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3.6(화)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007.3.6(화)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담당부서 전산정보팀
문의 0234350314
수정일 2007-03-06 04:11













※ 우리공사에서 제공하는 가격동향 및 표준가격은 자유로이 인용 · 전재 할 수 있으나, 출처는 반드시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농산물

가격지수 : 87.05 전일대비 0.22
《강세 요인》
○ 기상악화로 인한 산지 반입이 어려운 물량을 중심으로 가격 상승세 뚜렷
- 우천을 동반한 강풍으로 반입이 어려웠던 시금치, 냉이, 달래, 홍피망, 파프리카 등 강세
- 고단가로 인한 부담으로 가격하락하던 고구마, 감자류 반입량 적어지며 강세
- 미나리는 명일 반입량 조절 차원으로 물량이 적을 것으로 예상되며 강세
《약세 요인》
○ 우천으로 소비가 주춤한 근교 엽채류 대부분 가격 하락
- 적상추, 청경채, 아욱, 근대, 쑥갓 등 주요 근교 엽채류는 우천으로 인한
소비부진으로 대부분 하락세
* 물미역, 섬초(시금치 15키로), 봄동 등은 저가와 기상악화로 반입량이 거의 없었음. "

◈ 고구마 감자류
가격지수 : 135.81 전일대비 14.34
◇ 고구마 : 오름세
- 전일대비 10% 감소한 34톤 반입. 날씨가 추워지면서 수요 증가.
- 밤고구마는 총 27톤 반입. 여주 19톤, 논산 5톤, 익산 2톤 등 반입.
- 전남 보성, 고흥산도 소량 출하됨. 시세는 15,000-24,000원 거래
- 여주산 5,500-26,000원, 논산산 5,000-25,000원에 거래
- 호박고구마는 전북 익산 3톤, 고창 2톤, 서산 1톤 등 8톤 반입.
- 고창산 상품성 우수로 9,000-36,500, 익산 6,000-34,000원에 거래
- 전주말 우천이후 기온 하강으로 소비 수요 증가하면서 오름세 거래
◇ 감자 : 오름세
- 전일대비 7% 감소한 금일 236톤 반입. 제주지역 기상악화로 반입량 감소
- 수미종 감자는 23% 증가한 114톤 반입. 평창 36톤, 정선 19톤, 강릉 9톤 등
- 강원지역 64톤 출하되면서 반입량 증가, 급식수요 증가로 거래 활발, 오름세
- 제주산 대지종 감자는 전일대비 37% 감소한 금일 103톤 반입
- 납품업체 주문 증가로 중도매인 매수세 강화, 소매상 거래 증가, 오름세


◈ 잎채소류
가격지수 : 77.12 전일대비 -3.35

◇배추-등급별 등락이 엇갈림
- 비을 동반한 한파로 출하작업이 여의치 못해 반입량이 저조함
- 231톤이 반입되어 전일 대비 12% 감소하였으며 지난주 일평균

반입량 452톤 대비 49% 적었음
- 법인별로는 대아청과 1매장 13대, 2매장 12대, 기타 법인 12대가


출하됨
- 출하지역은 대부분 해남이었으며 완도와 진도에서 각 1대가 출하됨
- 가격은 10kg그물망 기준 상품은 2,125원으로 1.2%하락하였으나,

보통은 1,700원으로 4% 상승하여 고가품은 오름세이나 저가품은

내림세로 등급별 등락이 엇갈림.
- 적은 물량임도 소비가 워낙 없어 처리에 어려움이 있음.
- 적극적인 참여보다는 관망하는 분위기가 높았는데, 기온이 크게



떨어져 경매에 참여하는 중도매인이 적었고 전일 유치된 재고

물량도 가격에 부담이 되었음.
- 또한, 일요일 비로 물기가 채 마르지 않은 물량이 많았고 노지

작업이 마무리 단계 접어들면서 꿀통, 끝마름 등 하자있는 물량

비중이 높았음.

◇ 시금치 - 오름세
- 신안군 비금 지역이 강풍으로 산지 작업이 중단되어, 섬초가 반입되지 못하였음.
- 전체적으로 상승세를 보인 가운데,
-
무안 지역의 육지초가 섬초의 반입 중지에 따른 대체 수요 증가로 높은 상승세를 보였음.
-
전자경매 기준 91톤 반입되었고, 포항초 18톤, 4kg 상자시금치 22톤, 단시금치 45톤, 육지초가 6톤임.
- 육지초(15kg,상)는 전일보다 6,000원(133%) 오른 10,500원,
-
포항초(500g단,상)는 70%가량 오른 1,170원에 거래됨.

