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3.18(화)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008.3.18(화)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담당부서 전산정보팀
문의 0234350314
수정일 2008-03-18 09:06

















※ 우리공사에서 제공하는 가격동향 및 표준가격은 자유로이 인용 · 전재 할 수 있으나, 출처는 반드시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농산물

가격지수 : 99.71 전일대비 -0.79
《 약세 요인 》
○ 예년보다 높은 기온이 일주일 넘게 지속되면서 농산물 생육이 활발해 반입량이 꾸준한데다
주 중반으로 소비량도 적어 내림세
- 기온에 따라 생산량 증가가 많은 열매 채소류가 내림세를 주도하였고 햇감자 출하량이 많아
서류도 약세.
- 품목별로는 가지, 취나물, 미나리, 느타리 등이 많이 내림
《 강세 요인 》
○ 저장기간이 길어지면서 출하량이 줄고 있는 양념채소류와 가격 약세로 산지에서 작업량을 조절한
뿌리채소류가 오름세
- 얼갈이 배추, 상추(적포기), 신선초 등이 많이 오름

◈ 고구마 감자류
가격지수 : 122.25 전일대비 -4.22
◇ 감자-내림세
- 밀양을 중심으로 햇감자 출하량이 늘면서 내림세
- 금일 반입량은 259톤으로 전일대비 5.9% 감소하였으며 품종별로 대지 193톤, 수미 51톤,


수입 19톤이 반입됨
- 수미는 밀양(18%), 평창(12%), 인제(11%)에서 대지는 전량 제주에서 출하됨
- 육지산 햇감자는 수미 물량의 50%를 넘게 점유하여 거래를 주도함
- 가격은 20kg상자 상품기준 수미 33,412원, 대지 28,398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0.4%,


12.1% 하락함
- 수미는 햇감자 출하가 많아 상대적으로 가격 내림세가 적었으나 대지는 햇감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품성이 떨어져 내림폭이 크게 나타남
- 수미종의 지역별 평균가격은 밀양 39,000원, 평창 22,150원, 인제 19,160원으로 지역별 가격


차이가 심함

◈ 잎채소류
가격지수 : 100.46 전일대비 0.24
◇ 배추-오름세
-전일에 이어 다소 많은 물량이 출하되었으나 무난히 소화되면서 오름세
- 금일 반입량은 717톤으로 전일대비 2.2% 감소하였으나 지난주 일평균 반입량 680톤 대비 6%


정도 많은 물량임
- 금주 들어 가격이 오름세인데다 기온 상승으로 출하작업을 서두르는 모습임
- 가격은 10kg그물망 기준 상품 4,157원, 보통 2,956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6.6%, 11.6% 상승함
- 봄철 나들이 인파로 요식업소 소비가 꾸준하고 예년보다 높은 고온 현상이 지속되면서 햇김치


수요가 증가함

◈ 열매채소류
가격지수 : 96.28 전일대비 -8.64


◈ 뿌리채소류
가격지수 : 113.64 전일대비 0.25
◇ 무-오름세
- 전일 가격이 약세인데다 지난주 토요일부터 다소 많은 물량이 출하되어 재고 누적으로 출하량이


크게 감소함
- 금일 반입량은 617톤으로 전일대비 12.7% 감소하였으며 서귀포 76%, 남제주 11%, 제주시 8%,


진도 5%에서 출하됨
- 대부분 제주지역에서 출하된 가운데 지난주부터 진도에서 마대무가 1일 1-3대가량 출하됨
- 가격은 18kgpe대 기준 상품 6,698원, 보통 5,998원으로 전일대비 1.8%, 2.5% 상승함
- 재고 부담으로 물량감소에도 가격은 소폭 오름세에 그침

