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8.13(월)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007.8.13(월)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담당부서 전산정보팀
문의 0234350314
수정일 2007-08-13 02:50

※ 우리공사에서 제공하는 가격동향 및 표준가격은 자유로이 인용 · 전재 할 수 있으나, 출처는 반드시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농산물

가격지수 : 92.39 전일대비 3.94
《 강세 요인 》
○ 주초 이틀치 물량으로는 다소 적은 양이 반입된 반면 요식업소 재고 소진으로 소비는 증가
- 흐리고 비오는 날이 많아 수확량이 적은 열매채소류 오름세 주도
- 상추, 양배추 등도 요식업소 구매량 증가로 오름세

《 약세 요인 》
○ 장기간 궂은 날이 지속되면서 상품성 저하
- 일사량 부족, 침수 피해 등으로 상품화 되는 물량이 적고 상품성도 하향 평준화
- 양상추 등 서양 채소류 등은 등급간 가격 차이가 심하게 벌어짐

◈ 고구마 감자류
가격지수 : 127.26 전일대비 -5.09
◇ 고구마 - 약보합세
- 금일 105톤 출하되면서 전일대비 50% 반입량 증가.
- 고구마는 여주 52%, 익산 23%, 이천 7%, 영주 6%, 논산 5% 등 반입.
- 밤고구마는 여주 2,000-33,000원, 익산 3,000-20,500원, 이천 1,000-21,500원
- 영주 5,500-18,000원, 호박고구마는 익산 3,000-14,000원 거래
- 주말 판매부진으로 재고증가하면서 주말 산지작업 활발로 출하량 증가
- 금일 상품 평균 16,361원으로 전일대비 6% 시세 하락하면서 약보합세 거래
◇ 감자 - 보합세
- 금일 203톤 출하되면서 전일대비 15% 감소.
- 수미종 감자는 평창 35%, 강릉 12%, 홍천 8%, 성남 7%, 횡성 6% 등 반입
- 평창 1,000-26,000원, 강릉 2,000-23,000원, 홍천 2,000-20,000원 거래.
- 강원지역 국지성 호우로 작업 부진하면서 반입량 감소. 주초 소매상 구매활발
- 금일 상품 평균 17,223원으로 전일대비 1% 시세 상승하면서 보합세

◈ 잎채소류
가격지수 : 102.54 전일대비 10.6
◇ 배추-등급간 가격이 엇갈림
- 일요일 전국적으로 돌풍이 불고 비가 내리는 등 작업여건이 좋지 않았음에도 반입량은 증가
- 주초 이틀치 물량이 출하된데다 강원지역 저지대의 늦갈이 출하가 본격 시작됨
- 정식기 가뭄으로 정식시기가 늦어지면서 6월 중순이후 정식된 늦갈이 면적이 많은데다 전년과 같은


폭우피해가 상대적으로 적어 작황도 양호함
- 금일 반입량은 724톤으로 전일대비 37.3% 증가하였으며 태백 32%, 정선 25%, 평창 19%에서


출하됨
- 가격은 10kg그물망 기준 상품 4,658원으로 3.3% 상승하였으나 보통은 3,137원으로 0.8% 하락함
- 장기간 지속된 비와 고온으로 망가진 물량이 많아 상품성 좋은 물량이 적음
- 반면 짓무르거나 꿀통 등 하자있는 물량 출하가 늘어 저가품 출하비중이 높음

◈ 열매채소류
가격지수 : 115.37 전일대비 21.88
◇ 호박-오름세
- 출하량 부족으로 오름세가 지속됨
- 금일 반입량은 애호박은 152톤 60.2% 증가하였으나 쥬키니 95톤으로 13.1% 감소함
- 애호박은 전일에 비해 증가하였으나 금일이 주초로 이틀치 물량이 출하된 점을 감안하면 많지 않음
- 애호박은 화천 45%, 춘천 16%, 안동 8%에서 쥬키니는 홍천 47%, 평창 9%, 인제 8%에서 출하됨
- 가격은 애호박 20개 상품 18,831원으로 6.4% 하락하였으나, 보통 11,800원으로 1.5% 상승함
- 쥬키니는 10kg상자 기준 상품 16,656원, 보통 13,423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15.7%, 31.8% 상승함
- 금일 물량감소가 두드러진 쥬키니의 오름폭이 크게 나타남

◈ 뿌리채소류
가격지수 : 115.3 전일대비 -0.16
◇ 무-내림세
- 주초 이틀치 물량이 출하된데다 고단가로 소비가 주춤해 내림세
- 금일 반입량은 628톤으로 전일대비 37.5% 증가하였으며 평창 46%, 양구 22%, 정선 21%에서


