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3.3(월)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008.3.3(월)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담당부서 전산정보팀
문의 0234350314
수정일 2008-03-03 09:32









※ 우리공사에서 제공하는 가격동향 및 표준가격은 자유로이 인용 · 전재 할 수 있으나, 출처는 반드시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농산물

가격지수 : 109.62 전일대비 4.17
《 강세 요인 》
○ 월요일 장인데다, 학교 개학 등으로 매기 활발하여 대부분 강세 형성
- 특히 겨자는 반입량이 적어 큰 폭(전일대비 320%) 상승하였으며,
- 그동안 소비 부진하였던 잎채소류의 상승폭이 두드러짐. 치커리, 케일, 상추 등이 큰 폭 상승함
※ 봄이 다가오면서 제철 맞은 취나물과 두릅 등 반입 활발함
《 약세 요인 》
○ 동절기 제철 품목 등이 끝물로 접어들어 약세
- 시금치, 돌산갓, 파래 등이 하락 폭이 컸음"

◈ 고구마 감자류
가격지수 : 145.1 전일대비 -3.43


◈ 잎채소류
가격지수 : 126.98 전일대비 13.29


◈ 열매채소류
가격지수 : 98.6 전일대비 5.92


◈ 뿌리채소류
가격지수 : 116.13 전일대비 1.11


◈ 양념 채소류
가격지수 : 107.28 전일대비 1.85
◇ 생고추 - 오름세
- 생고추 전체 반입량은 전자경매 기준 134톤으로 전주말 보다 57% 증가
- 품종별로는 청양 49톤, 일반풋고추 50톤, 꽈리 20톤, 홍고추 7톤 가량임
- 청양은 밀양(80%), 일반풋고추는 진주(33%)에서 주로 출하되고 있음
- 주초장인데다, 개학으로 매기 활발하여 오름세 거래. 단, 일반 풋고추는 소비 부진으로 하락
- 내일 역시 소비 활발할 것으로 보여 상승 전망됨
◇ 대파 - 오름세
- 금일 전자경매 기준 323톤 반입되어 전주말 보다 8.7% 증가
- 전남 진도 55%, 신안 43%, 제주 2% 등지임
- 신안 지역의 상품성이 좋아 타 지역보다 다소 높은 시세 형성 중이고
- 개학으로 납품 및 급식 업체 수요 활발하여 오름세 거래

◈ 서양 채소류
가격지수 : 94.35 전일대비 8.87
◇ 피망, 파프리카 - 오름세
- 피망은 전자경매 기준 47톤 반입되어 전주말 보다 108% 증가
- 청피망 37톤, 홍피망 11톤이며, 진주, 광주, 고성, 화순, 강진 등에서 출하
- 파프리카는 18톤가량 반입되어 전주말 보다 138% 증가
- 색깔별로는 빨강 6톤, 노랑 7톤, 주황 1톤, 녹색 3톤 가량이고, 창년, 진주, 화순에서 주 출하됨
- 월요일장인데다, 개학으로 급식 수요 등 증가하여 오름세 거래
◇ 양상추, 브로코리 - 오름세
- 양상추는 전자경매 기준 28톤 반입되어 전주말과 비슷한 수준임
- 의령 81%, 광양 19% 점유를 보였으며
- 하동과 합천 등은 후작으로 교체되는 시기로 반입량 줄어 오름세 거래
- 브로코리는 전자경매 기준 38톤 가량 반입되었고, 제주산 30톤(79%), 중국산 8톤(21%)임
- 주초 수요 증가와 각급 학교 개학으로 매기 활발하여 오름세 거래됨

◈ 버섯류
가격지수 : 117.39 전일대비 9.41

◇ 버섯류 : 강보합세
- 반입물량이 201톤으로 전일대비 34톤이 증가한 물량이 출하
- 지난 2월 말 연3일 출하량이 감소하였으나
학생들의 개학으로 인하여 소비량이 증가되고
-소비활성화 및 재고감소로 강보합세 형성.
- 느타리버섯은 각급학교의 개학으로 출하량은 증가하였고 소비가 활성화.
- 표고는 전일 물량이 증가하였고 고단가로 인하여 출하량 증가
- 양송이는 꾸준한 반입 거래되었고 , 새송이는 소비부진 및 재고증가로 약세지속
- 팽이는 대형 마트를 중심으로 반입물량이 증가하였고 재고감소로 인해 전일에
이어 소폭 오름세




