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3.2(금)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007.3.2(금)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담당부서 전산정보팀
문의 0234350314
수정일 2007-03-02 03:55









※ 우리공사에서 제공하는 가격동향 및 표준가격은 자유로이 인용 · 전재 할 수 있으나, 출처는 반드시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농산물

가격지수 : 84.87 전일대비 1.12
《강세 요인》
○ 최근 따뜻한 기온으로 인한 외식 소비의 증가
- 나들이 주요 품목인 청상추, 적포기, 쑥갓, 케일등의 상승폭이 컸음
- 주말장을 대비한 음식점의 주문량 증가
《약세 요인》
○ 대보름 성수품 위주의 거래로 기타 품목의 매수세 부진
- 건채류, 나물류 위주의 매수세가 이어지면서 기타 품목은 거래 부진
- 쪽파,시금치,샐러리등은 물량 증가와 상품성 저하로 하락"

◈ 고구마 감자류
가격지수 : 119.31 전일대비 -0.89
◇ 고구마 : 약보합세
- 전일대비 2% 감소한 38톤 반입. 금일 우천 영향으로 판매부진.
- 밤고구마는 여주 19톤, 익산 4톤, 논산 2톤, 해남 2톤 등 반입.
- 여주산 2,000-22,000원, 익산산 7,000-18,500원, 소량 반입된 충주산은
- 8,000-15,000원에 거래. 소비 수요 감소로 보합세
- 호박고구마는 충남 태안 3톤, 논산 2톤, 고창 2톤 등 반입.
- 수요 감소로 중도매인 매수세 약화. 약보합세 지속
- 태안산 2,000-22,000원, 고창산 5,000-32,000원, 논산산 4,000-28,000원 거래
◇ 감자 : 보합세
- 전일대비 11% 증가한 금일 237톤 반입. 산지 출하량 조절로 물량 증가
- 수미종 감자는 강원지역 물량 소폭 감소하면서 금일 100톤 반입
- 강원 평창산 37톤, 홍천 10톤, 정선 9톤, 경북 밀양 13톤, 전북 부안 9톤 반입
- 주말 앞두고 재고 기피 우려로 중도매인 구매력 저하. 상품 평균 17,5000원으로
- 전일대비 2% 시세 하락 보이면서 약보합세 거래.
- 제주산 대지종 감자는 개학 앞두고 산지 출하량 증대로 금일 137톤 반입
- 주초부터 계속된 소비 부진으로 재고 물량 증가. 납품업체 주문 대비 매수세 증가
- 상품 평균 25,000원으로 전일대비 4% 시세 상승하면서 보합세 거래


◈ 잎채소류
가격지수 : 72.26 전일대비 5.3
◇배추-내림세
- 주말장임에도 반입량이 오히려 감소함.
- 385톤이 반입되어 전일대비 14% 감소함
- 전일 삼일절 공휴일로 시장 이용객이 적어 재고가 남아있었고 가격


약세로 출하를 서두르지 않았음.
- 지역별로는 해남 68%, 진도 24%, 무안 5%, 완도 3%에서 출하됨.
- 노지작업이 마무리 단계로 상품성 낮은 물량이 우선 출하되어 구가

잘고 끝마름, 꿀통, 추대가 발생한 물량이 많아 상품성은 떨어짐.
- 10kg 그물망 기준 상품은 1,875원으로 1.3%하락하였으나,



보통 1,550원으로 5.1% 상승함

◇ 상추 - 오름세

- 최근 낮은 시세를 면치 못하고 있는 가운데, 금일은 주말 외식수요 증가 등으로 다소 상승하는 모습임.
- 반입량은 75톤(전자경매 기준)으로 전일과 비슷한 수준을 보였으며,
- 품종별로는 적포기 63톤, 청상추 8톤, 적상추 3톤 가량임.
- 청상추(4kg,상)는 전일보다 1,000원 오른 4,900원, 적포기는 900원 오른 5,800원에 거래됨.
◇ 시금치 - 내림세
- 금일 반입량이 큰 폭으로 증가하면서, 주중의 소폭 상승세를 이어가지 못함.
- 반입량은 전자경매 기준 156톤이며,
-
섬초 51톤, 육지초 11톤, 포항초 34톤, 4kg 상자 시금치 15톤, 단 시금치가 46톤 가량임.
- 섬초(15kg,상)는 11,000원, 포항초(500g,상)는 700원, 상자시금치는(4kg,상)가 평균 2,700원에 거래됨.



