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3.31(월)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008.3.31(월)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 우리공사에서 제공하는 가격동향 및 표준가격은 자유로이 인용 · 전재 할 수 있으나, 출처는 반드시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농산물
가격지수 : 104.77 전일대비 1.05
《 강세 요인 》
○ 주초장 농산물 수요 증가한데다 산지 우천으로 작업량 감소한 품목 위주 오름세
- 대파와 쑥 등은 작업 부진하여 출하량 감소하였고, 세척 당근은 수입 원가 상승으로 강세
- 기타 홍피망, 상추, 근대, 쪽파 등의 오름폭이 컸음
《 약세 요인 》
○ 출하 막바지로 상품성 떨어진 봄동, 섬초, 유채 등 약세 형성
- 또한 반입량 증가 폭이 큰 배추, 감자, 취청오이 등이 하락함
◈ 고구마 감자류
가격지수 : 153.61 전일대비 -0.56
◇감자-내림세
- 지난 주말 출하량이 적어 급등하였던 가격이 금일 물량이 늘어 내림세로 돌아섬. 그러나 물량
증가대비 가격 내림세는 소폭에 그쳐 상대적으로 소비가 활발한 편임
- 금일 반입량은 295톤으로 전일대비 65.5% 증가하였으며 3월 하순들어 처음으로 300톤
가까이 출하됨
- 품종별로 수미 237톤, 대지 44톤, 수입 14톤, 기타 5톤이 이 반입됨
- 전일에 비해 남원을 중심으로 햇감자 수미종의 물량 증가가 두드러짐
- 가격은 20kg상자 상품 기준 수미 58,287원으로 6.3% 하락하였으나, 대지 40,294원으로
4.8% 상승함
◈ 잎채소류
가격지수 : 107.18 전일대비 -1.99
◇배추-내림세
- 노지 작업이 마무리되어 대부분 저장 배추가 출하된 가운데 반입량이 지난 주말에 비해
크게 증가함
- 금일 반입량은 761톤으로 지난 주말에 비해 2배 가까이 증가하였은데 지난주 가격이 가파르게
상승하면서 출하량을 늘린 것으로 보임
- 출하지역은 해남 78%, 무안 11%, 진도 6% 순으로 전일과 큰 변화가 없음
- 가격은 10kg그물망 기준 상품 6,156원, 보통 5,201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8.9%, 14.7% 하락함
- 재고물량이 어느정도 정리되었음에도 금일 출하량이 많았고 지난주 가격 급등의 영향으로
소비가 위축됨
- 저장물량이 본격 거래되면서 산지 출하조절이 용이해 가격은 소폭 등락을 거듭하며 현 수준에서
안정세를 유지할 듯
◈ 열매채소류
가격지수 : 100.91 전일대비 0.33
◈ 뿌리채소류
가격지수 : 117.26 전일대비 1.66
◇무-내림세
- 주초 이틀치 물량 출하로 지난 주말에 비해 반입량이 증가하였으나 평소 주초 물량에 비해서는
적어 오름세
- 금일 반입량은 564톤으로 전일대비 18.2% 증가하였으나 지난주 월요일 651톤에 비해 87톤 적은
물량임
- 주산지인 제주지역에 기상악화로 산지 작업이 여의치 못했던데다 지난주 가격약세로 출하를
서두르지 않음
- 가격은 18kgpe대 기준 상품 6,781원, 보통 6,225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1.5%, 6.4% 상승함
- 주초 납품 소비가 몰리면서 상대적으로 저가품의 오름세가 두드러짐
◈ 양념 채소류
가격지수 : 100.86 전일대비 3.85
◇ 생고추 - 보합세
- 생고추 전체 반입량은 전자경매 기준 183톤으로 전주말 보다 39% 증가함
- 품종별로는 청양 70톤, 일반풋고추 68톤, 꽈리 26톤, 홍고추 9톤 가량임
