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2.6(화)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007.2.6(화)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담당부서 전산정보팀
문의 0234350314
수정일 2007-02-06 04:04





































※ 우리공사에서 제공하는 가격동향 및 표준가격은 자유로이 인용 · 전재 할 수 있으나, 출처는 반드시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농산물
가격지수 : 112.79 전일대비 0.88
《강세 요인》
○ 온화한 날씨와 학교 급식 등으로 인한 소비 원활.

설 대목 소비 시작으로 물량 증가에도 구매력 증대.
○ 잎채소류와 양채소류 가격 상승폭 컸음.
- 상품성이 좋은 물건 반입이 증가한 시금치, 미나리, 부추, 봄동 등의 잎채소류와

피망, 파프리카 등 산지 물량이 부족한 양채소류의 가격이 상승함.
《약세 요인》
○ 온난한 날씨로 생산, 출하량 증가(열매채소류)
- 본격 소비철이 아닌 애호박, 가지 등
물량 증가세로 가격 하락.

◈ 고구마 감자류
가격지수 : 174.81 전일대비 -0.28
◇ 고구마 : 약보합세
- 전일 시세 상승 영향으로 산지 출하량 증가, 전일대비 39% 증가한 39톤 반입
- 경기 여주산 밤고구마 13톤 반입, 6,000-27,000원에 거래. 주초 매수세 증가로 약보합
- 전남 영암, 충남 서산지역 등 호박고구마 20톤 반입. 서산, 논산지역 호박고구마가

상품성이 좋아 상품 최고가 35,000원선에 거래되면서 약보합세 주도
◇ 감자 : 약보합세
- 강원 평창, 인제 지역 수미종 저장감자 출하량 증가. 전북 남원산 상품성 좋아

최고 25,500원 거래. 학교 개학 영향 소비수요 증가로 약보합세
- 제주산 대지종 감자는 150톤 반입. 전일대비 3% 증가. 전일 재고 물량이 많아

중도매인 매수세 감소로 보합세 거래.


◈ 잎채소류
가격지수 : 89.74 전일대비 5.57
◇배추 - 오름세 지속
-반입량은 567톤이었고 해남 76%, 진도 18%, 무안 6%에서 출하됨
-전일 반입량 569톤에 비해 2톤 적었으나 지난주 일평균 반입량 452톤에 비해 25% 많았음.
-전일 가격이 상승하였고 맑고 포근한 날씨로 작업여건도 좋았음.
-가격은 최고가 2,650원, 상품 2,210원, 보통 1,725원으로 전일에 비해 각각 4.5%, 1.5% 상승함.
-전일 출하량이 많았으나 거래가 원활히 이루어져 재고가 정리되었고 금주부터 각급 학교 개학으로


납품
소비도 증가함.
-또한 설 명절을 2주 앞두고 예년보다 높은 기온으로 김치 숙성이 빨라 햇김치 소비도 살아나고 있음

◈ 열매채소류
가격지수 : 117.35 전일대비 -4.27
◇오이-품종별로 엇갈림
-주 중반으로 출하가 조절되면서 반입량이 감소하였으나 가격은 품종별로 엇갈림
-금일 오이 전체 반입량은 134톤으로 전일대비 49.4% 감소하였으며 품목별로는 백다다기기 96톤,


취청 39톤임
-백다다기는 전일대비 30% 감소에 그쳤으나 취청은 70% 줄어 취청의 물량감소가 두드러짐.

◈ 뿌리채소류
가격지수 : 81.34 전일대비 1.69
◇무-오름세
-산지작업여건 호전으로 반입량 증가
-770톤이 반입되어 전일대비 30% 증가하였으며 서귀포 44%, 고창 21%, 제주시 9%에 출하됨.
-18kg마대 기준 상품 4,500원으로 3.4% 상승하였고 보통은 2,950원으로 보합.
-각급 학교 개학과 설 명절 햇김치 수요로 소비증가

◈ 양념 채소류
가격지수 : 99.41 전일대비 -0.2
◇ 양파 : 보합세
- 전남 무안산 238톤, 경북 영천산 111톤 등 산지 저장 양파 반입량 증가
- 전일대비 57% 증가한 618톤 반입. 그중 중국산 수입양파는 39톤 반입
- 학교 개학에 따른 급식수요 증가. 중도매인 재고 감소로 매수세 증가
- 반입량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시세는 전일 수준을 보이며 보합세 거래
- 경북 영천산은 kg단가 793원-1,161원으로 거래. 전남 무안산은 최고 1,270원에 거래
◇ 대파 : 강보합세
- 전일 반입량 증가에 따른 시세 하락 영향. 금일 전남 진도지역 175톤 반입. 출하량 감소
- 중도매인 물량확보 매수세 증가. 금일 판매호조로 전일 재고소진.
- 전남 신안산은 kg단가 430원-700원에 거래, 진도산은 390원-600원에 거래. 강보합세
◇ 쪽파 : 보합세
- 충남 예산, 아산지역 중심으로 흙쪽파가 16톤 반입. 주초 수요 증가로 보합세
- 깐쪽파는 제주산 8톤, 충남 예산 6톤 등 18톤 반입. 제주산 반입량 감소로 약보합세


◈ 서양 채소류
가격지수 : 125.19 전일대비 6.59

◇ 피망, 파프리카류-강세
- 산지물량 부족으로 반입물량은 감소한 반면 학교 급식 수요 등으로 구매력이 상승해 강세장 형성.
- 청피망(10kg,상)은 전일대비 9.4% 상승한 61,000원, 빨강 파프리카(5kg,상)는 10% 상승한 평균


38,500원에 거래됨.
◇ 브로코리-강세
- 물량 감소와 최근 방송 방영으로 강세장을 형성하고 있음.
- 수입산이 가격 상승 억제 역할을 하고 있어 큰 폭의 상승은 어려울 것으로 보임.
- 8kg 상품 기준으로 전일대비 2.6% 상승한 평균 19,500원에 거래됨.
◇ 양상추-강세
- 양상추의 공급 물량이 부족하여 지속적인 강보합세를 형성하고 있음.
- 날씨가 따뜻해지면서 생육 여건이 좋아져 물량 증가 예상되나, 구정까지는 강보합세의 흐름속에


등락을 보일 전망임.
- 8kg 상품 기준으로 전일대비 2.8% 상승한 평균 18,500원에서 거래됨.