2. 수산물

□ 패류(조개류 및 연체류) : 반입량 122톤 전일대비 22톤 증가

◈ 조개류 표준가격지수 : 107.08 전일대비 +10.64

○ 강세품목 : 깐바지락(1㎏), 동죽살(해락), 가무락(모시조개), 굴(중,상품), 새꼬막17kg, 멍게(우렁쉥이), 홍합, 바지락수입(20kg 그물망)
《 강세 요인 》
- 깐바지락(1㎏)은 삼천포 및 서산산이 주 반입 수요 증가로 가격은 오름세
- 동죽살(해락)은 서산산이 주 반입 가격은 오름세
- 가무락(모시조개)은 상품은 군산산이 중품은 순천산이 주 반입. 가격은 오름세.
- 굴은 17톤 반입 전일보다 2톤 증가. 충무, 삼천포, 남해, 마산, 고흥산이 주 반입. 특품 가격은 내림세, 중상품은 오름세
- 새꼬막(고막)은 16톤 반입 전일대비 2톤 증가. 전량 순천산이 주 반입. 대(17kg)는 오름세, 중(7kg)은 약보합세.
- 멍게(우렁쉥이) 충무산, 여수산이 주 반입. 가격은 강보합세
- 홍합은 24톤 반입 전일대비 3톤 증가. 마산산, 여수산이 주 반입됨. 가격은 강보합세
- 바지락수입(20kg 그물망)은 11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4톤 증가. 전량 북한산으로 전문요식업소 등 고정수요처의 물량확보 가격은 강보합세

○ 약세품목 : 소라(피뿔고동), 동죽, 굴(특품), 깐홍합, 새꼬막(고막) 7kg, 봉지바지락(5㎏)
《 약세 요인 》
- 소라(피뿔고동)은 순천산이 주반입. 가격은 내림세
- 동죽은 인천산이 주 반입. 동죽 가격은 내림세.
- 굴은 17톤 반입 전일보다 2톤 증가. 충무, 삼천포, 남해, 마산, 고흥산이 주 반입. 반입물량 증가로 특품 가격은 내림세, 중상품은 오름세
산으로 전문요식업소 등 고정수요처의 물량확보 수요증가로 가격은 오름세
- 깐홍합은 여수산과 마산산이 주 반입됨. 가격은 약보합세
- 새꼬막(고막)은 16톤 반입 전일대비 2톤 증가. 전량 순천산이 주 반입. 대(17kg)는 오름세, 중(7kg)은 약보합세.
- 봉지바지락(5㎏)은 전량 북한산으로 가격은 약보합세

◈ 연체류 가격지수 : 126.02 전일대비 +12.85

○ 강세품목 : 쭈꾸미수입, 낙지수입, 활민물장어(자연), 쭈꾸미(중품), 미더덕(상품), 오만둥이(상품), 물어징어(하품)
《 강세 요인 》
- 쭈꾸미수입은 중국산이 주 반입. 가격은 강보합세
- 낙지수입은 2톤 반입 전일대비 1톤 감소. 중국산으로 중품 가격은 내림세
- 활민물장어(자연),
- 물오징어(중,상품)는 17톤 반입 전일대비 2톤 증가. 부산산이 주반입. 가격은 중상품은 내림세, 하품은 강보합세
- 쭈꾸미(중품)는 1톤 반입 전일대비 3톤 감소. 국내산은 상품은 고흥산과 군산산이 주 반입, 중품 가격은 오름세, 상품 가격은 내림세
- 미덕덕(상품)은 1톤 반입 전일대비 1톤 감소. 마산산 주 반입. 상품 가격은 강보합세
- 오만둥이(상품)는 마산산, 여수산이 주 반입. 상품 가격은 강보합세

○ 약세품목 : 오만둥이, 쭈꾸미(상품), 물오징어(중,상품), 냉동낙지, 문어,
활(산)낙지(자연) 대
《 약세 요인 》
- 오만둥이(중품)는 마산산, 여수산이 주 반입. 가격은 내림세
- 쭈꾸미(상품)는 1톤 반입 전일대비 3톤 감소. 국내산은 군산산이 주 반입, 상품 가격은 내림세, 중품 가격은 강보합세
- 물오징어(중,상품)는 17톤 반입 전일대비 2톤 증가. 부산산, 거제도산 및 속초산이 주 반입. 가격은 상품은 내림세, 중하품은 보합세
- 냉오징어(연안 8kg PAN)는 11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8톤 증가 전량 중국산이 주 반입. 반입물량 증가로 가격은 보합세
- 문어는 포항산 대문어는 약보합세, 서산산 및 포항산 소문어 가격은 약보합세. 포항산 중문어 가격도 약보합세


□ 건어류 : 물량은 64톤 반입 전일대비 26톤 증가

◈ 건어류 가격지수 : 124.68 전일대비 -0.17

○ 보합세 품목 : 건오징어, 김, 미역, 건멸치, 건명태
《 보합세 요인 》: 전일과 가격 비슷함(거의 변동 없음)
- 건오징어는 2톤 반입 전일과 같음. 가격은 보합세
- 김은 27톤 반입 전일대비 10톤 증가. 가격은 보합세
- 미역은 6톤 반입 전일대비 2톤 증가. 가격은 보합세
- 건멸치는 20톤 반입 전일대비 11톤 증가. 가격은 보합세
- 건명태는 9톤 반입 전일대비 6톤 증가. 가격은 보합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