- 반입량은 큰 폭 증가하였으나, 주초장 농산물 수요 증가로 보합세 거래
- 기온 상승하면서 출하 활발한 반면, 매운맛의 청양 소비 부진이 두드러짐
- 홍고추는 봄철 수요 증가로 강세 거래
◇ 대파 - 오름세
- 금일 전자경매 기준 320톤 반입되어 전주말 보다 3% 증가함
- 전남 진도 67%, 신안 28%, 영광 3%의 점유율을 보임
- 산지 우천으로 출하 작업 부진해 주초 수요에 미치지 못해 오름세 거래
- 내일 역시 반이량의 큰 폭 증가는 없을 것으로 보여 강보합 전망
◇ 양파 - 오름세
- 금일 법인 경매 기준 597톤 반입되어 전주말 보다 2%가량 감소
- 무안 44%, 신안 20%, 영천 10%, 함평 7%에서 출하중
- 저장 물량 감소 추세인데다, 금일 반입량이 주초 수요에 미치지 못해 강세
- 조생양파의 작황이 다소 부진할 것으로 보여 향후 상승세 전망됨
◈ 서양 채소류
가격지수 : 63.43 전일대비 1.64
◇ 피망, 파프리카 - 내림세
- 피망은 전자경매 기준 55톤 반입되어 전주말 보다 9% 증가
- 청피망 25톤, 홍피망 8톤이며, 청피망 진주 97%, 홍피망 광주 70% 점유
- 소비 부진으로 예년보다 낮은 가격이 계속되고 있음
- 파프리카는 22톤가량 반입되어 전부말 보다 48%가량 큰 폭 증가
- 빨강 7톤, 노랑 14톤, 주황 1톤가량이고, 진주, 화순, 진천에서 주 출하됨
- 반입량 증가 및 수요 부진으로 내림세 거래
◈ 버섯류
가격지수 : 93.02 전일대비 2.12
◇ 버섯류 : 강보합세
- 반입물량이 203톤으로 주초 반입량 증가.
- 주초 버섯류의 출하가 많았지만 원자재 상승으로 재배면적이 감소함.
반입량은 많았지만 소비지의 소비가 많아 활성화되어 버섯류 전품목이 소폭 상승세
. 느타리버섯은 소비자 소비는 꾸준하여 강보합세를 형성하였고 당분간 시세는 큰차이를 보이지 않을 것
으로 전망
. 표고는 전체적으로 반입물량이 증가하였으나 원목 표고의 고품질 물량이 감소되면서 특품의 시세는
일부 소폭 상승하였고, 중.하품류 대부분은 하락함.
. 팽이버섯은 물량이 감소하였고 시세는 약보합세를 나타냄. 팽이버섯은 소비가 주춤하여
당분간 약보합세를 유지할 전망.
. 양송이는 소비가 꾸준하여 강보합세를 보였고, 새송이는 소비도 주춤하고 매기도 부진하여
시세는 약1보합세 형성.
2.수산물
□ 패류(조개류 및 연체류) : 금일 반입량 95톤 전일대비 10톤 증가
◈ 조개류 표준가격지수 : 107.17 전일대비 +0.77
○ 조개류 강세품목 : 홍합, 바지락수입, 동죽, 가무락(모시조개) 중품, 깐홍합, 깐바지락, 새꼬막 17kg그물망
《 조개류 강세 요인 》전문 요식업소의 수요 증가로 강세
- 홍합은 22톤 반입 전일대비 1톤 증가. 남해산과 여수산이 주 반입, 가격은 중품은 오름세 상품 및 하품은 강보합세. 전일대비 15㎏ 중품 가격은 21.4% 상승(4,250원), 30㎏ 중품 가격은 8.7% 상승(12,500원), 30㎏ 상품 가격은 7.4%상승(14,500원)
- 바지락수입(20kg 그물망)은 8톤 반입 전일대비 1톤 감소. 전량 북한산으로 가격은 오름세. 전일대비 20kg 상품은 13.6%상승(37,500원), 중품은 14.8%상승(35,000원)
- 동죽(1㎏)은 인천산이 주 반입. 가격은 강보합세, 전일대비 상품 9.1.4% 상승(1㎏ 900원)
- 가무락(모시조개)은 군산산과 목포산 주 반입. 중품 가격은 강보합세, 중품 7.7% 상승(20kg망 84,000원)
- 깐홍합(1㎏)은 여수산과 마산산이 주 반입됨. 가격은 강보합세. 상품 가격은 6.5%상승(1㎏ 2,450원)
- 깐바지락(1kg)은 삼천포, 마산,인천,고흥산이 주 반입, 가격은 강보합세. 깐바지락 상품 가격은 1kg망에 9,150원으로 전일대비 5.2%상승.
