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5.23(금)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008.5.23(금)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 우리공사에서 제공하는 가격동향 및 표준가격은 자유로이 인용 · 전재 할 수 있으나, 출처는 반드시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농산물
가격지수 : 111.44 전일대비 -4.96
《 약세 요인 》
○ 주말장 기대 수요 상승으로 반입량 증가했으나, 경기 부진으로 소비 침체되어 약세
- 감자는 물량 증가로, 고구마는 장기 저장으로 인한 상품성이 떨어져 하락 폭이 컸음
- 오이, 풋고추, 열무 등 열매, 양념 채소류 등도 내림세 거래
《 강세 요인 》
○ 낮은 가격이 지속되고 있어 소비가 활발한 서양채소류와 버섯류 등이 오름세 거래
- 브로코리는 수입량이 감소하였고, 대형 마트 세일 행사로 큰 폭 상승함. 케일, 신선초 등도 강세
- 팽이버섯은 저가로 산지 출하량 줄어 오름세
◈ 고구마 감자류
가격지수 : 195.46 전일대비 -23.6
◇감자-내림세
- 노지감자 출하가 늘면서 반입량 증가로 내림세
- 금일 반입량은 전자경매 기준 571톤으로 올해 들어 가장 많은 물량이 출하됨
- 대부분이 수미종인 가운데 대지(22톤), 조풍(10톤)이 소량 반입됨
- 지역별 출하비중은 보성 50%, 장흥 16%, 밀양 12%, 고령 4%에서 출하됨
- 노지감자 주산지인 보성의 물량 증가가 두드러졌고 그밖에 고령, 밀양도 출하량이 증가함
- 가격은 20kg 상품 33,528원, 보통 27,655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7%, 9.1% 내림세
◈ 잎채소류
가격지수 : 101.7 전일대비 -5.07
◇배추-내림세
- 전일 가격 오름세로 출하량이 늘어 내림세로 돌아섬
- 금일 반입량은 649톤으로 전일대비 20.5% 증가하였는데 전일 출하량이 적어 가격이 많이 오른데다
작업여건도 좋았기 때문임
- 지역별 출하비중은 홍성 26%, 해남 18%k, 고창 14%에서 출하됨
- 월동은 출하량이 급감해 20% 밑으로 떨어졌고 봄배추는 충정지역이 거래를 주도하는 가운데
전라지역의 물량이 증가하는 추세임
- 가격은 10kg그물망 기준 상품 3,042원, 보통 2,461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17.4%, 16.3% 하락함
- 월동은 재작업된 골판지 상자 봄배추는 무안에서 출하된 50망싸이즈가 상품성이 좋아 높은 시세를
형성함
◈ 열매채소류
가격지수 : 94.04 전일대비 -5.83
◈ 뿌리채소류
가격지수 : 119.37 전일대비 -0.1
◇무-등급별 등락이 엇갈림
- 제주산 막바지 월동무 출하량이 늘면서 반입량 증가로 내림세
- 금일 반입량은 642톤으로 전일대비 30.2% 증가하였으며 제주 77%, 부여 5%, 나주 5%에서 출하됨
- 전일에 비해 월동무는 150톤 가량 증가했으나 봄무는 전일 수준에 그침
- 제주산은 저장기간이 길어지면서 상품성 하락이 뚜렷하고 봄무 출하로 가격 하락을 우려 출하를 서두름
- 가격은 18kgpe대 상품 6,842원으로 4.1% 하락하였으나, 보통 5,292원으로 2.3% 상승함
◈ 양념 채소류
가격지수 : 107.3 전일대비 -3.65
◇ 대파 - 약세
- 금일 전자경매 기준 전일과 비슷한 199톤가량 반입되었고,
- 고양 30%, 포천 16%, 구리 14%, 남양주 9%, 진도 2% 등에서 출하
- 시장 반입량에 따라 시세 등락을 보이고 있으며,
- 주말장임에도 소비 부진으로 수요 기대에 미치지 못해 약세 거래됨
◇ 양파 - 상승세
- 금일 전자 경매 기준 729톤 반입되어 전일 보다 6%가량 감소함
- 무안 76%, 함평 9%, 해남 3%, 중국 3%, 김천 2% 가량임
- 반입물량 감소하였고, 주말장 소비 증가로 오름세 거래
- 제주산 출하 종료되었고, 작황도 다소 부진한 것으로 보여 당분간 강보합세 전망됨
◈ 서양 채소류
가격지수 : 91.78 전일대비 0.6
◇ 피망 - 내림세, 파프리카 - 오름세
- 피망은 전자경매 기준 42톤가량 반입되어 전일보다 7% 증가.