◈ 양념 채소류
가격지수 : 99 전일대비 2.24
◇ 생고추 - 내림세
- 생고추 전체 반입량은 전자경매 기준 135톤으로 전일과 비슷한 수준임
- 품종별로는 청양 55톤, 일반풋고추 41톤, 꽈리 22톤, 홍고추 7톤 가량임
- 최근 높은 기온이 계속되면서 반입량 증가하고, 소비는 감소하여 내림세
- 주 출하지는 밀양, 진주, 창녕 등이며,
-
홍고추는 물량 많지 않은데다 열무김치 수요 증가 등으로 소비 증가해 상승 지속
◇ 대파 - 오름세
- 금일 전자경매 기준 293톤 반입되어 전일 보다 20% 감소
- 전남 진도 53%, 신안 44%에서 출하되고 있으며
- 전일 저가 매수세 유입으로 재고량 감소한데다, 반입량 감소하여 오름세 거래
- 산지 출하 대기 물량이 많지 않은데다, 농가의 물량 조절도 이루어지고 있어 강세 전망됨

◈ 서양 채소류
가격지수 : 65.97 전일대비 -2.09
◇ 피망, 파프리카 - 내림세
- 피망은 전자경매 기준 46톤 반입되어 전일 보다 53% 증가.
- 청피망 34톤, 홍피망 12톤이며, 진주, 광주, 화순, 남해에서 주로 출하됨
- 기온 상승으로 반입량 크게 증가하여 내림세 거래
- 파프리카는 8톤가량 반입되어 전일 보다 54% 감소
- 빨강 4톤, 노랑 3톤, 주황 0.7톤가량이고, 남해 24%, 화순 23%, 김제 23%의 점유율 보임
- 반입물량 감소하였으나, 피망 물량 증가로 인한 대체 수요 증가 등으로 하락함
◇ 양상추 - 내림세, 브로코리 - 오름세
- 양상추는 법인 반입 기준 60톤으로 전일보다 15% 증가
- 하동 53%, 의령 25%, 광양 18%의 점유를 보였으며, 횡성에서도 소량 출하됨
- 소비 부진한 가운데, 반입량 증가로 내림세
- 브로코리는 전자경매 기준 33톤 가량 반입되었고, 제주산 22톤(68%), 중국산 11톤(32%)임.
- 반입량 감소 지속으로 중도매인 구매력 상승으로 오름세 거래됨

◈ 버섯류
가격지수 : 90.06 전일대비 1.67
◇ 버섯류 : 강보합세
- 반입물량이 189톤으로 전일대비 81% 물량이 출하
- 주말이틀 장세와 예년보다 높은 날씨 지속으로 출하량이 30%이상 증가하였으나 약세형성과 소비부진으로 재고누적이 많아 반입물량이 대폭 감소
느타리와 새송이를 제외하고 버섯류 전품목이 보합 또는 강보합세 형성.
- 느타리버섯은 일기가 따뜻해지면서 야외활동이 증가하여 소비가 주춤. 매기부진으로 약보합세 형성
- 표고는 반입량이 전일대비 감소 폭이 컸으며 수입산의 반입으로 중.하품의 소비가 증가하여 보합세
- 새송이는 소비가 주춤하고 물량이 증가되어 약보합세로 거래.
- 팽이는 물량이 대폭 감소하였고 소비가 원활하여 소폭 오름세 전망.


2. 수산물

□ 패류(조개류 및 연체류) : 반입량 101톤 전일대비 4톤 감소

◈ 조개류 표준가격지수 : 104.49 전일대비 +0.06

《 조개류 강세 요인 》
○ 조개류 강세품목 : 동죽과 동죽살(해락), 새고막(7kg pp대), 깐바지락,
깐홍합, 홍합, 소라(피뿔고동)
- 동죽과 해락(동죽살)은 서산산이 주 반입. 가격은 오름세
- 새꼬막은 15톤 반입 전일대비 2톤 증가. 전량 순천산이 주 반입. 7kg pp대 새꼬막 가격은 오름세, 17kg그물망 새꼬막 가격은 내림세.
- 깐바지락(1㎏)은 삼천포산이 주 반입. 가격은 강보합세
- 깐홍합은 여수산이 주 반입됨. 가격은 강보합세
- 홍합은 21톤 반입 전일과 같음. 마산산·여수산이 주 반입됨. 하품 가격은 강보합세, 중상품은 보합세
- 소라(피뿔고동)은 군산산과 장항산이 주반입. 중품 가격은 강보합세.

