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2.7(수)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007.2.7(수)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담당부서 전산정보팀
문의 0234350314
수정일 2007-02-07 03:25

※ 우리공사에서 제공하는 가격동향 및 표준가격은 자유로이 인용 · 전재 할 수 있으나, 출처는 반드시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농산물

가격지수 : 110.92 전일대비 -1.68
《강세 요인》
○ 전체적으로 내림세인 가운데 상품성이 호전된 버섯류는 오름세
○ 설 대목을 앞두고 햇김치 수요로 무, 배추 소비량 증가
《약세 요인》
○ 맑고 포근한 날씨로 산지 출하작업 활발
- 반입량이 많은데다 겨울철 고온 현상으로 웃자란 물량이 많아 상품성 하락
- 강세가 이어졌던 서류가 내림세를 주도했고 열매채소류, 잎채소류도 약세
○ 한정된 수요로 소비는 부진
- 설 명절을 앞두고 소비량이 증가하고 있으나 늘어난 물량으로 소화하기는 부족"

◈ 고구마 감자류
가격지수 : 162.97 전일대비 -11.84
◇ 고구마 : 보합세
- 주초부터 계속된 시세 강세로 2월 들어 최고 물량인 47톤 반입
- 경기 여주산 밤고구마는 전일대비 23% 감소한 10톤 반입. 상품성 저하로 약보합세
- 호박고구마는 19톤 반입되면서 주출하지는 서산, 영암, 논산 등 상품성
우수, 강보합세 거래
◇ 감자 : 내림세
- 강원 평창, 횡성 지역 수미종 저장감자 출하량
감소로 102톤 반입. 평창, 인제 지역 저장 감자 상품성 저하로 중하품 시세 하락.
- 제주산 대지종 감자는 전일수준 149톤 반입. 주중 판매부진 지속. 중도매인 구매력 저하로 전일대비 6% 하락한 상품 평균 29,000원에 거래

◈ 잎채소류
가격지수 : 87.39 전일대비 -2.35

◇배추-내림세

-주초부터 반입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한데다 가격 오름세 수요는 위축됨
-전자경매 기준 440톤이 반입되었으며 해남 84%, 진도 16%에서 출하됨
-가격은 10kg그물망 기준 최고가 2,600원이었고 상품 2,225원으로 0.7% 상승하였으나 보통은 1.700원으로 1.4% 하락
- 전체적으로 내림세인 가운데 하품의 내림세가 두드러짐
◇ 상추, 시금치 - 주중장으로 접어들면서 소비가 부진하며, 반입물량 증가로 내림세
- 맑고 포근한 날씨로 상추는 전일대비(전자경매기준) 2.2%, 시금치는 전체 39% 가량 반입량 증가함.
- 주중장으로 접어들어 수요는 부진함.
- 청상추(4kg,상품)가 전일대비 13% 하락한 8,650원, 적포기는 2% 하락한 9,500원, 시금치의 경우 섬초(15kg묶음,상품)가 18.5% 하락한 평균 26,500원에 거래됨.


◈ 열매채소류
가격지수 : 112.7 전일대비 -4.65
◇호박-내림세
-주 중반으로 반입량이 감소하였으나 재고 누적으로 내림세
-애호박은 49톤(전자경매)이 반입되었으며 진주 86%, 고성 5%, 광양 3%에서 출하됨.
-쥬키니는 56톤이 반입되었으며 진주 75%, 고성 19%, 전주 3%에서 출하됨.
-가격은 상품기준 애호박 20개 24,750원, 쥬키니 10kg상자 11,250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10%, 8.2% 하락.

◈ 뿌리채소류
가격지수 : 80.76 전일대비 -0.58
◇무-오름세
-산지 출하작업 활발로 평소보다 많은 물량이 출하되었으나 오름세
-전자경매기준 704톤이 반입되었으며 제주산과 육지산의 출하비중은 각각 60%, 40%정도 제주산의 출하량 증가
-18kg마대 기준 상품 4,650원, 보통 3,050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3.3%, 3.4% 상승함.
-전반적으로 오름세인 가운데 저가품은 전일 가격 오름폭이 커 금일을 약세
-설 명절을 앞두고 햇김치 수요로 소비가 원활함

◈ 양념 채소류
가격지수 : 97.45 전일대비 -1.96
◇ 양파 : 보합세
- 전남 무안산 전일대비 28% 증가한 305톤 반입. 전남 함평산 98톤 반입.
- 전일대비 14% 증가한 704톤 반입. 그중 중국산 수입양파는 전일대비 61% 증가한 63톤 반입
- 주중 시세 상승 기대심리로 산지 출하량 증가. 각종 할인점 세일 등으로 납품업체 주문 활발. 반입물량이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시세는 보합세
◇ 대파 : 보합세
- 전일대비 11% 증가한 270톤 반입. 전남 진도지역 전일대비 14% 증가한 199톤 반입.
- 물량 증가했으나 주중 중도매인 재고량 감소로 매수세 증가.
- 전남 신안산은 상품성이 우수로 고단가에 거래되었으나 전체적인 시세는 보합세
◇ 쪽파 : 내림세
- 전일대비 32% 증가한 45톤 반입. 흙쪽파는 예산지역 출하량 증가로 약보합세
- 깐쪽파는 금일 19톤 반입. 제주산 9톤, 충남 예산 7톤, 당진 3톤 반입. 육지산
상품성 저하로 내림세

