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7.19(목)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007.7.19(목)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담당부서 전산정보팀
문의 0234350314
수정일 2007-07-19 08:30













※ 우리공사에서 제공하는 가격동향 및 표준가격은 자유로이 인용 · 전재 할 수 있으나, 출처는 반드시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농산물

가격지수 : 97.49 전일대비 -2.82
《 강세 요인 》
○ 열매 채소류와 뿌리 채소류는 전일 재고소진과 우천으로 반입량 줄면서 오름세
- 취청오이, 백다다기오이, 애호박은 무더위로 산지작업 부진하여 반입량 감소로 시세상승
- 무는 상품성 좋은 상품 물량 적어 시세상승, 열무는 경기지역 출하량 줄면서 매수세 증가

《 약세 요인 》
○ 잎, 양념, 서양 채소류와 서류는 금일 우천예보로 조기작업 출하량 증가로 내림세
- 배추는 강원 횡성, 평창과 경북 봉화지역 출하 늘면서 상품성 떨어져 시세하락
- 쪽파, 풋고추, 양상추, 치커리, 청경채, 고구마는 우천으로 소매상 주문 감소



◈ 고구마 감자류
가격지수 : 124.4 전일대비 -2.12
◇ 고구마 - 보합세
- 금일 32톤 출하되면서 전일대비 128% 증가.
- 고구마는 여주 40%, 완주 21%, 익산 16%, 곡성 11%, 김제 11% 등 반입.
- 밤고구마는 여주산 1,000-28,000원, 완주 4,000-31,000원
- 곡성 3,000-31,500원, 호박고구마는 당진산 3,500-23,000원 거래
- 금일 장맛비 예보로 산지 출하량 증대. 전라지역 햇고구마 반입량 증가
- 소비시장 우천으로 소매상 및 요식업소 주문 감소로 매수세 약화
- 금일 상품 평균 25,632원으로 전일대비 3% 시세 하락하면서 보합세 거래
◇ 감자 - 보합세
- 금일 239톤 출하되면서 전일대비 7% 감소.
- 수미종 감자는 평창 18%, 홍천 15%, 당진 13%, 춘천 6%, 횡성 6% 등 반입
- 평창 2,000-26,000원, 홍천 3,000-25,000원, 당진 2,000-20,000원 거래.
- 강원지역 61%, 충청 21%, 경상 10%, 전라 5% 출하비중 차지함
- 충청지역과 전라지역 장마전선 영향으로 출하량 감소.
- 우천으로 판매부진하여 재고증가하면서 중도매인 매수세 약화
- 금일 상품 평균 15,115원으로 전일대비 2% 시세 하락하면서 보합세

◈ 잎채소류
가격지수 : 83.27 전일대비 -7.59
◇ 양배추-오름세
- 반입량이 크게 감소한데다 목요일 전국적으로 많은 비가 온다는 기상예보 소비량이 늘어 오름세
- 금일 반입량은 225톤으로 전일대비 29.5% 감소하였으며 평창 37%, 청송 36%, 홍천 10%에서


출하됨
- 서산지역 출하가 종료되면서 경북 북부, 강원지역으로 출하지가 이동함
- 가격은 8kg그물망 기준 상품 2,801원, 보통 1,833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12%, 23.8% 상승함
- 지역별 상품성 차이로 가격 편차가 크게 발생하고 있음
- 지역별 평균가격은 평창 1,360원, 청송 2,690원, 홍천 2,270원으로 청송지역이 평창에 비해 2배

가량 높게 거래됨
- 한편 강원, 경북북부지역의 재배면적은 전년에 비해 소폭 증가한 것으로 보이나 경북지방에 6월


초순 우박 피해가 발생하였고 강원지역 준고랭지도 가뭄으로 작황은 좋지 않은 것으로 보임
- 따라서 출하대기물량은 집중호우 피해로 출하량이 적었던 전년보다는 많으나 평년보다는 적을


