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5.7(월)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007.5.7(월)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담당부서 전산정보팀
문의 0234350314
수정일 2007-05-07 06:41

※ 우리공사에서 제공하는 가격동향 및 표준가격은 자유로이 인용 · 전재 할 수 있으나, 출처는 반드시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농산물

가격지수 : 105.52 전일대비 -2.53
《 강세 요인 》
○ 잎채소류, 뿌리채소류, 버섯류는 반입량 감소와 주초 수요 증가로 강세
- 배추, 얼갈이, 아욱, 열무는 반입량 감소로 중도매인 구매력 증가
- 느타리, 생표고는 지난주말 재고 소진과 주초 납품업체 주문 증가

《 약세 요인 》
○ 서류, 열매채소류, 서양채소류 반입량 증가와 상품성 저하로 매기 부진
- 호박고구마 상품성 떨어져 판매부진, 백다다기오이, 애호박, 쥬키니 등 출하량 크게 증가
- 적겨자채, 신선초, 노랑파프리카, 브로코리는 외식업체 주문 감소로 판매부진


◈ 고구마 감자류
가격지수 : 120.49 전일대비 -19.7
◇ 고구마 - 내림세
- 금일 20톤 반입. 상품성 저하로 판매 부진
- 밤고구마는 여주산 7톤, 호박고구마는 영주 3톤, 서산 3톤, 여주 2톤 등 반입
- 호박고구마 상품성이 크게 떨어지면서 고구마 시세 하락
- 여주산 밤고구마 1,500-17,000원, 영주산 호박고구마 최고 23,000원 거래
- 중품 평균 18,072원으로 전일대비 34% 시세 하락하면서 내림세
◇ 감자 - 약보합세
- 금일 325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4% 증가. 주말재고 소진으로 약보합세
- 수미종 감자는 밀양 23%, 김제 22%, 평창 14%, 논산 9%, 서산 6% 등 반입
- 주말 재고 소진되면서 주초 물량 확보 위한 중도매인 구매력 증가
- 밀양산 3,000-28,000원, 김제 2,000-28,000원, 평창 3,000-28,000원 거래.
- 금일 상품 평균 26,484원에 전일대비 4% 시세 상승하면서 약보합세 거래
- 민간업체 수입 감자(미국산) 8톤 출하. 20kg 16,500원 거래

◈ 잎채소류
가격지수 : 97.11 전일대비 2
◇양배추- 내림세
- 제주산 저장 양배추가 거래를 주도하는 가운데 무안의 월동과 밀양의 하우스가 출하됨
- 금일 반입량은 300톤으로 지난 주말대비 1.7% 감소하였는데 지난주 토요일이 어린이 날로 판매가


부진해 재고 누적으로 산지에서 물량을 조절하였음.
- 지역별 반입비중은 제주산 71%, 밀양 16%, 무안 8%, 진도 4% 순이었음. 전일에 비해 제주산은 조금


증가하였으나 밀양, 무안은 감소함.
- 가격은 8kg그물망 기준 상품 4,293원, 보통 2,806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8.2%, 6.1% 하락함.
- 반입량 감소에도 재고가 부담이 컷음
- 지역별로는 무안산이 특,상품 시세를 형성하였고 제주산은 중, 하품에 거래된 물량이 많음
- 제주산은 저장기간이 길어지면서 상품성이 떨어져 무안산에 비해 가격차이가 많이 발생함
- 평균단가는 제주산 2,700원, 무안산 6,100원, 밀양산 4,400원 정도였음

◈ 열매채소류
가격지수 : 120.13 전일대비 -18.66
◇호박 - 품종별 등락이 엇갈림
- 주초인데다 지난주 토요일부터 초여름에 버금가는 기온으로 생육이 활발해 반입량이 크게 증가함
- 금일 반입량은 애호박 293톤, 쥬키니 79톤이 반입되어 지난 주말 대비 각각 63%, 78% 증가함
- 애호박은 진주 30%, 광양 10%, 고성 5%에서, 쥬키니는 전주 44%, 공주 14%, 논산 13%에서 출하됨
- 가격은 애호박(20개)은 상품 8,094원, 보통 6,766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16%, 19.4% 상승하였고
- 쥬키니(10kg상자)는 상품 6,011원, 보통 5,322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14.6%, 13.1% 하락함

