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2.5(월)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007.2.5(월)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 우리공사에서 제공하는 가격동향 및 표준가격은 자유로이 인용 · 전재 할 수 있으나, 출처는 반드시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농산물
가격지수 : 110.84 전일대비 3.34
《강세 요인》
○ 온화한 날씨로 주초 소비량 증가
- 소비량 증가에 따른 재고 감소로 중도매인 물량확보 심리가 강하게 형성되며 대부분 품목이 강보합세
- 최근 출하량이 감소했던 오이, 호박, 고추류는 재고 부족 심화로 오름세, 최근 약세를 지속한 무는 소비
회복세를 보임
○ 학교 개학으로 급식 수요 증가
- 학교급식 재개로 식자재업체 주문량이 증가한 감자수미, 버섯류가 강세에 거래
《약세 요인》
○ 산지 기상여건 호조와 2일간 작업물량 출하로 반입량 증가
- 공급량이 증가한 양배추와 15kg상자 시금치는 내림세를 보임"
◈ 고구마 감자류
가격지수 : 175.09 전일대비 11.3
◇ 고구마 : 오름세
- 경기 여주지역 밤고구마, 충남 태안 지역 호박고구마 출하량 감소
- 주말 소비로 재고 소진. 중도매인 물량 확보 매수세 증가, 시세 상승
◇ 감자 : 오름세
- 강원 지역 수미종 저장 감자 출하량 감소와 급식업체 주초 수요 증가로 시세 상승
- 제주산 대지종 감자는 주말 작업분 출하로 반입 물량 증가로 약보합세
◈ 잎채소류
가격지수 : 84.17 전일대비 -0.85
◇배추 오름세
-주초인데다 한파가 물러나면서 평년보다 높은 기온으로 작업여건이 호조를 보여 반입량이 증가.
-569톤이 반입되어 지난 토요일 대비 312%, 지난주 일평균 반입량 327톤 대비 74% 많은 물량임.
-해남 80%, 무안 12%, 진도 7%에서 출하되어 해남의 물량 증가가 두드러짐.
-물량 증가에도 가격은 소폭 오름세여서 수요가 활발함.
-주초로 이틀치 수요량인데다 지난 금요일부터 반입량이 저조해 수요가 활발했음.
-10kg그물망 기준 상품 2,115원, 보통 1,700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3.2%, 9.7% 상승함.
◇ 상추-약세
- 산지 기상여건 호조와 2일간 작업물량 출하로 반입량 증가하여 내림세에 거래됨.
- 적포기는 전일과 비슷한 58톤(전자경매기준), 청상추는 13% 증가한 12톤이 반입됨.
- 청상추(4kg,상)는 전일대비 10% 하락한 9,400원, 적포기는 6.6% 하락한 평균 9,900 원에 거래
◇ 시금치-강세
- 섬초(15kg 묶음)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품종에서 강세를 보임.
- 반입량 증가(전일대비 31% 증가한 137톤,전자경매 기준)에도 주초 납품업체 및 중도매인 매기
가 강해 오름세 형성함.
- 4kg 상자 시금치는 전일대비 19% 상승한 8,400원, 400g 단은 23% 상승한 615원, 포항초 500g
단은 4.3% 상승한 1,200원에, 15kg 묶음은 17% 하락한 평균 28,500원에 거래됨.
◈ 열매채소류
가격지수 : 121.62 전일대비 10.61
◇호박 오름세
-맑고 포근한 날씨로 생육이 활발한데다 주초 이틀치 물량으로 반입량이 크게 증가함.
-금일 호박 전체 반입량은 214톤으로 전일대비 45.4% 증가하였으며 애호박 85톤, 쥬키니 85톤,
단호박 25톤, 늙은호박 20톤이 출하됨.
-애호박은 진주 70%, 광양 15%, 고성 10%에서 쥬키니는 진주 65%, 고성 20%, 의령 13%에서 출하됨.
-가격은 상품기준 애호박 20개 27,750원, 쥬키니 10kg상자 11,750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11%, 9.3% 상승
◈ 뿌리채소류
가격지수 : 79.65 전일대비 3.2
◇무 오름세
-금일 반입량은 590톤으로 전일대비 55% 증가하였으며 서귀포 43%, 고창 32%, 제주시 12%였음.