- 새꼬막은 15톤 반입 전일대비 4톤 증가. 전량 순천산이 주 반입.17kg그물망 가격은 강보합세 7kg 가격은 약보합세, 가격은 17kg망에 상품은 36,500원으로 4.3%상승, 중품은 30,000원으로 1.7%상승. 7kg pp대 새꼬막 하품은 10,750원으로 2.4%상승, 중품은 12,650원으로 2.7%하락, 상품은 16,750원으로 1.5%하락
○ 조개류 보합세품목 : 굴, 해락(동죽살), 대합, 키조개,
《 조개류 보합세 요인 》
- 굴(1kg)은 7톤 반입 전일과 같음. 삼천포, 남해, 충무산이 주 반입. 가격은 보합세, 중하품 가격은 변동 없음 1kg에 중품은 5,000원 하품은 4,250원, 특품 가격은 전일대비 0.9%상승(1kg에 5,550원)
- 해락(동죽살)은 서산산이 주 반입. 가격은 강보합세 전일대비 중품 2.5%상승
○ 조개류 약세품목 : 바지락, 봉지바지락, 가무락(상품), 새꼬막7kg pp대
《 조개류 약세 요인 》
- (겉)바지락(17kg 그물망)은 8톤 반입 전일대비 1톤 감소.(상품성이 우수한 국내산 안면도산 미반입) 군산산이 주반입 가격은 내림세. 군산산 (겉)바지락 가격은 전일대비 14.6%하락 17kg망에 35,000원에 경매됨.
- 봉지바지락 상품(5㎏)은 전량 북한산이 주 반입. 가격은 보합세, 전일대비 상품은 4.5%하락(5㎏상자 10,500원), 중품은 1.5%하락(5kg상자 10,100원)
- 가무락(모시조개)(중품 20kg 망)은 군산산과 목포산 주 반입. 중품 가격은 강보합세 상품가격은 약보합세, 중품은 7.7% 상승(20kg망 84,000원), 상품은 5.6%하락(20kg망 101,500원)
- 새꼬막은 15톤 반입 전일대비 4톤 증가. 전량 순천산이 주 반입. 17kg그물망 가격은 강보합세 7kg 가격은 약보합세, ① 17kg망에 상품 가격은 36,500원으로 4.3%상승, 중품은 30,000원으로 1.7%상승. ② 7kg pp대 새꼬막 하품은 10,750원으로 2.4%상승, 중품은 12,650원으로 2.7%하락, 상품은 16,750원으로 1.5%하락
◈ 연체류 가격지수 : 101.88 전일대비 +3.08
○ 연체류 강세품목 : 물오징어(제주산 상품), 주꾸미(중품), 주꾸미수입, 오만둥이, 미더덕, 활낙지(자연), 갑오징어, 냉동오징어(8kg pan)
《 연체류 강세 요인 》주꾸미 철을 맞아 연체류 수요 증가
- 생(물)오징어는 4톤 반입 전일대비 1톤 증가. 등급간 가격차이가 심하고 체장이 큰 채낚기 상품은 대폭오름세, 체장이 작은 트롤(그물망) 중하품은 내림세. 체장이 큰 제주산 채낚기 물오징어 반입으로 상품가격은 대폭 오름세, 전일대비 상품 가격은 6㎏상자에 38,000원으로 81%상승 . 중하품은 체장이 작은 그물망 오징어인 부산산과 울산산 주 반입. 중품은 6㎏상자에 16,000원으로 5.9%하락, 하품은 11,500원(7,000-16,000원)으로 11.5%하락.
- 쭈꾸미(5㎏)는 8톤 반입 전일대비 2톤 증가. 주꾸미 철을 맞이하여 수요증가로 선어냉장 생물 주꾸미 중품가격은 오름세, 살아있는 활 주꾸미 상품 가격은 내림세. ① 살아있는 최상품 활어 쭈꾸미는 중국산 활 쭈구미 1㎏에 8,000원, 5㎏에 40,000원. 서산산 1㎏에 7,000원, 5㎏에 35,000원에 경매됨. 상품가격은 평균 37,500원으로 16.7%하락. ② 군산산 선어냉장 생물 쭈꾸미 중품은 5㎏ 27,500원(22,000원-33,000원)으로 전일대비 57%상승
- 쭈꾸미수입은 전량 중국산이 주 반입. 가격은 오름세, 중국산 선어냉장 생물 수입쭈구미 4㎏ 상품은 29,000원으로 전일대비 18.4%상승, 중품은 4㎏에 24,500원으로 28.9%상승, 단, 중국산 수입 냉동쭈꾸미 가격은 보합세로 5㎏ 상자에 12,000원에 경매됨
- 오만둥이(중품)는 마산산이 주 반입. 가격은 오름세, 상품 가격은 12.9%상승((1㎏ 3,050원), 중품 가격은 6%상승(1㎏ 2,650원).