것으로 추정됨

◇ 상추 - 내림세
- 전자경매 기준 69톤 반입되어 전일보다 13.9% 감소
- 주 출하지역은 경기 이천, 광주, 용인, 여주, 성남 등 경기 일원이며,
- 품종별로는 적포기 43톤, 청상추 15톤, 적상추 9톤가량임.
- 적포기 전체 평균가는 2,830원이며, 이천 1,760원, 광주 2,930원, 용인 3,000원,
- 적상추 평균가는 2,330원이며, 이천 1,860원, 남양주 4,570원
- 청상추 평균가는 1,720원이며, 이천 2,220원, 광주 1,910원, 용인 2,240원에 거래됨




◈ 열매채소류
가격지수 : 84.39 전일대비 3.76


◈ 뿌리채소류
가격지수 : 152.63 전일대비 0.66
◇ 무-내림세
- 전일 가격 약세의 영향으로 반입량이 감소하였음에도 내림세가 이어짐
- 금일 반입량은 487톤으로 전일대비 0.9% 감소하였으며 평택 19%, 태안 11%, 당진 10%,


서산 9%에서 출하됨
- 전일에 비해 전일에 비해 평택과 태안은 증가하였으나 당진은 감소함
- 가격은 18kg상자 기준 상품 11,711원으로 1.1% 하락하였으나 보통 9,806원으로 6.6% 상승함
- 중품만 오름세였고 전체적으로 내림세였는데 전일 재고부담과 소비부진이 원인이었음

◈ 양념 채소류
가격지수 : 85.89 전일대비 -4.12
◇ 생고추 - 내림세
- 생고추 전체 반입량은 전일보다 10.2% 감소한 148톤(전자경매기준)가량 반입.
- 품종별로는 청양 45톤, 일반풋고추 41톤, 꽈리 28톤, 홍고추 22톤 반입.
- 청양은 밀양 18%, 예천 31%, 춘천 14%, 인제 10%, 홍천 4%, 광주 7% 가량이며
- 청양(10kg 기준) 전체 평균 가격은 19,822원이며,
-
예천 23,980원, 광주 13,980원, 밀양 13,430, 춘천 21,420원, 홍천 18,610원, 인제 24,260원임
- 일반 풋고추는 홍천(27%), 춘천(29%), 인제(5%), 횡성(6%), 공주(4%), 등에서 출하되며
- 일반 풋고추(10kg 기준) 전체 평균가는 20,820원이며,
-
홍천 22,590원, 공주 14,410원, 춘천 24,390원, 인제 24,060원, 횡성 18,730원 가량임.
- 꽈리고추는 충남 당진(46%), 예산(35%), 횡성(9%) 등에서 출하되고 있으며
- 꽈리(4kg 기준) 전체 평균 가격은 6,660원이며, 예산 6,960원, 당진 5,870원을 형성함.

◇ 양파 - 오름세
- 금일 481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21% 감소.
- 무안 65%, 함평 8%, 해남 7%, 함양 5%, 김천 5% 등 차지함
- 무안산 kg당 192-570원, 함평 115-382원, 해남 165-435원 거래.
- 전라지역이 전체 반입량의 90%를 차지하고 나머지는 경상지역 10%임
- 장마전선 영향으로 산지 작업 부진하여 반입량 감소, 재고확보용 매수세 증가
- 금일 상품 평균 338원으로 전일대비 10% 시세 상승하면서 오름세 거래
◇ 대파 - 보합세
- 금일 209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3% 감소.
- 경기 고양 15%, 구리 14%, 남양주 11%, 서울 13%, 파주 7% 등 반입
- 고양 400-830원, 구리 500-770원, 남양주 500-850원, 서울 650-910원
- 금일 우천으로 경기지역 출하량 감소. 전일 재고증가로 매수세 약화
- 금일 상품 평균 792원으로 전일대비 2% 시세 하락하면서 보합세 거래
◇ 쪽파 - 내림세
- 금일 12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29% 감소.
- 쪽파는 포천 41%, 예천 17%, 남양주 8%, 여주 8% 등 차지함
- 장마영향으로 산지 작업상태 안좋아 상품성 떨어져 중도매인 구매력 저하
- 금일 상품 평균 1,550원으로 전일대비 16% 시세 하락
- 깐쪽파는 당진, 서천, 아산 등에서 출하됨
- 소비시장 우천으로 판매부진, 납품업체 주문 감소로 매수세 약화
- 금일 상품 평균 22,000원으로 전일대비 11% 시세 하락