-제주산과 육지산의 출하비중은 55%, 45% 정도로 육지산의 물량 증가 두드러짐.
-가격은 18kg마대 기준 제주산 3,800~4,700원으로 전일에 비해 500~700원 가량 상승
-반면 육지산은 1,500~1,800원 선으로 전일대비 100~200원 가량 하락함.
-전반적으로 오름세인 가운데 육지산은 반입량이 증가한데다 상품성 저하로 소폭 하락
-금일 재고 소진에 따라 오름세였으나 산지 출하대기 물량이 많아 지속되는 어려울 것으로 보임.
◈ 양념 채소류
가격지수 : 99.61 전일대비 4.36
◇ 양파 : 오름세
- 전남 무안, 함평 지역 저장 양파 출하량 조절로 반입량 감소
- 각급학교 개학에 따른 급식업체 수요증가, 주초 중도매인 구매력 증대로 시세 상승
◇ 대파 : 보합세
- 전남 진도, 신안지역 주말 이틀 작업분 출하로 반입량 증가
- 주초 납품업체 및 소매상 판매부진, 계속된 저단가 거래로 재고가 많아 보합세 형성.
◇ 쪽파 : 내림세
- 기온이 오르면서 충남 예산지역 흙쪽파 물량 소폭 증가, 주초 판매부진 보합세
- 제주산 깐쪽파는 납품업체 소비 수요 증가, 중품 평균 22,500원으로 전일대비 7% 시세 상승
◈ 서양 채소류
가격지수 : 118.6 전일대비 1.84
◇ 피망-강세, 파프리카류-약세
- 청피망의 물량 감소와, 주초 납품업체와 중도매인의 구매력이 상승해 강세장 형성.
- 반면 파프리카류는 청피망의 강세와 품질 저하로 약세에 거래됨.
- 청피망(10kg,상)의 경우 전일대비 6.2% 상승한 55,700원, 빨강 파프리카(5kg,상)는 13% 하락한
평균 33,500원에 거래됨.
◇ 브로코리-강세
- 주말 재고물량이 소진되면서 오름세에 거래.
- 브로코리는 전일대비 2.7% 상승한 평균 19,000원에 거래됨.
◇ 양상추-보합세
- 양상추의 반입 물량 및 가격 진폭에 큰 변동없이 거래되는 추세임.
- 전일대비 9% 증가한 50톤이 반입되었고, 8kg 상품 기준 평균 18,000원에서 거래됨.
◈ 버섯류
가격지수 : 90.3 전일대비 9.53
◈ 버섯류 상승세
◎ 날씨가 따뜻해지면서 산지작업량이 늘어나 반입량 전일대비 14% 증가
◎ 소비도 원만하게 이루어져 시장 내 재고량 감소
◎ 개학으로 인한 납품업체의 원활한 구매 이어짐
◇ 표고버섯 상승세
《강세요인》
- 본격적인 설 명절은 앞두고, 선물용인 상품성이 좋은 특·상품의 반입 증가
- 수요도 증가하면서, 4kg 특품 평균 44,000원으로 전일대비 47% 가격 상승
- 중·상품 가격도 소비가 원활해지면서 상승
《약세요인》
- 22톤이 반입되면서 반입량이 전일대비 46% 증가
◇ 양송이버섯 상승세
《강세요인》
- 학교 개학으로 양송이 수요 증가
- 학교 급식 주 메뉴인 양송이는 2kg 상품 평균가격이 9,000원으로 전일대비 20% 상승
《약세요인》
- 15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반입량 11% 증가
2. 수산물
가격지수 : 97.83 전일대비 +0.50
《 강세 요인 》
◇ 기상 여건호조로 2일분 작업물량 반입에도 거래량은 증가
◇ 주말 수요 증가로 중도매인 보유 및 재고물량 소진
◇초.중.고 학교개학에 따른 급식업체 수요증가로 납품 수요 증가
