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4.2(월)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007.4.2(월)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담당부서 전산정보팀
문의 0234350314
수정일 2007-04-02 09:45





※ 우리공사에서 제공하는 가격동향 및 표준가격은 자유로이 인용 · 전재 할 수 있으나, 출처는 반드시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1. 농산물

가격지수 : 98.4 전일대비 6.59
《강세 요인》
○ 주초를 맞아 재고량이 소진되어 요식업소 등의 구매량 증가
- 이틀치 물량으로 반입량이 증가하였으나 늘어난 수요를 따라잡지 못해 대부분의 품목이 오름세
- 봄철 소비 증가가 많은 잎채소류, 서류, 열매채소류 등의 오름세가 두드러짐
《약세 요인》
○ 전일 전국적인 강한 황사에 따른 나들이객 감소로 서양채소류 소비 둔화

◈ 고구마 감자류
가격지수 : 111.70 전일대비 18.42
◇ 고구마 - 오름세
- 금일 34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17% 증가. 전북 고창산 밤고구마 출하량 증가
- 밤고구마는 경기 여주 18톤, 고창 4톤, 논산 3톤 등 반입
- 호박고구마는 9톤 반입. 논산 3톤, 서산 2톤, 태안 2톤 등 반입
- 주말 재고 소진. 월초 유통업체 세일행사로 주문 수요 증가
- 상품 평균 21,250원으로 전일대비 14% 시세 상승하면서 오름세
◇ 감자 - 오름세
- 금일 273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45% 증가. 남부지방 수미종 햇감자 출하 증가
- 수미종 감자는 전일대비 150% 증가한 183톤 반입. 남원 72톤, 평창 62톤 등
- 지난 주말 우천으로 작업 지연된 출하물량 반입. 상품성 우수한
- 전남 남원, 곡성지역 햇감자 출하 증가. 주초 재고확보를 위한 중도매인 매수세 증가로
- 상품 평균 26,250원에 전일대비 18% 시세 상승하면서 오름세
- 제주산 대지종 감자는 금일 101톤 반입. 전일대비 11% 감소
- 수미종 햇감자 출하와 대조적으로 마무리 단계. 상품성 저하로 소비 부진
- 상품은 평균 22,750원으로 전일대비 4% 시세 상승하면서 약보합세

◈ 잎채소류
가격지수 : 102.17 전일대비 11.45
◇배추 - 오름세
- 지난 주말 반입량이 저조했던 데다 금일 주초임에도 반입량이 적어 물량 부족으로 오름세
- 금일 반입량은 425톤으로 전일대비 53.1% 증가하였으나 지난주 일평균 반입량에 비해 8% 적었음
- 전일 전국적인 황사로 작업여건이 좋지 못했고 지난주 가격 약세가 이어지면서 출하를 서두르지


않았음.
- 전체 반입량 64대 중 노지 물량을 10대에 불과해 저장물량이 거래를 주도함.
- 가격은 10kg그물망 기준 상품 3,575원, 보통 2,600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24.3%, 31.6% 올라 가격


변동이 컷음
◇ 상추 - 오름세
- 전주 흐린 날씨가 계속되어 하락세를 보였으나,
-
주초 수요 증가와 맑은 날씨 회복에 대한 기대 수요 증가로 오름세를 보임.
- 반입량은 96톤(전자경매 기준)으로 전일보다 9.3%가량 감소하였으며,
- 품종별로는 적포기 78톤, 청상추 12톤, 적상추 4톤 가량임.
- 적상추(4kg,상)는 전일보다 73.3% 상승한 9,100원,
-
적포기는 8.5% 오른 7,700원, 청상추는 22.5% 오른 9,800원에 거래됨.



◈ 열매채소류
가격지수 : 108.52 전일대비 5.86
◇오이 - 오름세
- 주초 이틀치 물량이 반입되었으나 소비도 늘어 오름세
- 금일 오이 전체 반입량은 496톤으로 지난 주말 대비 46.7% 증가함.
- 백다다기 343톤, 취청 151톤이 반입되어 취청의 물량 증가가 두드러짐
- 취청은 격일제 작업으로 지난 주말 반입량이 적었던 순천, 강진 등지의 물량 증가가 많았음.
- 가격은 백다다기 100개 상품 32,500원, 보통 27,500원으로 각각 1.6%, 10% 상승하였고
- 취청은 20kg상자 기준 상품 25,500원으로 5.6% 하락하였으나 보통은 2.7% 상승함

◈ 뿌리채소류
가격지수 : 85.29 전일대비 3.52
◇무 - 오름세
- 주초 물량으로 다소 적은 물량이 반입되어 오름세
- 금일 반입량은 535톤으로 전일대비 10.9% 증가하였으나 지난주 일평균 반입량 485톤 대비 10%


증가하는데 그침
- 육지산과 제주산의 출하비중은 각각 10%, 90% 정도였음
- 육지산은 1,200~1,500원, 제주산은 3,300~6,100원까지 거래되었으며 주 거래가격은 4,000~

