크게 줄어 소폭의 오름세
- 수입부세는 상품성이 우수한 중국산 반입과 가을철 수요가 늘어 강세 형성
- 전일 하락세를 보였던 대구는 죽변, 속초산 출하량 감소로 반입량이 줄어들었고
저가 물량은 소비량이 꾸준하여 중품이 오름세에 거래
- 가격 하락으로 출하량이 크게 줄어든 감숭어와 전어는 공급량 부족으로 큰 폭의 상승세를 보임
《 약세 요인 》
○ 고등어, 생태, 삼치, 아귀, 가자미 약세
- 고등어는 상품성 저조로 부산산 생물고등어 출하량이 줄어들어 반입량이 전일대비 4톤 감소하였음. 대고등어는 출하되지 않았고 중고등어는 소량, 소고등어 위주로 거래되었음. 전반적으로 체장이 작아 매기가 부진하여 내림세
- 일본산 생태는 반입량이 1톤 줄었으나 전일 가격상승에 따른 판매부진으로 시장내 재고가 충분하여 약세 - 아귀는 주중 전문점 주문량 감소와 최근 가격상승 지속에 따른 수입물량 증가로 수요가 분산되어 하락세
- 강세를 보였던 가자미는 체장이 작은 중소형어 위주로 거래되면서 내림세에 거래
◈ 조개류 114.28 전일대비 +2.33
《 강세 요인 》
○ 새꼬막, 봉지바지락, 홍합, 가무락(모시조개). 굴(잔굴) 강세
- 새꼬막은 10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3톤 감소. 순천산이며 전일 미판매분 증가에 따른 산지의 출하 물량조절로 반입량은 감소. 소포장 물량이 증가추세로 가정수요도 점차 증가 하여 오름세
- 바지락은 8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5톤 감소. 태안(안면도)산이며 겉바지락은 씨알이 굵고 선도는 양호하나 반입량 감소로 오름세, 중국수입산은 소량 반입되어 20kg망당 40,000원선에 거래되었으나 상품성은 양호하였음. 거래 비중이 높은 봉지바지락도 국내산이 주거래되었고 반입량 감소로 오름세였으나 주소비처는 칼국수 전문점 등 요식업소였음.
- 홍합은 20톤 반입되었고 마산, 여수산이었음. 산지 출하량 조절로 반입량은 감소하였고 전문 요식업소의 꾸준한 소비로 강세
- 가무락(모시조개)은 목포,남해산이 반입됨, 흑모시로 씨알과 선도가 양호하였고 고정 수요처의 물량 확보로 강세
《 약세 요인 》
○ 굴(중굴), 겉소라, 동죽(겉, 깐동죽) 약세
- 굴은 11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2톤 감소, 거래비중이 높은 중굴은 통영산이 가격을 주도하였고 전일 미판매분 누적으로 가격은 약세였고 급식 및 요식업소 등과 가정 수요 증가는 추세. 소량씩 반입되는 잔굴은 사천,남해,고흥산이며 선도가 좋고 높은 가격에도 수요증가로 강세
- 겉소라는 제주, 군산, 순천, 서천산이 소량 반입됨, 제주산이 씨알이 굵고 선도가 양호하여 선호도가 높았음. 산지, 포장 형태 등에 따라 가격차이가 컸고 수요처 한정으로 매기부진으로 약세
- 동죽과 해락(동죽살)은 서산산으로 소량 반입되었으나 매기부진으로 내림세
◈ 연체류 78.00 전일대비 -8.28
《 강세 요인 》
○ 주꾸미, 문어 강세
- 주꾸미는 2톤 반입되었으나 냉동물량이 많았음. 국내산은 여수,서천산이 소량 반입되었으나 여수산은 씨알이 크고 선도양호로 서천산에 비해 2배 이상 높은 가격에 거래. 수입산은 중국산이 소량 반입되었으나 요식업소의 수요 증가로 강세
- 문어는 속초, 울진, 포항, 서산, 고흥산 중, 소문어가 소량 반입됨, 서산산은 잔문어가 낱마리로 반입, 기타지역산은 중문어가 포장 반입되어 다소 높은 가격에 형성되면서 강세
《 약세 요인 》
○ 생물오징어, 수입냉장낙지, 산낙지, 미더덕, 오만둥이 약세
- 생물오징어는 23톤 반입으로 전일대비 3톤 감소. 대부분 동해안산 채낙기 물량이나 부산산 그물오징어도 소량 반입되어 낮은 가격에 거래됨. 채낙기 물량은 체장과 선도 양호로 선호도는 높으나 반입증가로 내림세. 그물오징어는 소량 반입에도 선도부진으로 등급간 가격차이가 커 내림세
- 수입냉장낙지는 중국산으로 16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3톤 증가, 선도도 좋고 크기별로 고르게 반입되어 고정 수요처의 선호도가 높으나 반입량 증가로 내림세
- 산낙지는 중국산이며 반입 증가로 내림세
- 미더덕와 오만둥이는 미더덕은 마산, 오만둥이는 마산,여수산이 반입되었음. 반입량 감소에도 전문 요식업소의 수요 부진으로 약세
※ 활 꽃게 서산, 인천산으로 19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7톤 증가, 산지가격은 높게 형성되었으나 소비지 가격은 매기부진으로 전일대비 약보합세. 그물망으로 반입된 물꽃게는 kg당 상품기준 15-17,000원. 3kg 톱밥게는 33-35,000원선에 거래되었고 백화점 등 대형유통업체의 가격 할인 품목으로의 거래가 꾸준하였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