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5.15(목)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008.5.15(목)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담당부서 전산정보팀
문의 0234350314
수정일 2008-05-15 09:31





※ 우리공사에서 제공하는 가격동향 및 표준가격은 자유로이 인용 · 전재 할 수 있으나, 출처는 반드시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농산물

가격지수 : 115.04 전일대비 -4.16
《 약세 요인 》
○ 시장 반입량은 감소하였으나, 주중반 농산물 수요 감소로 매기 부진하여 대부분 부류 내림세
- 서류중 고구마는 상품성 차이에 따른 가격하락이 두드러져 중, 하품 위주 큰 폭 떨어졌고
- 상추, 쑥갓, 배추, 겨자, 케일 등 잎, 서양 채소류 위주 하락함
《 강세 요인 》
○ 최근 봄철 각종 야외 행사 수요 증가 및 반입량 감소한 품목 위주 상승
- 제주산 조생양파 출하 막바지에 접어들어 반입량 감소로 오름세를 보였고
- 외식업체 수요 증가한 피망, 파프리카, 버섯, 청양고추 등도 강세 거래

◈ 고구마 감자류
가격지수 : 188.53 전일대비 -16.67


◈ 잎채소류
가격지수 : 104.88 전일대비 -6.13
◇배추-내림세
- 전일 가격이 많이 올라 작업량을 늘려 반입량이 크게 증가함
- 금일 반입량은 650톤으로 전일대비 40.7% 증가하였으며 해남 34%, 서산 12%, 평택 11%에서


출하됨
- 저장배추는 30%대로 출하비중이 낮아졌고 봄배추는 일부 지역의 하우스 배추 작업이 마무리되면서


출하지가 이동함
- 하우스 봄배추 출하량이 많았던 예산은 대부분의 출하가 마무리되고 터널 재배인 서산지역의 물량이


증가함
- 가격은 10kg그물망 기준 상품 3,676원, 보통 2,814원으로 전일 대비 각각 10.9%, 4.1% 하락함
- 지난주부터 가격이 많이 올라 가격부담이 높아진데다 금일 출하량이 크게 늘면서 내림세로 돌아섬
- 터널재배 출하로 상품성이 다소 호전되었으나 생육기 기온이 높아 일부 물량을 추대가 발생하는


경우도 있음

◈ 열매채소류
가격지수 : 95.84 전일대비 -5.21
◇오이-내림세
- 반입량이 소폭 감소하였으나 주 중반으로 소비가 부진해 내림세
- 금일 반입량은 백다다기 360톤, 취청 84톤으로 백다다기는 2.1% 감소하였으나 취청은 9.5%


증가함
- 백다다기는 천안 26%, 상주 14%, 고흥 9%에서 취청은 구례 49%, 순천 16%, 보성 14%에서 출하됨
- 가격은 상품기준 백다다기 100개 17,096원, 취청 10kg상자 10,527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8.5%,


5.2% 하락함

◈ 뿌리채소류
가격지수 : 118.29 전일대비 -4.98
◇무-내림세
- 반입량이 감소하였음에도 소비량이 적은 주 중반인데다 재고량이 많아 내림세
- 금일 반입량은 537톤으로 전일대비 9.1% 감소하엿으며 서귀포 76%, 남제주 8%, 제주시 6%,


부여 5%에서 출하됨
- 봄무는 아직은 반입량이 저조한 편이나 금주들어 꾸준히 늘어나는 추세임
- 가격은 18kgpe대 기준 상품 7,594원, 보통 5,890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6%, 6.9% 하락함
- 제주무는 최고가 9,500원이었고 평균가격은 6,200원 봄무는 최고가 10,700원 평균가격 7,600원이었음

◈ 양념 채소류
가격지수 : 115.05 전일대비 0.21
◇ 양파 - 내림세
- 금일 전자 경매 기준 706톤 반입되어 전일 보다 30%가량 감소함
- 제주 조생양파 출하 마무리로 물량 감소하여 시장 반입량 큰 폭 감소
- 무안 67%, 제주 15%, 중국 9%, 해남 5%, 익산 3% 가량임
- 제주산 출하 종료되면, 물량 집중 현상 완화될 것으로 보여 점차 시세 상승 전망됨
◇ 대파 - 내림세
- 금일 전자경매 기준 210톤 반입되어, 전일보다 2% 감소
- 경기 지역 하우스 대파 출하가 대부분이고, 영광, 부안, 진도에서 소량 출하중임
- 고양 40%, 구리 11%, 남양주 10%, 영광 7%, 진도 4% 등임
- 경기 지역 물량 증가와 소비 부진으로 시장내 재고 영향으로 내림세 거래됨