◈ 서양 채소류
가격지수 : 88.36 전일대비 -13.85
◇ 피망 - 오름세, 파프리카 - 내림세
- 금일 피망 반입량은 전자경매 기준으로 전일보다 35.1% 감소한 22톤가량 반입됨
- 품종별로는 청피망 18톤, 홍피망 4톤이며,
- 출하지역은 강원 홍천(17%), 춘천(12%), 평창(12%), 횡성(8%), 전남 광주(8%) 등임
- 청피망 전체 평균가는 10,080원이며, 홍천 9,790원, 춘천 10,310원, 광주 5,440원에 거래됨
- 파프리카는 전일보다 8.8% 감소한 12톤가량 반입됨.
- 품종별로는 빨강 6톤, 노랑 5톤 주황 1톤 가량이며
- 출하 지역은 창원(20%), 함양(11%), 진주(36%), 익산(11%) 등임
- 파프리카 전체 평균가는 5,670원이며, 창원 8,920원, 함양 10,330원, 익산 5,920원임
- 색깔별 평균 가격은 빨강 5,140원, 노랑 5,520원, 주황 8,070원임
◇ 양상추 - 내림세, 브로코리 - 보합세
- 금일 양상추(법인 반입량 기준)는 전일보다 18% 증가한 66톤가량 반입됨
- 강원 횡성 60%, 평창 23%, 여주 5%, 중국 12%의 분포를 보임
- 양상추 전체 평균은 7,270원이며,횡성 6,580원,평창 6,320원,여주 8,950원,중국산 13,000원에 거래됨
- 브로코리 주 출하지역(전자경매기준)은 강원 횡성(72%),충북 제천(5%),평창(4%),중국(10%) 등이며
- 전자경매 기준 전체 평균가는 11,530원이며,횡성 11,190원,제천 11,750원,중국 12,000원에 거래됨

◈ 버섯류
가격지수 : 74.38 전일대비 -3.73
◇ 버섯류 - 하락세
- 전일대비 3% 감소한 165톤 반입
- 금일 중부 지방 장마전선의 영향을 받아 많은 비가 내리면서 소비 감소
- 재고누적 및 급식업체 납품 감소로 가격 약보합세 형성

◇ 표고 - 하락세
- 전일대비 22% 증가한 27톤 반입
- 경기 양평 13.7%, 용인 9.3%, 경북 문경 8%, 충남 공주 6.7%, 경북 청도에서 5.1%반입
- 금일은 충청도 지역의 생산량 증가로 인해 출하량이 늘어나고 있음
- 충청도 지역의 표고는 잦은 우천으로 인해 고품질 물량 반입 감소
- 상품 4kg 평균 23,885원으로 전일대비 14% 하락

2. 수산물
가격지수 : 94.51 전일대비 -2.16
《 강세 요인 》
○ 조금으로 반입량 감소한 활어류 병어, 가격하락으로 출하량 감소한 고등어 오름세
《 약세 요인 》
○ 주중 수요 둔화가 우천으로 심화되면서 중도매인 구매 심리 저조
- 요식업체 주문량 감소한 물오징어, 바지락 내림세
- 굴, 삼치 출하량 감소하였으나 상품성이 떨어져 하락세

◈ 생선류
가격지수 : 78.22 전일대비 +0.31
《 강세 요인 》
○ 고등어, 생태, 대구, 병어, 아귀, 숭어류 오름세
- 고등어는 생물가격 하락으로 부산산 출하량은 크게 줄어들었으나 냉동 및 수입물량 반입증가로 전체물량은 전일대비 증가하였음. 생물고등어는 시세하락으로 소비량이 증가를 보이고 반입량 감소하여 오름세
- 생태는 일본산 반입량이 2톤 감소하였고 우천으로 기온이 떨어지면서 재고관리가 수월하여 상승세
- 대구는 반입량이 전일대비 4톤 감소하면서 오름세를 보였고, 아귀는 전일에 이어 금일도 국내산 반입량이 저조하여 강세 형성
- 병어와 숭어류는 조금철로 어획량 반입이 크게 줄어들었고 상품성은 양호한 수준으로 보이며 강세
《 약세 요인 》
○ 갈치, 삼치, 부세 하락세
- 수입물량 감소와 재고감소로 강세를 보였던 갈치는 제주주변해역 기상여건 회복으로 제주산 반입량이 늘고 주중 소비부진으로 내림세에 거래. 반면에 일본산 갈치는 전일대비 반입량 늘어났으나 선도가 우수하고 체장이 커 강세
- 삼치는 여수, 삼천포산 생물 반입량 늘어났으나 각급학교 방학으로 납품용 냉동반입이 줄어들어 전체 반입량은 3톤 감소하였음. 시세는 대체제인 고등어 가격하락과 생물출하량 증가로 하락세
- 최근 거래량이 거의 없었던 중국산 부세는 금일 소량 반입되었으나 체장이 작아 약세