5,000원으로 전일에 비해 등급별로 100~300원 가량 상승함

◈ 양념 채소류
가격지수 : 84.84 전일대비 7.08
◇ 생고추 - 오름세
- 전주 흐린 날씨로 내림세에 대한 반등과, 주초 유통업체 등 수요가 증가해 오름세를 보임.
- 이틀치 물량으로 반입량이 증가하였으나, 늘어난 수요를 따라잡지 못한 양상이었음.
- 반입량은 전일보다 26.6% 증가한 155톤(전자경매기준)이며,
- 품종별로는 청양고추 59톤, 일반풋고추 58톤, 꽈리고추 19톤, 홍고추 12톤 가량임.
- 청양고추(10kg,상)는 2.0% 상승한 37,500원, 꽈리고추(4kg,상)는 3.7% 상승한 21,000원에 거래됨.

◇ 양파 - 오름세
- 금일 592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18% 감소. 무안, 함평지역 저장양파 출하량 감소
- 제주 263톤, 무안 122톤, 영천 40톤, 함평 25톤, 완주 23톤, 고흥 21톤,
- 제주산 햇양파 출하량 증가 1kg 150-743원, 전남 고흥산 조생양파 출하 200-726원
- 조생양파는 저장양파보다 상품성이 떨어지나 중하품 수요 증가로
- 금일 중품 평균 575원으로 전일대비 11% 시세 상승한 오름세 거래
- 수입양파는 중국산 29톤 반입, 중국산 16kg 12,300-13,100원 거래. 상품성 우수
◇ 대파 - 오름세
- 전일대비 20% 감소한 238톤 반입. 전국적 황사 발생으로 산지 작업 부진
- 전남 진도산 161톤, 신안산 70톤, 영광 4톤 등 반입
- 산지 출하작업 부진으로 반입량 감소. 유통업체 할인행사로 주문 증가
- 상품 평균 460원으로 전일대비 58% 시세 상승하면서 오름세 거래
◇ 쪽파 - 오름세
- 금일 45톤 반입(전일대비 6% 감소). 월말 산발적 유통업체 세일행사 실시
- 흙쪽파는 예산 9톤, 당진 1톤, 서산 1톤, 서천 1톤 반입. 주초 재고확보를 위한
- 중도매인 구매력 증가로 중품 평균 900원으로 전일대비 12% 시세 상승하면서 오름세
- 깐쪽파는 제주 15톤, 당진 6톤, 서천 1톤, 예산 1톤, 보령 1톤 등 반입
- 육지산 출하량 감소. 전일 재고소진으로 주초 거래 활발하면서
- 상품 평균 16,500원으로 전일대비 17% 시세 상승하면서 오름세 거래


◈ 서양 채소류
가격지수 : 101.15 전일대비 -3.34
◇ 피망, 파프리카 - 약보합세
- 전주에는 흐린 날씨가 계속되어 소비가 부진하였으나,
- 주초 맑은 날씨 회복과 유통(외식)업체 등의 구매량 증가로 오름세.
- 주출하지는 경남 진주와 전남 광주, 화순 등이며
- 전자경매 기준 피망은 전일보다 10.1% 증가한 31톤, 파프리카는 71.8% 증가한 19톤 반입.
- 청피망(10kg,상)은 전일보다 1,000원 상슨한 35,500원, 홍피망은 6,000원 오른 67,000원,
- 빨강파프리카(5kg,상)는 2,000원 하락한 20,000원, 주황파프리카는 1,000원 떨어진 22,000원 거래됨.
◇ 양상추 - 내림세
- 금일 반입량은 전일보다 27%가량 증가한 66톤이며,
- 전일 전국적인 강한 황사로 나들이객 감소 등의 영향으로 내림세를 보임.
- 8kg 상품 기준으로 전일보다 1,000원 하락한 평균 9,500원에 거래되었고,
- 브로코리는 주초 수요 증가로 소폭 상승하여 22,000원,
-
셀러리 6,500원, 케일은 8,000원, 파세리 7,500원선에서 거래됨.


◈ 버섯류
가격지수 : 72.53 전일대비 5.47
◇느타리버섯 - 오름세
- 반입량이 증가한 가운데 가격은 오름세
- 금일 버섯 전체 반입량은 211톤으로 전일대비 14.7% 증가하였으며 느타리 51톤, 양송이 15톤,


새송이 65톤, 생표고 28톤, 팽이 46톤이 반입됨
- 주초 이틀치 물량이 반입된 데다 봄철 기온 상승에 따른 생육주기 단축으로 생산량이 많았음.
- 가격은 상품기준 느타리(2kg) 6,500원으로 4%, 양송이(2kg) 9,250원 2.8%, 새송이(2kg) 5,250원 5%,