◈ 서양 채소류
가격지수 : 125.05 전일대비 -0.14

◇ 피망, 파프리카류 - 산지 물량이 부족하여 높은 가격대가 형성되고 있는 가운데 금일 은 약보합세
- 현재 수확량 감소시기로 전일대비 3.3% 감소한 32톤(전자경매 기준) 반입.
- 중도매인과 납품업체 등의 매기는 보통 수준임.
- 청피망(10kg,상)은 전일대비 1.6% 하락한 60,000원, 빨강 파프리카(5kg,상)는 2.7% 상승한 36,000원, 노랑파프리카는 12.2% 상승한 평균 41,500원에 거래됨.
◇ 브로코리 - 반입물량 증가로 내림세
- 전자경매 기준 전일대비 20% 가량 물량 증가함.
- 구정 이후 가격 상승을 예상한 출하자 들이 좋은 물건 출하를 미루고 있어 고품질 반입량은 적음편임.
- 8kg 상품 기준으로 전일대비 7.7% 하락한 평균 18,000원에 거래됨.
◇ 양상추 - 반입물량 증가로 내림세
- 날씨가 따뜻해지면서 생육 여건이 좋아져 물량 증가하여 전일대비 10% 증가한 57톤 반입.
- 8kg 상품 기준으로 전일대비 5.4% 하락한 평균 17,500원에서 거래됨.

◈ 버섯류
가격지수 : 93.69 전일대비 4.36

◇ 버섯류 상승세
《강세요인》

- 주중 매기 활발로 중도매인의 재고량 감소
- 학교 개학으로 인한 납품업체 구매 활발
- 유통업체 행사 소비 꾸준함
- 버섯류 상품성 전체적으로 향상
《약세요인》
- 반입량은 199톤으로 전일대비 6% 증가
- 따뜻한 날씨로 산지 작업여건 향상

◎ 양송이- 오름세
- 2kg 상품 평균 10,250원으로 가격 17% 상승
- 금일 반입량은 11톤으로, 충남 보령 61%, 부여24%, 논산13%에서 반입되는 등 충청권에서 100% 출하됨


◎ 느타리 -오름세
- 2kg 상품 평균 8,250원으로 전일가격 대비 6% 상승
- 44톤이 반입되었고, 경기 여주· 광주 지역의 반입량이 많았음
- 현재 성출하기인 전라도 지역 물량 조금씩 증가 추세
◎ 표고- 오름세
- 4kg 특품 평균가 45,000원으로 가격 13% 상승
- 주초 시세 상승의 영향으로 산지 출하량 증가세


2. 수산물
가격지수 : 98.63 전일대비 +0.02
《 강세 요인 》
○ 설을 앞두고 중도매인 물량 확보 심리 형성과 상품성 양호한 물량 반입
- 수입조기, 고등어, 바지락, 굴은 선도 양호와 설
대비 가공용 수요 증가로 오름세
- 물오징어, 수입낙지는 최근 반입량 감소세가 이어지며 상승세 형성
《 약세 요인 》
○ 정부비축물량 방출과 주중 요식업체 소비 수요 감소
- 냉동삼치, 냉동오징어 정부비축 물량 증가로 하락세

◈ 생선류
가격지수 : 79.20 전일대비 -0.15
《 약세 요인 》
○ 정부 비축 물량 방출과 일부 선어류 수입물량 증가
- 갈치는 제주 지역 기상여건 회복으로 채낚기 및 연승조업이 활발하여 반입량이 늘어났고 최근 가격이 상승한 일본산 채낚기 물량도 늘어나면서 하락세에 거래.
- 냉동명태는 정부비축 방출량이 늘어나면서 가격 하락을 우려한 산지 유통인들의 출하량이 감소. 생태는 기온상승에 따른 선도부진 가속화와 냉태 물량증가로 하락세
《 강세 요인 》
○ 월명기로 생물 반입량 감소한 고등어 강세
- 고등어는 설 수요로 대형선망이 조업을 진행중이나 월명기로 어획량은 크게 늘지 않아 생물 반입량이 줄어들며 오름세 지속. 정부비축 냉동물량이 방출되고 있으나 생물 수요를 완전히 대체하지 못하여 생물 가격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함.

◈ 조개류
가격지수 : 106.35 전일대비 -3.09
《 약세 요인 》
○ 새꼬막 전일 물량 증가와 가격상승으로 재고량 증가
- 순천산 물량이 감소하였으나 전일 재고 누적으로 중,하품 매수세가 감소하며 하락세
《 강세 요인 》
○ 바지락, 굴 산지 출하량 조절과 선도 양호 오름세
- 국내산 겉 바지락은 서산산 물량이 출하된 가운데 북한산 물량감소와 씨알이 커 강보합세에 거래
- 굴은 산지 출하조절로 반입량이 감소하였으나 설이 다가오면서 소비량이 회복되어 오름세를 보였고, 홍합은 여수, 마산산 출하량 감소로 강보합세

◈ 연체류
가격지수 : 117.29 전일대비 +3.43
《 약세 요인 》
○ 냉동오징어 정부비축 물량 방출로 하락세
- 정부비축 물량이 이틀동안 방출되었고 상품성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여 내림세
《 강세 요인 》
○ 수입낙지, 물오징어, 쭈꾸미 상품성 양호와 최근 반입량 감소세
- 물오징어는 동해안 수온하락으로 남하회유가 활발하고 월명기까지 겹치면서 어황이 부진하여 상승세를 보임.
- 수입낙지는 선도가 양호한 물량 반입과 겨울철 중국내 작업 부진으로 반입량이 감소하며 오름세
- 쭈꾸미는 수입물량 감소하였고 군산, 장항산이 선도가 양호하여 오름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