○ 조개류 약세품목 : 멍게(우렁쉥이), 가무락(모시조개), 바지락수입, 봉지바지락(5㎏), 굴, 새꼬막(17kg 그물망),
《 조개류 약세 요인 》
- 멍게(우렁쉥이) 충무산이 주 반입. 가격은 내림세
- 가무락(모시조개)은 순천산이 주 반입. 가격은 중품은 내림세, 상품은 보합세
- 바지락수입(20kg 그물망)은 8톤반입 전일과 같음. 전량 북한산으로 전문요식업소 등 고정수요처의 수요 한정으로 가격은 내림세
- 봉지바지락(5㎏)은 전량 북한산이 주반입. 가격은 내림세
- 굴은 8톤 반입 전일대비 2톤 감소. 충무, 삼천포, 남해산이 주 반입. 가격은 약보합세
- 새꼬막은 13톤 반입 전일대비 1톤 증가. 전량 순천산이 주 반입. 17kg그물망 새꼬막 가격은 약보합세. 7kg pp대 새꼬막 가격은 중상품은 강보합세 하품은 오름세.

◈ 연체류 가격지수 : 100.96 전일대비 +2.99

○ 연체류 강세품목 : 물오징어, 미더덕, 문어
《 연체류 강세 요인 》
- 살(물)생오징어는 8톤 반입 전일대비 3톤 감소. (제주산 채낚기 최상품 및 구룡포 및 울산산 상품 물량은 미반입) 거제도산이 주 반입 반입물량 감소로 가격은 대폭 오름세. 등급간 가격차이가 심하여 6㎏상자 상품 가격은 30,000-31,000원, 중품은 20,000-26,000원, 하품은 13,000-19,000원에 경매됨
- 미덕덕(상품)은 1톤 반입 전일대비 1톤 감소. 마산산이 주 반입. 반입물량 감소로 가격은 오름세
- 문어는 서산산 소문어 가격은 오름세

○ 연체류 약세품목 : 주꾸미, 주꾸미수입, 낙지수입, 오만둥이, 오징어냉동연안
《 약세 요인 》
- 쭈꾸미(5㎏)는 5톤 반입 전일대비 1톤 증가. 가격은 전일대비 내림세. 등급간 가격 차이가 심하여 국내산 서산산 살아있는 활어 쭈꾸미 1㎏ 13,500원(5㎏ 67,500원), 국내산 군산산 선어냉장 패류 쭈꾸미 상품은 5㎏ 28,500-29,000원, 군산산 선어냉장 패류 쭈꾸미 중품은 5㎏ 18,000원-20,000원에 경매됨
- 쭈꾸미수입은 전량 중국산이 주 반입. 가격은 내림세, 중국산 선어냉장 패류 수입쭈구미 4㎏ 상품은 18,500-19,000원, 중품은 17,000-18,000원에 경매됨, 중국산 수입 냉동쭈꾸미 가격은 5㎏ 상자에 12,000원에 거래됨
- 낙지수입은 3톤 반입 전일대비 1톤 감소. 중국산으로 가격은 내림세
- 오만둥이(상품)는 마산산과 여수산이 주 반입. 가격은 약보합세
- 오징어냉동연안(8㎏ PAN)는 부산산이 주 반입 가격은 약보합세

□ 건어류 : 물량 금일 90톤 반입 전일대비 38톤 감소

◈ 건어류 가격지수 : 128.99 전일대비 -1.38

○ 건어류 약세품목 : 돌김(하품), 건세멸치,
《 약세 요인 》
- 건멸치는 61톤 반입 전일대비 27톤 감소. 반입물량 감소에도 가격은 내림세
- 김은 7톤 반입 전일대비 15톤 감소. 가격은 약보합세

○ 건어류 보합세 품목 : 건멸치, 건오징어, 건명태, 김, 미역
《 보합세 요인 》: 전일과 가격 비슷함(거의 변동 없음)
- 건오징어는 1톤 반입 전일대비 2톤 감소. 가격은 보합세
- 건명태는 5톤 반입 전일대비 1톤 증가. 가격은 보합세
- 미역은 7톤 반입 전일대비 15톤 감소. 가격은 보합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