◈ 서양 채소류
가격지수 : 82.17 전일대비 -2.06
◇ 피망 - 오름세, 파프리카 - 내림세
- 피망은 전자경매 기준 46톤가량 반입되었고, 청피망 37톤, 홍피망 9톤가량임.
- 청피망은 진주 77%, 광주 15%이며, 홍피망은 진주 63%, 광주 33% 등임
- 파프리카는 29톤가량 반입되었고, 빨강 15톤, 노랑 11톤, 주황 3톤가량임.
- 주출하지는 강진 19%, 남해 14%, 익산 13%, 진주 12% 등임.
- 5월 야외행사 증가 등으로 수요량 증가하여 오름세 거래됨.
- 파프리카는 물량 많지 않은 주황색을 제외하고는 내림세

◈ 버섯류
가격지수 : 101.35 전일대비 2.42



◇ 버섯류 : 강보합세
- 반입물량이 186톤으로 전일 203톤의 92% 물량 반입.(전년 186톤과 동일)
- 가격약세로 거래된 표고, 양송이 등 버섯류도 물량이 감소 출하되어 강보합세로 반전.
- 반입량 감소세 및 소비의 활성화로 소폭 오름세 거래.

특히, 표고, 양송이 등의 강세로 마감.
- 그동안 연휴 등으로 장 매기 약세장으로 시세는 하락세를 형성하였으나, 휴일 끝 및


출하량 감소로 강보합 시현.
. 느타리버섯은 물량이 감소하였으며, 시세는 우수상품 출하량 감소로 소폭 하락세 형성.

참느타리는 일시적 소비가 증가하여 소폭 상승.
. 표고는 원목 표고가 감소되고 있으며 소비지 소비가 원활하여 전반적인 오름세 보임.
. 팽이는 출하량이 증가하였으며 소비지 소비가 주춤하여 시세는 약보합세 형성. 팽이는
고품질인 대형팽이의 그린피스 위주로 소비가 형성됨.
. 양송이는 소비가 꾸준하며 새송이는 보합세 형성.





2.
수산물

□ 패류(조개류 및 연체류) : 금일 반입량 96톤, 전일대비 5톤 증가

◈ 조개류 표준 가격지수 : 116.97
전일대비 -9.65


○ 조개류 상승품목 : 가무락(모시조개), 동죽, 동죽살(해락), 새꼬막 17kg망대, 소라(피뿔고동)

- 가무락(모시조개)은 목포산과 중국산이 주 반입 중품가격은 오름세, 상품가격은 내림세. 20kg망대 중국산 중품 가격은 72,500원으로 25% 상승. 목포산 상품 가격은 112,500원으로 전일대비 13.4% 하락
- 동죽은 서산산이 주 반입 가격은 오름세. 1kg 상품 가격은 1,650원으로 17.9% 상승
- 해락(동죽살)은 서산산이 주 반입 가격은 오름세. 1kg봉지 중품 가격은 5,150원으로 14.4% 상승
- 새꼬막은 순천산이 주 반입. 17kg 망대 상품 및 중품 가격은 강보합세.
17kg 망대 새꼬막 상품은 35,500원으로 전일대비 0.1%상승, 중품은 32,000원으로 전주대비 8.5% 상승.
- 소라(피뿔고동)은 장항산, 고흥산, 군산산이 주반입. 가격은 중품은 강보합세, 상품은 약보합세. 1kg 중품은 5,350원으로 전일대비 7.0% 상승, 상품은 6,592원으로 전일대비 2.46% 하락

○ 조개류 하락품목 : 깐바지락, 봉지바지락, 바지락수입, 홍합, 깐홍합, 가무락(모시조개) 상품, 새고막(7키로)