출하됨
- 전일 출하가 주춤하였던 양구의 물량 증가가 두드러진 가운데 정선은 소폭 감소함
- 가격은 18kg상자 기준 상품 10,221원으로 2.6% 하락하였으나, 보통 7,997원으로 1.6% 상승함


◈ 양념 채소류
가격지수 : 82.56 전일대비 -0.18
◇ 양파 - 약보합세
- 금일 647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28% 증가.
- 무안 62%, 함평 14%, 함양 8%, 김천 4%, 부안 3% 등 차지함
- 무안산 kg당 144-619원, 함평 215-562원, 함양 273-470원 거래.
- 주말 이틀분 산지 작업 활발로 출하량 증가하면서 중도매인 매수세 약화
- 금일 상품 평균 419원으로 전일대비 2% 시세 하락하면서 약보합세 거래
◇ 대파 - 오름세
- 금일 158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9% 증가.
- 강원 평창 18%, 경기 이천 15%, 여주 9%, 고양 8%, 남양주 7% 등 반입
- 평창 950-1,380원, 이천 600-1,430원, 여주 350-1,370원, 고양 880-1,300원 거래
- 주초 말복 소비수요 기대로 중도매인 구매력 증가. 주초 납품업체 주문 증가
- 금일 상품 평균 1,305원으로 전일대비 8% 시세 상승하면서 오름세 거래
◇ 생고추 - 약세
- 잦은 비로 상품성 차이에 따른 가격차가 큰 가운데, 전주말 높은 시세로 반입량 크게 증가
- 생고추 전체 반입량은 전주말 보다 35.1% 증가한 214톤(전자경매기준)가량 반입
- 품종별로는 청양 80톤, 일반풋고추 56톤, 꽈리 35톤, 홍고추 35톤 반입
- 청양 고추는 강원 인제(30%), 춘천(26%), 홍천(10%), 경북 예천(15%)에서 출하됨
- 청양(10kg 기준) 전체 평균 가격은 11,060원이며, 반입량이 매우 많아 익일 약세 전망
- 일반 풋고추는 춘천(34%), 홍천(33%), 인제(14%), 양구(4%) 등에서 출하되며
- 일반 풋고추(10kg 기준) 전체 평균가는 13,670원이며, 말복 수요로 익일 강세 전망
- 꽈리 고추는 충남 당진(56%), 예산(28%), 횡성(3%) 등에서 출하됨
- 꽈리(4kg 기준) 전체 평균 가격은 9,050원이며, 익일 소비 원활로 강보합세 전망

◈ 서양 채소류
가격지수 : 90.54 전일대비 0.49
◇ 피망, 파프리카 - 약세
- 금일 피망은 강원도 지역 물량이 증가하여 전자경매 기준 전주말 보다 25.4% 증가한 29톤 반입
- 청피망 24톤, 홍피망 5톤이며 강원 인제(46%), 춘천(21%), 평창(5%), 홍천(7%) 등에서 출하됨
- 청피망 전체 평균가는 7,120원으로 전주말 보다 18%가량 하락함
- 익일은 중도매인 재고 소진으로 매수세 상승 예상되어 오름세 전망
- 파프리카는 전일 보다 26.5% 증가한 33톤가량 반입됨.
- 품종별로는 빨강 19톤, 노랑 10톤, 주황 4톤가량이며
- 출하 지역은 강원 춘천(16%), 횡성(14%), 전북 김제(6%), 경남 함양(15%) 등임
- 빨강파프리카는 4,610원, 노랑 6,930원, 주황 9,760원으로 전주말 보다 하락하였으며
- 금일 파프리카 반입량이 많아 익일은 내림세가 전망됨
◇ 양상추, 브로코리 - 강세
- 금일 양상추(법인 반입량 기준)는 전일보다 11% 감소한 47톤가량 반입됨
- 강원 횡성 40%, 춘천 26%, 평창 4%, 중국산 15%, 미국산 13%의 분포를 보임
- 양상추 전체 평균 가격은 12,180원으로 전주말 보다 33.9% 상승함
- 내일까지 흐리고 가끔 비가 내려 반입량 많지 않을 것으로 보여 강보합세 전망
- 브로코리 출하지역(전자경매기준)은 강원 횡성(39%), 평창(6%), 중국(44%) 등이며
- 전자경매 기준 전체 평균가는 15,790원으로 전주말 보다 55.4% 상승하였으며
- 국산 물량이 많지 않아 당분간 강세가 지속될 것으로 보임

◈ 버섯류
가격지수 : 71.53 전일대비 -1.71
◇ 버섯류 - 약보합세
- 전일대비 18% 증가한 191톤 반입
- 전국적으로 재배면적이 증가하였고, 주말 산지 작업이 활발해 표고를 제외한 전 품목 증가 출하
- 반입물량이 증가했지만 중도매인 구매도 소폭 증가하면서 전주와 비슷한 시세 형성
- 출하 증가폭이 전일의 2배 이상인 양송이의 하락폭이 두드러짐