◈ 버섯류
가격지수 : 89.57 전일대비 -0.73

◇ 양송이 보합세

《강세요인》

- 학교급식 등 대체적인 소비 활성
- 전일 중도매인 재고 누적이 있어 반입량이 줄었음에도 전일과 보합세 형성
《약세요인》
- 10톤이 반입되어 전일대비 출하량 5톤 감소
- 충청도 양송이 반입량 감소추세

표고 보합세


《강세요인》
- 중도매인 재고량이 많이 소진됨
- 유통업체 납품소비 증가로 매기 활발
- 반입량이 계속 늘어나는 추세지만, 소비가 활성화 되면서 가격은 보합세 유지

《약세요인》
- 26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반입량 19% 증가
- 반입량 증가 추세


2. 수산물
가격지수 : 98.61 전일대비 +0.78
《 강세 요인 》
◇ 주초 구매력 활발로 시장내 재고량 감소
- 굴, 수입낙지, 쭈꾸미는 반입량 감소와 함께 소비활발로 중도매인 매수세가 지속
- 상품성이 양호한 일본산 꽁치, 미더덕 소폭의 오름세를 형성함
《 약세 요인 》
◇ 정부비축물량 방출로 반입량 증가
- 냉동 물량이 증가하면서 생물오징어, 생물고등어 하품이 수요감소로 하락세

◈ 생선류
가격지수 : 79.35 전일대비 -2.92
《 약세 요인 》
◇ 냉동 비축물량 방출과 가격 상승에 따른 매수량 감소
- 갈치는 최근 반입량 감소로 가격상승하자 제주 은갈치 출하량은 증가하고 소비수요는 일본산 냉장

갈치로
대체되면서 하락세
- 냉동삼치는 정부비축 물량 방출로 하락세를 보였고, 냉동고등어는 월명기로 생물물량이 감소하면서



반입량 증가에도 보합세 유지
《 강세 요인 》
◇ 월명기로 반입량이 부진한 생물 대형 고등어
오름세
- 고등어는 월명기 영향으로 대형선망 조업이 부진하여 생물 반입량은 감소하였고 특히 대형어는 가공


수요 증가로 강세. 하품은 냉동물량 증가로 수요가 다소 감소하여 약보합세


◈ 조개류



가격지수 : 109.44 전일대비 +2.32
《 강세 요인 》

◇ 포근한 날씨 지속으로 산지 작업여건
호전, 반입량 증가에도 고정 수요처 물량 확보로 거래량 증가




- 굴은 고흥, 통영, 남해산이 19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2톤 감소, 선도가 좋고 재고량 소진, 매기 활발




- 바지락은 수입산만 10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1톤 증가, 봉지바지락은 소폭 오름세, 대포장 망바지락





은 반입량 감소로 고정 수요처인 전문 요식업체의 물량확보로 오름폭이 컸음




- 순천산 새꼬막은 17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2톤 증가. 전일 가격이 높았던 소포장은 거래부진으로







약세,
대포장은 큰폭의 오름세 형성




- 홍합은 24톤 반입으로 전일과 같았고
포장마차 등 전문요식업체의 거래가 꾸준하나
재고량 소진






으로
강세
《 약세 요인 》

◇ 수입물량중 당일 반입량은 상품성이 양호하여 높은 가격을 유지하나 미판매 재고물량은 상품성







하락으로 가격이 낮아 재고량 누적



- 모시조개는 소량 반입, 국내산은 높은 가격이나, 수입산은 매기부진으로 내림세였고 재고량 증가



- 소라는 군산,서천산이나 씨알이 큰 대품의 반입이 없어 약세 지속

◈ 연체류
가격지수 : 113.86 전일대비 +8.03
《 강세 요인 》


◇ 고정 수요처인 전문요식업체의 물량확보와 급식 납품업체의 구매량 증가



- 생물오징어는 17톤으로 전일대비 6톤 증가, 대오징어는 채낚기 물량으로 상품성이 좋아 가격이






높았고, 잔오징어도 수요 증가로 오름세



- 수입낙지는 3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1톤 감소, 반입량 감소와 선도 상승으로 거래활발로 오름세




- 냉동 오징어는 15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4톤 증가하였으나 이중 정부비축 물량 8kg포장품이 300개







반입되어 17500원에 낙찰, 급식업체의 납품 수요증가로 반입량 증가에도 강세로 거래




- 미더덕은 생물의 반입 비중 증가로 오름세

《 약세 요인 》

◇ 수입원가 상승에 따른 반입량 감소로 가격형성이 높아 매기부진



- 주꾸미는 수입산이 반입격감에도 상품성이 좋지않아 가격도 낮게 형성되어 국내산 위주로 거래,






전일에 이은 높은 가격형성으로 매기가 부진하여 재고량 증가



- 오만둥이는 반입물량 감소에도 전문요식업체의 물량 확보로 오름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