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10.23(화)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007.10.23(화)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담당부서 전산정보팀
문의 0234350314
수정일 2007-10-23 08:35





※ 우리공사에서 제공하는 가격동향 및 표준가격은 자유로이 인용 · 전재 할 수 있으나, 출처는 반드시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1. 농산물

가격지수 : 143.55 전일대비 -0.28
《 강세 요인 》
○ 잎, 열매, 뿌리 채소류와 버섯류는 주초 납품업체 및 소매상 주문 증가로 강세
- 얼갈이, 꺳잎, 애호박은 전일 재고소진, 시세영향으로 반입량 감소하면서 시세 상승
- 무는 충청지역 다발무 위주로 판매호조, 양송이 버섯은 외식업체 주문 증가로 오름세

《 약세 요인 》
○ 양념, 서양 채소류와 서류는 고가거래로 소비부진, 시세영향에 따른 반입량 증가로 약세
- 꽈리고추, 대파, 쪽파는 계속된 고가거래로 판매부진하면서 재고증가로 시세 하락
- 양상추, 셀러리, 감자는 납품업체 및 급식업체 주문 감소로 매수세 약화되면서 내림세

◈ 고구마 감자류
가격지수 : 104.4 전일대비 -6.16
◇ 고구마 - 보합세
- 금일 92톤 출하되면서 전일 대비 25% 반입량 감소.
- 고구마는 여주 29%, 익산 21%, 서산 12%, 논산 8%, 보령 5% 등 반입.
- 밤고구마는 여주 1,500-15,000원, 익산 2,000-17,000원,
- 호박고구마는 서산 1,000-12,000원, 보령 2,000-15,000원
- 전일 시세영향으로 여주, 논산지역 출하량 감소. 전일 재고증가로
- 중도매인 구매력 저하. 월말 유통업체 세일행사 앞두고 주문 증가 추세
- 금일 상품 평균 11,444원으로 전일수준의 보합세 거래
◇ 감자 - 내림세
- 금일 205톤 출하되면서 전일대비 10% 반입량 감소.
- 수미종 감자는 평창 43%, 정선 9%, 홍천 8%, 횡성 7% 등 반입
- 평창 3,000-21,500원, 정선 2,000-18,500원, 홍천 3,000-20,000원.
- 강원지역 일기불순으로 출하작업 부진. 인제, 횡성지역 출하량 감소
- 평창지역 상품성 떨어져 중하품 위주 출하되면서 판매부진하여 매수세 약화
- 금일 중품 평균 12,619원으로 전일대비 10% 하락하면서 내림세

◈ 잎채소류
가격지수 : 186.65 전일대비 1.17
◇ 배추-오름세
- 반입량이 증가하였으나 재고 부족으로 오름세를 이어감.
- 금일 반입량은 769톤으로 전일대비 2.5% 증가하였으며 평창 30%, 태백 11%, 단양 9%에서 출하됨
- 전일 주초임에도 평일수준의 물량이 반입되어 재고가 소진된데다 금일도 출하량이 많지 않아 오름세
- 최고가는 12,500원으로 영월에서 출하되었고 평균가격은 8,290원으로 전일에 비해 140월 상승함
- 기온이 낮아지면서 배추 생육이 도움이 되어 경구상태가 양호한 물건이 출하되면서 48, 50싸이즈


물량이 일부 반입되면서 거래를 주도함.

◈ 열매채소류
가격지수 : 141.26 전일대비 4.84


◈ 뿌리채소류
가격지수 : 243.35 전일대비 9.07
◇ 무-오름세
- 전일 주춤하였던 가격이 출하량이 줄면서 오름세로 돌아섬
- 그러나 고단가로 소비는 극히 부진한 모습임
- 금일 반입량은 550톤으로 전일대비 13.3% 감소하였으며 다발무는 5톤 5대 1통 6대가 반입됨
- 외대무는 홍천(41%), 평창(23%), 정선(9%), 영월(7%)에서, 다발무는 당진, 파주, 나주에서 출하됨
- 외대무 가격 강세로 다발무 출하시기가 앞당겨 지고 출하량도 늘어나는 추세임
- 가격은 18kg상자 기준 최고가는 23,500원으로 태백에서 출하되었고 평균 가격은 17,800원으로