◈ 열매채소류
가격지수 : 82.28 전일대비 -3.21
◇호박-품종별 등락이 엇갈림
- 반입량이 감소한 가운데 애호박은 내림세이나 쥬키니는 오름세
- 금일 호박 전체 반입량은 187톤으로 전일대비 19.8% 감소하였으며

품종별로는 애호박 86톤, 쥬키니 47톤, 단호박 34톤, 늙은호박 21톤이

반입됨
- 꽃셈 추위의 영향으로 생육이 부진하고 격일제로 작업으로 금일 쉬는 작목반이 많았음
- 애호박은 전일대비 15% 감소에 그쳤으나 쥬키니는 43% 감소하여

쥬키니의 물량 감소가 두드러짐
- 가격은 상품기준 애호박 20개 14,250원으로 6.6% 하락하였고 쥬키니 10kg상자는 5,500원으로 보합.
- 물량 감소에도 전일 재고량이 많았고 주중반인데다 한파로 시장이용객도 감소하였음.

◈ 뿌리채소류
가격지수 : 75.6 전일대비 0.68
◇무-오름세
- 한파의 영향이 제주지역 출하물량까지 미치면서 반입량이 저조함
- 382톤이 반입되어 전일대비 5.7% 감소하였으며 육지산은 반입비중이

10% 미만으로 감소하여 제주산이 거래를 주도함.
- 물량부족으로 재고 물량이 함께 거래된 가운데 가격은 오름세
- 18kg마대 기준 상품 4,850원, 보통 3,900원으로 전일에 비해 등급별

로 400~600원 가량 상승함.
- 재고량이 100c/t가량 남아있었으나 금일 20개가 정리됨에 따라 물량부담은 일부 해소됨

◈ 양념 채소류
가격지수 : 70.61 전일대비 1.93
◇ 양파 : 강보합세
- 전일대비 23% 감소한 409톤 반입. 기온 강하로 산지 작업 부진. 물량 감소
- 전남 무안 223톤, 함평 45톤 반입. 전남지역 강풍과 추운날씨로 출하량 감소
- 1kg기준 무안산 219-1,000원, 함평 255-1,027원에 거래.
- 경북지역 출하량 증가로 영천 44톤, 김천 24톤 반입. 413-919원에 거래
- 개학이후 급식업체 수요 증가로 거래 활발하면서 강보합세
◇ 대파 : 강보합세
- 전일대비 11% 감소한 229톤 반입. 강풍으로 인한 산지 작업 부진. 반입량 감소
- 전남 진도산 169톤(전일대비 28% 감소), 신안산 74톤 반입(전일대비 17% 감소)
- 산지 기상 악화로 출하작업 곤란. 납품업체 주문 증가로 전일 재고 소진
- 상품 평균 530원으로 전일대비 9% 시세 상승하면서 강보합세 거래
◇ 쪽파 : 오름세
- 전일대비 2% 감소한 금일 44톤 반입. 제주산 깐쪽파 출하량 감소
- 흙쪽파는 예산 11톤, 당진 2톤 반입. 전일 우천으로 출하 지연된 물량 반입
- 전일 재고 소진으로 중도매인 매수세 강화, 상품 1kg단 평균 750원으로
- 전일대비 50% 시세 상승하면서 오름세 거래
- 깐쪽파는 제주산 18톤, 당진산 3톤 반입. 제주산 산지 강풍으로 출하작업 부진
- 출하량 감소로 1,000-20,000원에 거래, 당진산 4,000-20,000원에 거래
- 납품업체 주문 수요 늘면서 중하품 위주 거래활발, 오름세 주도

◈ 서양 채소류
가격지수 : 84.36 전일대비 -3.3

◇ 피망, 파프리카 - 오름세
- 우천을 동반한 강풍으로 반입물량이 큰 폭으로 감소하여 강세를 보였음.
- 피망은 전일보다 30% 감소한 25톤(전자경매기준),파프리카는 33% 감소한 6톤이 반입됨.
- 청피망(10kg,상)은 전일보다 1,000원 오른 43,000원, 홍피망은 9,000원 오른 67,500원,
- 빨강파프리카(5kg,상)는 4,500원 오른 31,000원, 노랑파프리카는 1,500원 오른 28,000원에 거래됨.
◇ 양상추 - 내림세
- 최근 낮은 시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등락을 거듭하고 있는 양상임.
- 반입량은 전일과 비슷한 68톤이며, 시세는 전일보다 500원 하락한 8,000원에 거래됨.
-
강풍의 영향으로 물량이 감소한 브로코리 등은 강세를 보였고, 케일, 비타민, 비트는 보합세에 거래됨.
- 브로코리(8kg,상) 15,000원, 셀러리(10kg,상)는 5,500원에 거래됨.