◈ 뿌리채소류
가격지수 : 97.13 전일대비 2.09
◇무 - 오름세
- 주초인데다 제주산 저장무 출하가 늘어 반입량이 증가함
- 금일 반입량은 531톤으로 전일대비 16.1% 증가하였으며 제주산과 육지산이 각각 90%, 10% 비율로


출하됨
- 제주산 노지는 끝물 출하로 7c/t만이 반입되어 금주 중으로 출하작업이 마무리될 것으로 보임
- 육지산은 김포(2대), 나주, 창녕, 영암, 밀양 등지에서 봄배추가 출하됨
- 가격은 18kg마대 기준 상품 6,360원, 보통 5,388원으로 전일대비 2.5%, 3.9% 상승함
- 특품을 제외하고 오름세였는데 물량 증가에도 주초 수요로 소비가 활발하였음
- 육지산은 6,400~4,400원에 가격이 형성됨

◈ 양념 채소류
가격지수 : 88.49 전일대비 -1.05
◇ 양파 - 약보합세
- 금일 880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11% 감소.
- 무안 72%, 제주 13%, 완도 6%, 해남 5%, 함평 2% 등 반입
- 무안산 kg당 165-400원, 제주산 186-357원, 완도산 236-343원 거래.
- 전남지역 노지 조생양파 출하량 증가. 지난주 재고가 많아 매수세 약화
- 금일 상품 평균 305원으로 전일대비 10% 시세 하락하면서 약보합세 거래
◇ 대파 - 보합세
- 금일 254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26% 증가.
- 경기 고양산 33%, 전남 영광 14%, 구리 9%, 신안 7% 등 반입
- 중부지방 출하량 증가 추세. 상품성은 다소 떨어져 남부지방보다 약세 거래
- 지난주 재고소진으로 주초 물량 확보 위한 중도매인 구매력 증가
- 상품 평균 642원으로 전일수준 보합세 거래. 특품은 물량 부족으로 강보합세
◇ 쪽파 - 내림세
- 금일 23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8% 감소. 충청지역 흙쪽파 반입량 감소
- 흙쪽파는 아산 4톤, 예산 3톤, 남양주 1톤 등 반입. 경기지역 점차 출하량 증가
- 주초 소비 수요 감소와 상품성 저하로 매수세 약화
- 중품 평균 1,000원으로 전일대비 13% 시세 하락하면서 내림세 거래
- 깐쪽파는 당진 3톤, 서천 3톤, 보령 2톤 등 반입
- 반입량 줄었으나 주초 납품업체 및 소매상 주문 감소로 판매 부진
- 상품 평균 24,945원으로 전일대비 4% 시세 상승하면서 약보합세 거래

◈ 서양 채소류
가격지수 : 96.56 전일대비 -5.23


◈ 버섯류
가격지수 : 79.04 전일대비 1.41
◇ 버섯류 - 강보합세
- 화창한 날씨로 산지 작업물량이 증가해, 전일대비 9% 증가한 206톤 반입
- 어린이날 가족 행사 등으로 지난 주말에 재고 소진되면서 중도매인 재고량 감소
- 금주도 어버이날 행사와 본격적인 결혼시즌이 되면서 납품수요 증가



◇ 표고 - 오름세
- 표고는 전일대비 8% 감소한 16톤 반입
- 표고는 마무리 출하되는 저온성과 중, 고온성 물량이 교체되면서 품질 차이가 크게 형성
- 부여 지역의 출하량이 24.6%를 차지하는 가운데, 경기도 금사 및 의정부 표고 출하 증가세
- 가정의 달 소비가 원만히 이뤄지면서 납품업체 및 요식업체 납품 꾸준함
- 상품 4kg 상자에 25,132원으로 전일대비 16% 가격 상승