700원 상승함
- 다발무는 5톤 트럭 기준 428-642만원까지 거래됨

◈ 양념 채소류
가격지수 : 116.74 전일대비 -5.27
◇ 일반 풋고추,홍고추-오름세, 청양- 보합세, 꽈리-내림세
- 생고추 전체 반입량은 전일 보다 2.8% 감소한 175톤가량 반입
- 품종별로는 청양 53톤, 일반풋고추 44톤, 꽈리 25톤, 홍고추 11톤 반입
- 금주 강원도 노지 출하는 종료될 것으로 보이며, 전남 지역에서 본격 출하되고 있음
- 강원도 지역의 막바지 출하로 물량 감소한 풋고추, 홍고추는 상승한 반면,
- 최근 높은 시세를 보이고 있는 청양과 꽈리 고추는 소폭 하락함.
- 출하지 이동과 지방도매시장으로의 분산 출하로 반입물량 감소하여 당분간 강세 지속 전망
◇ 양파 - 약보합세
- 금일 594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12% 반입량 감소.
- 무안 51%, 해남 13%, 함평 10%, 신안 6%, 영천 4% 등 차지함
- 무안산 kg당 288-810원, 해남 171-513원, 함평 358-488원 거래.
- 전일 시세영향으로 전남 함평, 경북 영천지역 출하량 감소.
- 중소형 마트 및 일반 소매상 주문 늘면서 중도매인 매수세 증가.
- 금일 상품 평균 465원으로 전일대비 2% 상승하면서 약보합세 거래
◇ 대파 - 내림세
- 금일 234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5% 반입량 증가.
- 경기 고양 18%, 평창 12%, 구리 10%, 이천 6%, 여주 6% 등 반입
- 고양 1,200-2,230원, 평창 1,300-2,900원, 구리 1,450-1,900원
- 경기 고양지역 출하량 증가했으나 상품성 저하로 중하품 위주 반입됨
- 계속된 고가거래로 소매상 및 중소형 마트 주문 감소로 매수세 약화
- 금일 중품 평균 1,507원으로 전일대비 14% 하락하면서 내림세 거래



◈ 서양 채소류
가격지수 : 206 전일대비 -31.01
◇ 피망, 파프리카 - 오름세
- 금일 피망은 전자경매 기준 전일보다 26.8% 감소한 36톤 반입
- 청피망 29톤, 홍피망 7톤 가량임.
- 청피망은 납품 수요 꾸준하여 보합세, 홍피망은 강원도 지역 출하 막바지로 물량 줄어 강세 지속됨
- 파프리카는 전일보다 2.7% 증가한 17톤가량 이며, 빨강 7톤, 노랑 6톤, 주황 2톤임.
- 반입량 감소 추세이며, 막바지 가을철 야외행사 수요로 강보합세 전망
◇ 양상추-내림세, 브로코리-오름세
- 양상추(법인 반입량 기준)는 전일보다 6.8% 감소한 69톤 반입됨
- 수입물량 감소하였고, 당진, 하동, 출하량 증가하고 있음
- 작황이 좋지 않아 반입량 적어 예년보다 강세거래 되고 있는 가운데,
- 금일은 고단가에 대한 부담으로 소비 감소하여 하락세 거래됨.
- 브로코리는 전자경매 기준 26톤가량 반입되어 전일보다 16.2% 증가
- 중국산과 강원도 물량이 대부분이며, 파종기 잦은 비로 당진 지역 등의 출하가 지연되어
- 반입량이 적어 강세 거래되고 있으며, 당분간 이런 상황이 지속될 것으로 보임