◈ 조개류 93.55 전일대비 -11.10
《 강세 요인 》
○ 홍합, 새꼬막, 동죽 강세
- 홍합은 7톤 반입되어 전일과 같음. 마산, 여수산으로 다듬이와 일반 물량의 가격차이가 컸고 전문 요식업체의 구매량 증가로 오름세
- 새꼬막은 5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2톤 감소. 산지 출하량 조절로 반입은 감소하였고 급식 수요가 많았던 대포장은 내림세였으나 소포장은 요식업소 수요 증가로 전일대비 오름세
- 동죽은 서산, 인천산으로 반입량 감소로 오름세였고 상품성이 낮아 등급간 가격차가 큰편이었음
- 겉소라는 서산, 서천산으로 10kg은 그물망 포장의 반입이 증가하였고, 7kg 스치로폼 상자의 반입은 감소하였으나 망 반입품이 씨알이 굵고 선도도 좋아 높은 가격을 형성. 전반적으로 등급간 가격차이가 컸으나 중상품은 내림세, 하품 가격은 오름세
《 약세 요인 》
○ 전일은 산지 기상여건이 좋아 반입량이 증가하였으나 오늘은 전국적인 장맛비로 수요가 감소하여 거래비중이 높은 굴, 바지락, 가무락, 소라 등은 약세
- 굴은 5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2톤 증가. 통영(충무)산으로 산지 작업량 증가로 반입은 증가하였으나 소비지의 장맛비로 수요가 부진하여 내림세
- 바지락은 9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3톤 증가. 겉망바지락은 태안(안면도),서산, 서천산으로 반입량은 증가하였으나 매기부진으로 내림세였고, 봉지바지락은 소폭의 오름세에 거래. 주수요처는 칼국수집 등 전문 요식업소였음
- 가무락(모시조개)은 서산,목포,인천산으로 소량 반입되었고 흑모시 외에는 낮은 가격을 형성하였고, 전문 요식업체 외에 일반수요는 한산하여 내림세
- 겉소라는 서산, 서천산으로 10kg은 그물망 포장의 반입이 증가하였고, 7kg 스치로폼 상자의 반입은 감소하였으나 망 반입품이 씨알이 굵고 선도도 좋아 높은 가격을 형성. 전반적으로 등급간 가격차이가 컸으나 중상품은 내림세, 하품 가격은 오름세

◈ 연체류 116.19 전일대비 -10.01
《 강세 요인 》
○ 미더덕과 문어는 반입량 감소로 강세
- 미더덕은 냉동물이 주반입되었고 수요 증가로 강보합세
- 문어는 포항, 속초산 중,소문어 위주로 반입되었으나 어획부진으로 반입량이 감소하여 오름세
《 약세 요인 》
○ 생물오징어, 수입낙지, 산낙지, 냉동주꾸미는 수요부진으로 약세
- 생물오징어는 14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4톤 증가. 동해안산은 속초와 거진산이 소량 반입되었으나 씨알이 작아 내림세였고. 태안산과 목포산은 체장이 커 다소 높은 가격을 형성하였으나 전일에 비해서는 큰 폭의 하락세에 거래
- 수입낙지는 1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2톤 감소. 일본산은 소량 반입되었으나 상품성이 낮아 낮은 가격을 형성하였고 중국산은 반입이 줄면서 등급간 가격차이가 적었고 전반적으로 약세에 거래
- 산낙지는 중국산 반입으로 내림세였으나 주소비처는 전문 요식업소였음
- 주꾸미는 중국산 냉동 물량이 주거래 되었으나 고정 수요처의 꾸준한 거래로 약보합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