◈ 열매채소류
가격지수 : 82.28 전일대비 0.23
◇호박-내림세
- 주말장임에도 소비 둔화로 내림세
- 금일 호박 전체 반입량은 214톤으로 전일대비 1.7% 감소하였으며

애호박 84톤, 쥬키니 72톤, 단호박 38톤, 늙은호박 20톤이 반입됨
- 애호박은 감소한 반면 쥬키니는 증가함.
- 애호박은 진주 80%, 고성 11%, 구례 3%에서, 쥬키니는 진주 51%,

전주 23%, 고성 20%에서 출하됨
- 가격은 상품기준 애호박 20개 13,500원으로 5.3%하락하였고,

쥬키니 10kg상자 4,500원으로 보합

◈ 뿌리채소류
가격지수 : 75.85 전일대비 3
◇무-오름세
- 물량이 감소한데다 주말 수요로 오름세
- 금일 반입량은 528톤으로 전일대비 6.9% 감소하였으며

서귀포 75%, 고창 14%, 제주시 7%에서 출하됨
- 전반적으로 오름세인 가운데 육지산은 반입량이 적은데다 개학을


앞두고 납품수요로 오름세가 두그러짐
- 최고가는 5,200원이었고 제주산은 2,300~5200원, 육지산은 1,300~

1,800원까지 거래됨.

◈ 양념 채소류
가격지수 : 66.36 전일대비 0.76
◇ 양파 : 보합세
- 전일대비 17% 감소한 596톤 반입. 주말 재고 기피 우려 중도매인 구매력 저하
- 전남 무안 142톤, 함평 56톤, 진도 11톤, 광주 11톤, 경북 영천 54톤 반입.
- 주중 출하량 증대로 주말 앞두고 산지 저장 출하 조절에 따른 반입량 감소.
- 국내산 상품 평균 797원으로 전일대비 1% 시세 하락한 보합세 거래
- 수입산 양파는 중국산 3톤 반입. 시세는 20kg망 11,300원으로 약보합세 거래
◇ 대파 : 강보합세
- 금일 241톤 반입(전일대비 20% 감소). 시세 하락에 따른 산지 출하량 조절.
- 전남 진도산 172톤, 신안산 82톤 반입, 진도산 270-400원, 신안산 280-600원
- 소비시장 우천 영향 판매 부진, 주말 요식업소 수요 증가, 금일 물량 감소
- 상품 평균 455원으로 전일대비 5% 시세 상승하면서 강보합세 거래
◇ 쪽파 : 내림세
- 전일대비 4% 감소한 금일 52톤 반입. 육지산 흙쪽파 재고 물량 증가
- 흙쪽파는 예산 13톤, 당진 5톤, 제주 2톤 반입. 전일 판매부진, 매수세 약화
- 상품 1kg단 평균 900원으로 전일대비 28% 시세 하락하면서 내림세
- 깐쪽파는 금일 27톤 반입. 제주산 22톤, 육지산 5톤 반입
- 당진산 4톤 반입되면서 상품성 우수로 5,000-15,000원에 거래
- 상품 평균 12,000원으로 전일대비 4% 시세 하락한 약보합세 거래

◈ 서양 채소류
가격지수 : 84.89 전일대비 1.32

◇ 피망, 파프리카 - 오름세
- 주말장에 접어들어 외식업체의 주문량이 증가하였고,
-
각급 학교 개학에 따른 납품 업체 등의 물량확보 노력에 힘입어 상승세를 보임.
- 피망은 전일보다 45% 증가한 35톤(전자경매기준),파프리카는 22% 감소한 6톤이 반입됨.
- 청피망(10kg,상)은 전일과 비슷한 44,000원, 홍피망은 6,500원 오른 49,000원,
- 빨강파프리카(5kg,상)는 6,000원 오른 29,000원, 노랑파프리카는 2,000원 오른 25,000원에 거래됨.
◇ 양상추 - 오름세
- 최근 산지 출하량이 늘어 낮은 시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
금일은 반입량 감소와 주말장 수요 증가로 소폭 상승하는 모습임.
- 전일대비 25% 감소한 55톤 반입되었고, 시세는 전일보다 1,000원 오른 8,500원에 거래됨.
- 기타 브로코리, 케일, 비타민, 비트는 상승하였고, 파세리, 셀러리는 상품성 저하로 하락함.
- 브로코리(8kg,상) 14,500원,파세리(4kg,상) 4,700원,케일(2kg,상)은 4,500원에 거래됨.

◈ 버섯류
가격지수 : 64.91 전일대비 -1.89

◇ 버섯류 : 중도매인 재고누적과 수요부진으로 하락세
○ 주말을 앞두고 소비수요에 대한 산지의 기대심리 상승으로 출하량이 늘어나면서, 전일대비 4% 증가한

184톤 반입
○ 장기적인 장세 약세로 인해 중도매인 재고물량 누적
○ 중도매인 유통업체 납품 부진
○ 양송이를 제외한 모든 버섯 품목은 반입량이 증가했으며 소비수요 감소로 가격 하락세
○ 양송이
- 양송이는 금일 반입량이 10톤으로 전일대비 5% 감소하여 금주 들어 반입량 감소추세
- 충남 보령지역의 출하량이 전체 반입량의 44%를 차지했고, 전북 익산지역의 출하량이 증가세를 보임
- 중·고등학교가 개학을 하여 식자재업체 납품이 증가했고, 신학기가 시작되면서 주말을 앞두고 육류 요식업체 수요가 많아 가격 오름세
- 특품 2kg 평균가격이 12,000원으로 전일대비 14% 오르는 등 상·중·하품 모두 10% 이상 오름폭 형성