◈ 버섯류
가격지수 : 105.69 전일대비 4.79
◇ 버섯류 - 강보합세
- 동절기 재배지 증가로 꾸준한 반입량을 유지하는 가운데, 금일은 전일대비 2% 감소한 206톤 반입
- 버섯 생육에 좋은 건조한 날씨가 이어지면서 생산량도 증가하고, 전반적인 상품성 향상
- 주중 군납 등 납품업체 수요 꾸준
◇ 양송이 - 오름세
- 충청지역에서 주로 출하되는 양송이는 충청지역의 논농사 수확철로 일손이 부족하여 반입량이 많지 않으나, 금일은 전일대비 28% 증가한 19톤 반입
- 충남 부여 47%, 보령 35%, 논산 9%, 경기 평택에서 4% 반입
- 매기 활발로 전일 재고 소진
- 주중 요식업체 수요 및 납품 꾸준
- 2kg 상품 평균 11,684원으로 전일대비 20% 상승

2. 수산물
가격지수 : 105.46 전일대비 +0.74
《 강세 요인 》
○ 기온하락으로 수요 증가한 조개류, 수입물량 상품성 양호한 연체류 상승세 주도
- 제철이 다가옴에 따라 수요 늘어난 굴, 상품성 양호한 가무락 오름세
- 선도가 우수한 국내산 주꾸미, 상품성 양호한 중국산 냉장 낙지 강세
《 약세 요인 》
○ 주초 요식업체 구매량 마무리로 수요 감소한 활 전어, 대구, 봉지바지락 약세

◈ 생선류
가격지수 : 78.12 전일대비 -1.39
《 강세 요인 》
○ 고등어, 생태, 갈치, 참조기, 병어, 아귀, 가자미 강세
- 고등어는 월명기를 앞두고 산지에서 물량 조절에 나서면서 부산산 생물고등어 반입량이 줄어들어 소고등어가 강세에 거래. 다만, 대고등어는 전일에 비해 선도가 떨어져 내림세
- 일본산 생태는 반입량이 전일대비 1톤 증가하였으나 전반적으로 선도가 우수하여 상품이 오름세를 보였고, 중품은 물량 부담으로 소폭의 내림세를 형성함
- 갈치는 제주 채낚기 조업 호조로 반입량이 크게 늘어났으나 상품이 체장이 크고 주초 반입량 부진에 따른 시장내 재고 부족으로 상승세. 다만 중품은 수입 및 국내산 반입량 증가 부담으로 약세
- 참조기는 제주산이 체장이 커 상승세를 나타냈고, 아귀는 국내 및 중국산 반입량 꾸준하나 가을철 소비수요 꾸준으로 오름세 나타냄
- 병어는 반입량이 줄어들었고 10kg상자가 삼천포, 여수, 통영산이 상품성이 양호하여 오름세에 거래. 다만 전일 큰 폭의 상승세를 보였던 4kg상자는 소비부진으로 약세 형성
- 가자미는 산지 조업 여건 호조로 구룡포, 방어진(울산)에서 참가자미, 백가자미 출하량이 증가하였으나 대부분 체장이 커 상승세에 거래
《 약세 요인 》
○ 부세, 삼치, 대구, 감숭어, 전어 약세
- 전일 강세를 보였던 중국산 부세는 금일 상품성이 떨어지는 물량 위주로 거래되면서 내림세
- 삼치는 통영, 여수산 출하량이 늘어났으며 주초 소비지 중간도매상 매수세 마무리에 따른 주문량 감소로 내림세
- 대구는 죽변, 안흥, 보령산 출하량이 크게 증가하면서 반입물량이 전일대비 4톤 증가하였음. 상품성 양호하나 반입량이 크게 늘어나면서 약세에 거래
- 서산, 여수에서 주로 출하된 감숭어는 전일 반입량 증가에 따른 시장내 재고 증가로 내림세
- 전어는 성수기가 둔화되고 주초가 지나면서 횟감 수요량이 줄어들어 하락세에 거래

◈ 조개류 111.95 전일대비 +1.88
《 강세 요인 》
○ 굴,
홍합,
겉소라, 겉동죽, 가무락(모시조개) 강세
- 굴은 13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2톤 증가, 중굴은 통영산이 주반입되어 사천, 남해산은 소량 반입으로 가격은 통영산이 주도하였음, 급식 및 요식업소, 가정 수요 증가로 오름세.