2. 수산물
가격지수 : 97.15 전일대비 +2.88
《 강세 요인 》
○ 어린이날 및 주말 소비 원활로 재고량 감소
- 외식업체 주문량 증가하고 반입물량 감소한 수입낙지, 수입주꾸미 강세
- 소비 활발로 재고량 부족한 봉지바지락, 일본산 갈치 오름세
《 약세 요인 》
○ 고온 지속으로 선도 부진한 굴, 수입바지락 약세

◈ 생선류
가격지수 : 78.74 전일대비 +1.47
《 강세 요인 》
○ 냉동고등어, 일본산 갈치, 아귀, 감숭어 오름세
- 냉동고등어는 월명기로 생물고등어가 반입되지 않아 오름세를 보였으나 일본산 수입물량 증가로 오름폭은 다소 제한적이었음
- 상품성 저조로 약세를 보였던 일본산 망갈치는 금일 물량이 체장이 크고 주초 요식업체 주문량 증가로 오름세
- 아귀는 목포산 선도 우수와 식자재 업체 주문량 증가로 오름세를 나타냈고, 감숭어는 지난주 토요일 시세하락에 따른 출하량 급감으로 상승세를 나타냄
《 약세 요인 》
○ 갈치, 삼치, 병어 하락세
- 갈치는 제주 주변해역 수온 상승에 따른 조업원활로 제주산 반입량이 크게 늘어났고, 일본산 출하량도 증가하면서 주초 수요 증가에도 불구하고 하락세를 나타냄
- 삼치는 충무, 부산, 마산산 출하량이 꾸준하고 최근 가격 상승지속으로 판매량이 감소하면서 내림세에 거래
- 병어는 부산산 반입량 증가와 소비가 활발한 중․소형어 위주로 거래되어 약보합세

◈ 조개류
가격지수 : 94.23 전일대비 +0.84
《 강세 요인 》
○ 국내산 겉바지락, 봉지바지락, 새꼬막 오름세
- 바지락은 북한산 수입 바지락이 반입량 감소와 상품성 저조로 국내산 수요가 늘어나면서 오름세를 형성
- 봉지바지락은 반입량 감소하였고 요식업체 주말 판매 호조로 주문량이 늘어 오름세
- 새꼬막은 순천산 출하량 증가하였으나 전반적 상품성 양호로 오름세
《 약세 요인 》
○ 굴, 수입 겉바지락, 홍합 내림세
- 굴은 통영산 반입량이 2톤 증가하였고 초여름에 가까운 날씨로 선도 부진이 가속화되면서 소매상 구매 심리 부진으로 내림세
- 수입 겉바지락은 북한 및 중국산 반입이 줄어들었으나 상품성 저조로 내림세
- 홍합은 상품성이 양호한 여수산 위주로 거래되었으나 기온 상승과 패류 마비독 우려로 소비심리가 위축되어 내림세

◈ 연체류
가격지수 : 113.95 전일대비 +13.05
《 강세 요인 》
○ 수입 주꾸미, 수입낙지, 미더덕, 오만둥이 강세
- 어린이날을 낀 주말로 연체류 소비량이 크게 늘어나면서 외식업체 구매량은 늘어났으나 토요일 세관업무 휴무로 수입낙지, 중국산 주꾸미 반입물량이 감소하면서 강세
- 미더덕과 오만둥이는 반입량이 늘어났으나 마산산 상품성 양호와 주말 소비 증가에 따른 시장내 재고 부족으로 강보합세에 거래
《 약세 요인 》
○ 문어, 물오징어 내림세
- 오징어는 제주도 및 남해에서 주로 출하되었으며 냉동오징어 반입 꾸준과 생물 출하량이 지난주 토요일대비 3톤 증가하여 내림세에 거래
- 부산, 포항에서 출하된 문어는 체장이 작아 하락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