2. 수산물
가격지수 : 96.30전일대비 +0.11
《 강세 요인 》
○ 연휴에 따른 소비량 증가로 중도매인 재고량 감소
- 갈치, 수입쭈꾸미는 반입물량 감소와 함께 재고 물량 부족으로 강보합세
- 굴, 홍합은 가격 하락으로 소비 수요가 살아나면서 강보합세
《 약세 요인 》
○ 우천으로 소매상 구매량 감소와 상품성 저조
- 고등어, 물오징어는 체장이 작고 우천에 따른 매기 부진으로 하락세

◈ 생선류
가격지수 : 78.27 전일대비 -0.88
《 강세 요인 》
○ 수입물량 감소한 갈치, 가격하락폭이 컸던 부세 오름세
- 갈치는 전일 연휴로 판매량이 양호한 가운데 일본 현지 기상여건 악화로 일본산 반입량이 없어 제주산 갈치에 수요가 집중되면서 오름세를 보임
- 중국산 부세는 반입량이 전일과 비슷한 수준을 보였으나 최근 가격하락 지속에 따른 소비수요 회복으로 강보합세
《 약세 요인 》
○ 상품성이 저조했고 반입량이 늘어난 고등어, 삼치 약보합세
- 고등어는 대형선망 조업부진으로 어획량이 감소하여 생물반입량이 줄어들었으나 냉동고등어 반입량 증가와 체장이 작아 내림세
- 삼치는 죽변, 부산산 반입량이 크게 증가하였으며 전일 가격상승에 따른 재고 누적으로 중도매인 매수량이 줄어들며 약보합세

◈ 조개류
가격지수 : 94.79 전일대비 +1.34
《 강세 요인 》
○ 각급 학교 개학에 따른 급식 납품 수요 증가
○ 대형 유통업체의 세일행사에 따른 구매량 증가

- 굴은 통영,고흥산으로 8톤 반입되어 전일과 같음, 산지가격에 비해 소비지 경락가격이 낮아 출하주의 불매 물량 증가, 전일 재고물량과 금일 물량간 가격차이가 크게 발생
- 새꼬막은 14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4톤 증가, 강보합세에 거래되었으나 산지 출하조절로 가격의 진폭이 크지 않았고 급식 납품 수요도 증가. 알이 굵고 선도가 좋은 상품은 거래가 꾸준하나 선도가 낮은 물량은 재고 누적분 증가.
- 마산, 여수산 홍합은 12톤 반입되어 전일과 같음, 각급 학교의 개학과 특히. 대학가 요식업소의 주문량 증가로 오름세에 거래
- 소라는 중국 수입산의 반입이 증가하나 상품성이 낮아 저가를 형성, 국내산은 서천,군산산으로 씨알이 굵은 것의 반입 증가로
강보합세
- 바지락은 6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2톤 감소. 전량 수입산으로 반입량 감소에 따른 고정 수요처의 주말 물량 확보로 강세
《 약세 요인 》
○ 저가의 수입물량 증가로 국내산은 소비 부진
- 대합은 중국 수입산의 증가로 질 좋은 국내산의 거래가 줄어 거래부진으로 약세
- 모시조개는 목포, 남해, 인천산으로 소량씩 반입되나 단가가 높아 거래는 한산, 흑모시와 백모시간의 가격차이가 컸음

◈ 연체류
가격지수 : 108.99 전일대비 -2.75
《 강세 요인 》
○ 대형 유통업체의 세일 품목의 거래량 증가
- 주꾸미는 1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1톤 감소, 국내산은 서천, 군산산으로 반입량이 적어 가격이 높았으나 수입산 반입 재개로 내림세, 수입산은 고정 수요처의 물량 구매량 증가로 오름세에 거래
- 미더덕과 오만둥이는
산지 출하량 조절로 반입량 변동은 크게 없으나 고정 수요처의 물량 확보로
오름세
《 약세 요인 》
○ 고정 급식업체의 납품 수요증가로 가격이 낮은 수입물량의 구매량 증가
○ 국내산은 어획부진에 따른 반입량감소와 수입산은 수입 원가상승에 따른 높은 가격 형성
- 물오징어는 경북 동해안이 10톤 빈입되어 전일대비 2톤 증가, 채낚기와 대오징어의 반입이 줄었으나 가격이 높아 거래가 부진하였고 상품성이 낮은 그물오징어 보다는 상품성이 좋은 연안산 냉동오징어가 수요 증가로 오름세
- 수입낙지는 2톤 반입되어 전일과 같음,
반입량 감소로 높은 가격이 지속되어 대량 수요처인 낙지 전문 요식업체의 최소 물량 구매로 내림세였고 대체 수요로 냉동 낙지의 거래량 증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