◇ 설 대목을 앞두고 대형 유통업체 세일 시작에 따른 구매량 증가
- 갈치,조기 등은 생물 반입이 적고 상품성이 양호하여 오름세
- 상품성이 좋은 굴, 새꼬막, 홍합은 주말 재고물량 소진과 주초 고 정 수요처의
물량확보로 거래량 증가
- 수입낙지, 주꾸미, 미더덕 등은 전문 요식업체의 물량 확보로 오름세
《 약세 요인 》
◇ 월명기(달밝기)로 인한 어획부진으로 생물감소로 수입 냉동물량 거래 증가
- 대중 품목인 고등어, 오징어는 생물의 상품성 저하로 내림세였고 기타 냉동 물량은
증가하였으나 일반 수요는 부진
- 활어류는 주초장세로 매기부진으로 약세 형성
◈ 생선류
가격지수 : 82.17 전일대비 -0.84
《 강세 요인 》
◇ 월명기(달밝기)로 생물 어획이 부진하여 생물은 오름세, 냉동물은 급식 수요증가로 거래량 증가
- 갈치는 제주산이나 월명기로 생물의 어획이 부진하여 오름세였고 수입 및 냉동물량도 급식 납품 수요 증가로 오름세
- 조기는 5톤 반입되었으나 국내산은 소량 반입으로 오름세였고, 수입산도 고정 수요처의 물량 확보로 오름세
《 약세 요인 》
◇ 국내산 생물은 상품성이 낮은 것의 반입이 증가, 수입 물량은 재고량이 충분하여 가격변동이 크게없음
- 고등어는 15톤 반입으로 대부분 냉동 및 수입산이었고, 월명기 영향으로 생물반입은 격감하여 상품성이 낮은 것의 반입 증가로 내림세
- 냉동물량 대부분은 매기부진으로 약세 지속
◈ 조개류
가격지수 : 107.12 전일대비 +2.51
《 강세 요인 》
◇ 국내산 반입물량 증가에도 고정 수요처인 전문요식업체의 물량 확보와 급식 납품업체의 구매량 증가
- 굴은 21톤 반입되어 주말대비 11톤 증가, 고흥,통영,남해산으로 상품성이 좋고 거래량도 증가하여 재고량 완전 소진
- 바지락은 전량 수입산으로 주말대비 1톤 증가, 고정 수요처의 물량확보로 오름세였으나 상품성이 낮아 재고량 증가
- 순천산 새꼬막은 15톤 반입되어 주말과 같았고 소포장은 가정 수요증가로 큰폭의 오름세였고, 대형포장은 상품성이 낮고 주말 가격 상승에 따른 매기부진으로 내림세
- 홍합은 24톤 반입으로 주말대비 2톤 증가, 거래가 꾸준하나 재고량 소진으로 강세
《 약세 요인 》
◇ 수입물량중 당일 반입품의 거래는 상품성 양호로 거래량이 증가, 주말물량은 매기부진으로 재고량 누적
- 모시조개 및 키조개 가공품은 상품성에 따른 가격차이가 큼
◈ 연체류
가격지수 : 105.83 전일대비 +2.17
《 강세 요인 》
◇ 고정 수요처인 전문요식업체의 물량확보와 급식 납품업체의 구매량 증가
- 수입낙지는 4톤 반입되어 주말대비 1톤 증가, 가격이 높아 전문 요식업체외에 일반수요는 한산
- 주꾸미는 수입산 위주로 반입이 증가하나 국내산 반입은 소량, 가격이 높아 거래 부진하나, 수입산은 상품 위주로 오름세
- 냉동 오징어는 급식업체의 납품 수요증가로 반입량 증가에도 오름세에 거래
- 미더덕과 오만둥이는 반입물량 감소에도 전문요식업체의 물량 확보로 오름세
《 약세 요인 》
◇ 수입원가 상승에 따른 반입량 감소로 가격이 높아 매기부진, 재고물량 증가
- 생물오징어는 주말대비 4톤 증가한 11톤 반입, 채낚기 물량 감소로 잔오징어 반입 증가로 큰폭의 내림세에 거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