- 깐바지락은 삼천포산이 주 반입, 가격은 내림세, 1㎏상자에 상품 가격은 8,500원으로 22.7% 하락
- 봉지바지락은 수입은 북한산과 중국산이고, 국내산은 태안산이 주 반입, 가격은 내림세, 5㎏상자에 상품 가격은 11,000원으로 21.4% 하락, 중품은 12,500원으로 18% 하락
- 바지락수입(중품)은 북한산이 주 반입. 중품 가격은 내림세. 20kg그물망 중품 가격은 32,000원으로 전일대비 17.9% 하락. 단, 상품은 42,000원으로 1.2% 상승.
- 홍합은 마산산과 여수산이 주 반입 중품 및 하품 가격은 내림세. 30kg 중품 가격은 11,000원로 12.0% 하락. 하품은 8,000원으로 20% 하락, 단, 상품 가격은 13,000원으로 3.7%상승
- 깐홍합은 여수산이 주 반입, 가격은 내림세. 15kg 상품 가격은 2,300원으로 17.9% 하락.
- 가무락(모시조개)은 목포산과 중국산이 주 반입 상품가격은 내림세. 20kg망대 목포산 상품 가격은 112,500원으로 전일대비 13.4% 하락
- 새꼬막은 순천산이 주 반입. 7kg pp대 상품 및 중품 가격은 약보합세. 7kg pp대 새꼬막 상품은 12,500원으로 전일대비 12.3% 하락, 중품은 11,500원으로 4.2% 하락, 단, 하품은 10,000원으로 전일대비 8.5% 상승,

◈ 연체류 표준 가격지수 110.92 전일대비 +0.61


○ 연체류 오름세 품목 : 낙지수입, 문어, 물오징어

- 낙지수입은 전량 중국산으로 가격은 오름세. 4㎏ 상품 가격은 19,500원으로 전일대비 18.2% 상승, 중품은 4㎏에 17,500원으로 59.1% 상승.
- 물오징어(상품,중품)는 포항산이 일평균 1톤 반입. 금일 물오징어 평균가격은 6㎏상자에 채낚기 상품가격은 27,000원으로 전일대비 10.2% 상승. 채낚기 중품가격은 17,0000원으로 보합세, 트롤(그물 망)물량의 하품가격은 11,250원으로 보합세.
※ 물오징어는 등급간 가격차이가 심하여, 체장이 크고 상품성이 우수한 포항산 채낚기(낚시로 잡은 것) 상품은 소량 반입되고, 중품은 울산, 속초, 후포산의 채낚기 물량이 주로 반입되나 금일은 미 반입됨. 하품은 체장이 작고 상품성이 뒤떨어지는 부산산 및 삼천포산의 트롤(그물로 잡은 것)물량이 주로 반입되나 금일은 미 반입됨.

○ 연체류 내림세 품목 : 주꾸미수입, 주꾸미, 미더덕, 오만둥이

- 쭈꾸미수입은 전량 중국산이 주 반입. 가격은 대폭 내림세, 중국산 선어냉장 생물 수입쭈구미 4㎏ 상품 가격은 17,500원으로 전일대비 35.2% 하락, 중품은 4㎏에 14,500원으로 39.6% 하락.
※ 중국산 냉동쭈꾸미수입 가격은 보합세로 5㎏ 상자에 12,000원으로 전일과 같음
- 쭈꾸미(5㎏ 중품)는 등급간 가격 차이가 심하고, 장항산이 주 반입. 장항산 등 국내산 냉장생물 쭈꾸미 5㎏에 상품은 27,000원으로 19.4%하락, 중품은 5㎏ 20,000원으로 38.5% 상승.
- 미더덕은 마산산이 주 반입되고, 가격은 내림세. 1kg에 상품은 5,200원으로 전일대비 30.7% 하락, 중품은 4,350원으로 전일대비 33.1% 하락
- 오만둥이는 마산산, 여수산이 주 반입. 가격은 오름세. 1kg에 상품은 3,300원으로 전주대비 32.7% 하락, 중품은 2,950원으로 전일대비 28.9% 하락

□ 건어류 : 반입물량 금일 38톤 반입 전일대비 19톤 감소

◈ 건어류 표준 가격지수
: 122.74
전일대비 -1.58


○ 건어류 보합세 품목 : 건멸치, 건오징어, 건명태, 김, 미역

《 건어류 보합세 요인 》
- 건오징어는 2톤반입 전일대비 1톤 감소. 가격은 보합세.
- 건명태는 4톤반입 전일과 같음. 가격은 보합세.
- 김은 1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4톤 감소. 가격은 보합세.
- 미역은 4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3톤 감소. 가격은 보합세

○ 건어류 약세 품목 : 건멸치
- 건멸치는 27톤반입 전일대비 9톤 감소. 가격은 약세. 단, 건소멸치 중품은 2키로에 14,000원으로 전일대비 15.2% 하락, 건자멸치 중품은 2키로에 19,500원으로 전일대비 9.3% 하락, 하품은 10,500원으로 8.7% 하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