◈ 버섯류
가격지수 : 62.59 전일대비 2.77
◇ 양송이, 새송이 - 오름세
- 양송이는 출하량이 전일대비32% 감소하면서 납품용 수요가 집중되는 중∙하품이 오름세를 보였음
- 새송이는 반입량이 9톤 가까이 감소하였고 하품위주로 가정용 수요가 꾸준하여 강보합세
- 느타리는 전반적 시세 부진으로 산지 출하량이 감소하였으며 소비는 가격하락으로 다소 늘어나 오름세
◇ 생표고 상품 - 약보합세
- 생표고는 기상여건 악화로 반입물량이 크게 감소하였으나 상품성이 우수한 물량 출하가 줄어들며 상품은 약보합세

2. 수산물
가격지수 : 100.35전일대비 +4.51
《 강세 요인 》
○ 강풍에 따른 조업여건 악화로 반입량 감소
- 국내산 반입 물량이 감소한 갈치, 새꼬막이 오름세를 나타냄
- 상품성이 우수한 생태, 최근 시세 부진으로 소비량이 증가한 굴이 강보합세
《 약세 요인 》
○ 상품성이 저조한 저가의 수입물량 비중 증가
- 봉지바지락, 쭈꾸미 중∙하품은 수입물량 증가로 내림세

◈ 생선류
가격지수 : 83.00 전일대비 +4.33
《 강세 요인 》
○ 추위에 따른 탕류 소비증가와 기상여건 악화로 공급량 부족
- 갈치는 풍랑주의보 발령으로 제주산 반입량이 크게 감소하였으나 일본산 수입량이 크게 늘어나 가격 상승폭은 제한적이었음.
- 고등어는 대형선망 조업부진으로 반입량이 감소하면서 중∙소형어가 강세를 나타내었으나 대형품은 체장이 작아 하락세
- 일본산 냉장갈치는 국내산 반입량 부족으로 수요가 집중되면서 강세
- 생태는 추위에 따른 탕류 소비 증가로 강보합세를 보였고 삼치는 선도가 뛰어나고 대형어 물량이 늘어나면서 강세
《 약세 요인 》
○ 병어는 삼천포, 여수산 반입량이 늘어났고 주중 소비 감소로 내림세

◈ 조개류
가격지수 : 117.51 전일대비 +12.03
《 강세 요인 》
○ 전국적으로 내린 눈,비와 기상특보 발효로 반입물량 감소
○ 각급 학교 급식 납품 수요 증가
○ 대형 유통업체의 세일행사에 따른 구매량 증가
- 굴은 10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2톤 감소, 산지 작업부진으로 반입량 감소, 전문 요식업체 및 급식 수요증가로 오름세
- 새꼬막은 10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6톤 감소, 반입량 감소로 전일 재고분 완전소진. 6kg소포장은 가정 수요감소로 소폭의 내림세였으나 요식업체 및 급식 수요가 많은
17kg망대포장은 반입이 줄어 오름세
- 소라는 서천산
겉소라가 소량 반입되었으나 선도와 씨알이 좋아 높은 가격을 형성, 중국 수입산 개소라도 상품성이 낮음에도 반입이 적어 강보합세
- 바지락은 5톤 반입되어 전일과 같음. 겉바지락 및 봉지 바지락은 전량 수입산으로 반입량 감소에 따른 고정 수요처의 물량확보로 오름세였으나 봉지바지락 중품은 상품성 저하로 내림세.
깐바지락은 작업부진에 따른 반입 감소로 큰폭의 오름세
《 약세 요인 》
○ 저가의 수입물량 증가와 요식업소의 경기부진으로 거래 한산
- 마산, 여수산 홍합은 14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5톤 감소, 각급 학교의 개학과 특히. 대학가 요식업소의 주문량 증가에도 재고 물량이 충분하여 약보합세
- 대합은 중국 수입산의 증가로 질 좋은 국내산의 거래가 줄어 거래부진으로 약세
- 키조개는 소량 반입되나 씨알이 잘고 상품성 저하로 매기부진

◈ 연체류
가격지수 : 113.30전일대비 +10.41
《 강세 요인 》
○ 기상특보 발효로 생물과 수입 반입물량 감소
○ 선도가 좋은 상등품 물량은 전문 요식업체 물량 확보량 증가

- 수입낙지는 4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1톤 증가,
중국산의 수입부진으로 일본산 반입이 증가하였고 16kg스치로폼 상자당 136,000-140,000원에 거래되었고 중국산 냉장 낙지의 반입도 다소 있으나 매기는 부진.
- 주꾸미는 3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1톤 증가, 국내산은 서천, 군산산으로 반입량은 소량이나 등급간 가격차이가 컸고, 중국 수입산 냉장품 반입은 없어 냉동물로 대체 소비
- 미더덕은 생물의 반입으로 반입량이 적어 오름세였고
전문 요식업체의 물량 확보로 거래는 활발
- 오만둥이는 산지 출하량 조절로 반입량 변동은 크게 없었으나 고정 수요처의 물량확보와 등급간 가격차이가 적어 중품의 가격 오름폭이 컸음
《 약세 요인 》
○ 국내산 오징어는 선도가 낮아 매기부진
- 물오징어는 13톤 빈입되어 전일대비 2톤 증가, 전일 반입물량 감소로 가격이 높게 형성되자 구매 기피량 증가, 울진 죽변산 채낚기 물량은 소량이나 체장이 작고가격이 높아 내림세였고, 부산산 트롤 어획물량도 체장과 선도부진으로 내림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