생표고(4kg) 21,000원 7.7% 상승함


2. 수산물
가격지수 : 99.38 전일대비 +4.07
《 강세 요인 》
○ 주초 수요 증가와 산지 기상여건악화로 반입량 부진
- 봉지바지락, 수입낙지 외식업체 주문량 늘어 오름세
- 재고량 감소한 고등어, 수입주꾸미 강보합세
《 약세 요인 》
○ 주말 우천과 황상특보로 외출인구 감소
- 생태, 삼치 반입물량 증가와 소비부진으로 내림세

◈ 생선류
가격지수 : 78.64 전일대비 +1.34
《 강세 요인 》
○ 고등어, 수입 갈치, 강보합세
- 고등어는 월명기로 익일부터 대형선망 조업이 중단되어 반입량 감소가 예상되는 가운데 중도매인 물량확보 매수 심리가 강하게 형성되면서 오름세를 나타냄
- 일본산 냉장갈치는 일본산 반입량이 증가하였으나 체장이 큰 망갈치 위주로 거래되고 주말 가정용 소비 양호로 재고량이 감소하며 오름세 형성
《 약세 요인 》
○ 일본산 생태, 갈치, 아귀 하락세
- 일본산 생태는 반입물량이 증가하였고 주말 우천으로 소비가 부진하여 재고량이 늘어나면서 하락세에 거래
- 갈치는 일본산 및 국내산 반입량이 증가하였고 대형어는 대형마트로 직출하되고 상품성이 떨어지는 중,소형어 위주로 반입되어 약보합세
- 아귀는 제주산 출하량이 감소하였으나 체장이 작았고 중국산 상품성 양호로 약보합세에 거래


◈ 조개류 112.94 전일대비 +12.27
《 강세 요인 》
○ 주초 고정 수요처의 물량 확보로 대부분 품목이 오름세
- 바지락은 11톤 반입되어 주말대비 2톤 증가. 망바지락 대포장품은 남해산이 85망 반입되어 망당 38,000-45,000원에 거래되었으나 포장 단위가 일정치 않았고, 수입산은 중국산이 25망 반입되어 27,000-29,000원선에 거래되었음. 봉지와 깐바지락은 전량 수입산으로 고정 수요처의 물량확보로 거래량 증가로 오름세
- 굴은 11톤 반입되어 주말대비 1톤 감소. 통영산이 대부분이고 남해산이 소량 반입되었으나 주초 고정 수요처의 물량 확보로 오름세
- 홍합은 마산, 여수산이 18톤 반입되어 주말대비 1톤 증가. 산지 출하조절로 가격 변동은 적었고 주소비처인 요식업소의 물량확보가 꾸준하였음. 다듬이 물량이 대부분이며 가격차이는 적었음
- 새꼬막은 16톤 반입되어 주말과 같음. 급식업체의 물량확보 증가로 가격은 오름세였고
선도가 좋아 등급간 가격차이도 적었음
- 모시조개는 목포, 군산산과
중국수입산이 반입되었으나 소량 반입으로 오름세였으나 수요처는 한정되었음
《 약세 요인 》
○ 키조개, 대합, 소라는 내림세
- 키조개는 반입량은 증가하나 씨알이 작거나 폐사량 증가로 매기부진하여 약세
- 대합은 국내산이 소량 반입되나 중국 수입산 반입 증가로 약세
- 소라는 서천과 군산산, 중국 수입산으로 반입이 소량이고 상품성에 따른 가격차이와 수요처 한정으로 매기는 부진하였음

◈ 연체류 113.16 전일대비 +8.68
《 강세 요인 》
○ 수입낙지, 주꾸미, 문어 오름세
- 수입낙지는 4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3톤 증가. 전량 수입산으로 주말에 통관된 물량이 없어 전문 요식업소의 물량확보로 주말에 이어 큰 폭의 오름세에 거래
- 주꾸미는 3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1톤 증가. 제철을 맞은 국내산은 서천, 군산, 서산산이 소량 반입되었으나 주말을 맞아 산지 자체 소비량 증가로 산지 가격이 높게 형성되어 큰 폭의 오름세였고, 수입산도 국내산의 대체 수요 증가로 오름세
- 문어는 포항,통영, 부산산으로 씨알이 작은 소문어가 주반입되었으나 반입량 감소와 수요 증가로 오름세
《 약세 요인 》
○ 생물오징어, 우렁쉥이(멍게) 내림세
- 생물오징어는 10톤 반입되어 주말대비 5톤 증가. 주말은 산지 기상 악화와 조업 부진으로 어획량은 감소하였으나 2일 작업분 반입으로 가격은 내림세, 대부분이 그물오징어였음.
- 우렁쉥이는 통영산으로 반입량은 증가 추세, 선도와 상품성은 양호하나 소비부진으로 내림세
- 미더덕은 생물, 오만둥이는 냉동물량 반입이 증가하였으나 매기부진으로 재고물량이 증가
하여 약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