잔굴은 사천,남해,고흥산이나 소량 반입에도 수요처 한정 매기부진하여 약세
- 홍합은 24톤 반입되었고 마산, 여수산이었음. 산지 출하량 조절로 반입량 변동은 적었고 전문 요식업소의 꾸준한 소비로 강보합세
- 겉소라는 여수,고흥,서천산이 소량 반입됨, 등급간 가격 폭이 컸고 산지, 포장 단위 등에 따라 가격차이가 컸고 고정수요처의 물량확보로 오름세
- 동죽과 해락(동죽살)은 서산산으로 소량 반입. 겉동죽은 매기부진으로 내림세, 깐동죽은
반입이 적어 오름세
- 가무락(모시조개)은 목포,남해, 서산산이 반입됨,
목포산 흑모시는 소량 반입에도 상품성 양호로 가격이 높았고, 서산, 남해산은 중간 모시이며 씨알이 잘고 고르지 않아 목포산 보다 낮은 가격을 형성하였으나 전일대비 반입량 감소로 오름세
《 약세 요인 》
○ 새꼬막, 바지락, 동죽살 약세
- 새꼬막은 13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2톤 증가. 순천산이며
산지의 출하 물량조절로 반입량 변동은 크지 않았음. 기온이 낮아지면서 소포장을 중심으로 가정수요가 점차 증가 추세이나 전일 재고량 누적으로 약세

- 바지락은 13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2톤 증가. 태안(안면도)산이며 겉바지락은 씨알이 굵고 선도도 좋으나 전일 가격이 높게 형성되자 반입량 증가로 내림세였고, 중국수입산은 소량 반입되었으나 선도 부진으로 정상 거래 미형성.
봉지바지락도 반입 증가로 내림세였으나 주소비처인 칼국수 전문점 등 요식업소에서 주소

◈ 연체류 86.28 전일대비 +0.72
《 강세 요인 》
○ 수입냉장낙지, 주꾸미,
산낙지 강세
- 수입냉장낙지는 중국산으로 13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2톤 증가, 선도도 좋고 크기별로 고르게 반입되어 수요자의 선도가 높음.
전문요식업체와 대형 유통업체의 거래량 증가로 오름세
- 주꾸미는 2톤 반입되으나 냉동물량이 많았음. 국내산은 서천산이 소량 반입되었으나 씨알이 작음에도 수입산의 반입이 없어 강세였고. 수입산은 중국산은 없었고 베트남산이 소량반입되었으나 정상 거래 미형성
- 산낙지는 고흥산이며 소량 반입, 요식업소의 물량 확보 증가로 강세
《 약세 요인 》

생물오징어, 미더덕, 오만둥이. 문어 약세
- 생물오징어는 26톤 반입으로 전일대비 2톤 감소. 대부분 동해안산 채낙기 물량이나 부산산 그물오징어는 소량 반입되어 낮은 가격에 거래됨. 채낙기 물량은 체장과 선도 양호로 선호도는 높으나 반입 증가로 내림세. 그물오징어는 소량 반입으로 가격 차이도 커 6kg 상자당 7,000-10,000원선에 거래
- 미더덕와 오만둥이는 미더덕은 마산, 오만둥이는 마산,여수산이 반입되었음.
반입량 감소에도 전문 요식업소의 수요 부진으로 약세
- 문어는 서산산 소문어가 소량 반입되었음에도 매기부진으로 약세


※ 활 꽃게 서산, 인천산이 12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3톤 감소, 전일 가격 상승에 따른 가격부담으로 수요가 감소하여 내림세. 그물망으로 반입된 물꽃게는 kg당 상품기준 15-17,000원. 3kg 톱밥게는 33-35,000원선에 거래되었고 백화점 등 대형유통업체의 가격 할인 품목으로의 거래가 증가 추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