- 청피망 34톤, 홍피망 8톤가량이며, 진주, 광주, 나주에서 주로 출하됨
- 전일 시세 상승과 주말 수요 기대한 물량 증가로 내림세 거래
- 파프리카는 10톤가량 반입되어 전일보다 66%가량 큰 폭 감소함
- 빨강 4톤, 노랑 5톤, 주황 1톤이며 화성 35%, 남해 19%, 화순 16%, 마산 10% 등에서 출하중.
- 반입량 큰 폭 감소로 구매력 증대하여 오름세 거래됨
◈ 버섯류
가격지수 : 91.48 전일대비 3.63
□ 패류(조개류 및 연체류) : 금일 반입량 68톤, 전일대비 28톤 감소
◈ 조개류 표준가격지수 : 100.23, 전일대비 -2.87
○ 조개류 상승품목 : 깐홍합, 동죽, 바지락수입, 홍합
○ 조개류 하락품목 : 새고막, 가무락(모시조개), 봉지바지락, 바지락, 동죽살, 소라(피뿔고동)
◈ 연체류 표준가격지수 : 115.55, 전일대비 +1.37
○ 연체류 상승 품목 : 갑오징어, 주꾸미수입, 문어
○ 연체류 내림세 품목 : 미더덕, 물오징어, 낙지수입
◈ 갑각류 표준가격지수 : 102.5, 전일대비 +0.00
○ 갑각류 하락 품목 : 활꽃개 암. 활꽃게 수
□ 건어류 : 반입물량 금일 38톤 반입 전일대비 3톤 감소
◈ 건어류 표준가격지수 : 123.26, 전일대비 +0.05
○ 건어류 보합세 품목 : 건멸치, 건오징어, 건명태, 김, 미역
《 건어류 보합세 요인 》
- 건멸치는 27톤 반입 전일대비 7톤 증가. 건멸치 가격은 보합세
- 건오징어는 1톤 반입 전일대비 6톤 감소. 가격은 보합세.
- 건명태는 5톤 반입 전일대비 1톤 증가. 가격은 보합세.
- 김은 미 반입되어 전일대비 3톤 감소. 가격은 보합세.
- 미역은 5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2톤 감소. 가격은 보합세
□ 패류(조개류 및 연체류) : 금일 반입량 68톤, 전일대비 28톤 감소
◈ 조개류 표준가격지수 : 100.23, 전일대비 -2.87
○ 조개류 상승품목 : 깐홍합, 동죽, 바지락수입, 홍합
○ 조개류 하락품목 : 새고막, 가무락(모시조개), 봉지바지락, 바지락, 동죽살, 소라(피뿔고동)
◈ 연체류 표준가격지수 : 115.55, 전일대비 +1.37
○ 연체류 상승 품목 : 갑오징어, 주꾸미수입, 문어
○ 연체류 내림세 품목 : 미더덕, 물오징어, 낙지수입
◈ 갑각류 표준가격지수 : 102.5, 전일대비 +0.00
○ 갑각류 하락 품목 : 활꽃개 암. 활꽃게 수
□ 건어류 : 반입물량 금일 38톤 반입 전일대비 3톤 감소
◈ 건어류 표준가격지수 : 123.26, 전일대비 +0.05
○ 건어류 보합세 품목 : 건멸치, 건오징어, 건명태, 김, 미역
《 건어류 보합세 요인 》
- 건멸치는 27톤 반입 전일대비 7톤 증가. 건멸치 가격은 보합세
- 건오징어는 1톤 반입 전일대비 6톤 감소. 가격은 보합세.
- 건명태는 5톤 반입 전일대비 1톤 증가. 가격은 보합세.
- 김은 미 반입되어 전일대비 3톤 감소. 가격은 보합세.
- 미역은 5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2톤 감소. 가격은 보합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