◇ 양송이 - 하락세
- 주말 충청 부여와 보령지역의 비가 잦아들면서 산지 작업량이 활발해 전일대비 101% 출하 증가
- 충남 부여 40.3%, 보령 33.9%, 논산 12%에서 출하됨.
- 반입량 증가로 가격 하락세 형성
- 주초 유통업체 및 군납 위주로 중도매인 납품 형성

2. 수산물
가격지수 : 101.09 전일대비 +1.62
《 강세 요인 》
○ 산지 집중호우로 조업여건 악화되어 주초 반입량 저조
- 반입물량 감소한 바지락, 홍합 강세에 거래
- 주말 소비 증가로 재고량 감소한 갈치, 생태, 오만둥이 오름세
《 약세 요인 》
○ 반입물량 증가한 물오징어, 굴, 새꼬막 약보합세

◈ 생선류
가격지수 : 82.38 전일대비 +0.81
《 강세 요인 》
○ 갈치, 대구, 청어, 병어, 냉동고등어 강세
- 갈치는 제주지역 집중호우로 조업여건이 악화되면서 반입량이 평소에 비해 저조한 수준임. 주말 소비량 증가로 재고 부족하고 일본산 반입량도 크게 늘지 않아 강세 형성
- 대구는 죽변산 출하량이 늘어 토요일에 비해 반입량 1톤 늘어났으나 체장이 큰 물량이 거래되어 오름세
- 청어는 포항산 반입량이 줄어들어 상승세를 보였고, 병어는 서남해안 지역 조업 여건 악화로 출하량이 감소세를 나타내며 오름세
- 냉동고등어는 생물 고등어 출하량이 감소하고 대형어가 반입되지 않으면서 대체 수요가 증가하여 상승세를 나타냄

《 약세 요인 》
○ 고등어, 생태, 삼치 약세
- 고등어는 기상여건 악화로 조업율이 부진하여 부산산 생물고등어 출하량 줄어들었음. 공급량 부족하나 소형어 위주로 거래되고 냉동고등어 반입이 소폭 늘어나면서 내림세
- 생태는 일본산 반입량이 1톤 증가하였고 지난주 토요일 시세상승에 따른 판매부진으로 재고량이 늘어 내림세. 다만 중품은 주초 전문점 주문량 증가로 소폭의 오름세에 거래
- 삼치는 부산, 여수, 삼천포산 반입량이 늘어났고 고등어 가격 하락에 따른 수요분산으로 하락세에 거래

◈ 조개류
가격지수 : 127.39 전일대비 +9.76
《 강세 요인 》
○ 바지락, 홍합, 깐바지락, 깐홍합 강세
- 바지락은 산지 작업여건 악화로 저장 물량이 출하되었으며 겉바지락은 안면도에서 주로 반입되었음. 주초 요식업체 주문량 증가와 최근 반입량 저조로 강세
- 홍합은 여수산 출하량 감소로 토요일대비 반입량이 3톤 감소하였고 주요 요식업체 고정 수요량은 꾸줌함을 나타내며 강세에 거래
- 깐바지락 및 깐홍합은 수도권내 소매상 주문량이 집중되어 강세를 형성함
《 약세 요인 》
○ 굴, 봉지바지락, 새꼬막 약세
- 굴은 통영산 반입량이 전일대비 3톤 증가하였고 선도가 다소 떨어져 내림세에 거래
- 봉지바지락은 태안산 반입량이 줄어들었으나 토요일 시세 급등으로 인해 요식업체 판매량이 부진함을 보이면서 하락세
- 토요일 강세를 나타냈던 새꼬막은 순천산 출하량이 2톤정도 증가하여 상승세가 다소 수그러들었음.

◈ 연체류
가격지수 : 133.29전일대비 +2.25
《 강세 요인 》
○ 활낙지, 미더덕, 오만둥이 강세
- 산낙지는 최근 공급량이 부족한 가운데 상품성이 우수한 녹동산이 반입되어 강세.
- 미더덕은 지난주 토요일 반입량 감소로 시장내 재고량이 부족하고 주초 식자재 업체 주문량은 늘어나면서 강세
- 약세를 형성하였던 오만둥이는 마산, 여수산 출하량이 감소하였고 소비는 가격하락으로 다소 증가하여 오름세에 거래
《 약세 요인 》
○ 물오징어, 문어 약세
- 물오징어는 주말 우천으로 산지 소비량이 감소하면서 안흥산 출하량이 증가하였고 상품성은 다소 떨어지면서 내림세
- 포항산 문어는 출하량이 늘어나고 주초 우천으로 인해 소비수요 둔화예상으로 매수세가 약화되면서 하락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