- 미덕덕(상품)은 2톤 반입 전일과 같음. 마산산이 주 반입. 가격은 오름세. 전일대비 중품은 4,350원으로 11.5상승, 상품은 5,450원으로 12.4%상승
- 갑오징어(1㎏)는 전량 일본산이 주 반입. 가격은 강보합세. 가격은 상품 1㎏에 4,100원으로 전일대비 9.3%상승
- 냉동오징어는 10톤 반입 전일대비 4톤 감소. 6㎏상자 냉동오징어는 부산산과 울산산 근해산이 주 반입으로 가격은 변동없이 보합세로 상품은 17,250원, 중품은 17,250원임. 8㎏ PAN 냉동오징어는 부산산이 주 반입 가격은 보합세 3.6%상승(8㎏에 14,500원)
○ 연체류 약세품목 : 활 주꾸미(상품), 문어(중문어, 대문어), 물오징어(중·하품), 낙지수입
《 약세 요인 》
- 활쭈꾸미(5㎏ 상품)는 8톤 반입 전일대비 2톤 증가. 주꾸미 철을 맞이하여 수요증가로 선어냉장 생물 주꾸미 중품가격은 오름세, 살아있는 활 주꾸미 상품 가격은 내림세. 살아있는 최상품 활어 쭈꾸미는 중국산 활 쭈구미 1㎏에 8,000원, 5㎏에 40,000원. 서산산 1㎏에 7,000원, 5㎏에 35,000원에 경매됨. 상품가격은 평균 37,500원으로 16.7%하락.
- 문어(중문어, 대문어) 가격은 약보합세. 포항산 대문어는 1㎏ 4,200원, 서산산 활어 소문어는 10,500원, 포항산 선어 소문어는 7,500원으로 보합세, 포항산 중문어는 4,500원에 경매, 가격은 내림세
- 생(물)오징어는 4톤 반입 전일대비 1톤 증가. 등급간 가격차이가 심하고 체장이 큰 채낚기 상품은 대폭오름세, 체장이 작은 트롤(그물망) 중하품은 내림세. 체장이 작은 중하품 그물망 오징어인 부산산과 울산산 주 반입. 중품은 6㎏상자에 16,000원으로 5.9%하락, 하품은 11,500원(7,000-16,000원)으로 11.5%하락.
- 낙지수입은 8톤 반입 전일대비 1톤 증가. 전량 중국산임 가격은 내림세, 상품은 10.7%하락, 중품은 1.7%하락, 4㎏ 상자 상품 31,000원 중품은 29,000원에 경매됨
◈ 민물류 가격지수 : 104.77 전일대비 +0.00
《 보합세 요인 》
- 활 민물장어(양식) 국내산 위주로 거래되나 수입산(중국산 양념류)에서 말라카이트그린(화학염료) 발견 후 반입 및 유통 감소로 식품상 안전한 국내산을 선호, 4-5마리기준 1kg당 평균 20,000원(최저16,000-최고24,000원)선에 거래
-활 미꾸라지(양식)는 수입산의 반입이 원활치 않아 양식 물량이 주거래 되나 가격 1kg당 6,000-7,000원선에 거래. 계절적 비수기로 거래량은 감소 가격은 보합세
□ 건어류 : 반입물량 금일 107톤 반입 전일대비 59톤 증가
◈ 건어류 가격지수 : 128.00 전일대비 +0.00
○ 건어류 보합세 품목 : 건오징어, 건멸치, 건명태, 김, 미역
《 보합세 요인 》: 전일과 가격 같음
- 건오징어는 1톤 반입 전일과 같음. 가격은 보합세
- 건멸치는 70톤 반입 전일대비 56톤 증가. 가격은 보합세
- 건명태는 3톤 반입 전일과 같음. 가격은 보합세
- 김은 23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1톤 감소. 가격은 보합세.
- 미역은 10톤 반입 전일대비 5톤 증가. 가격은 보합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