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1.24(화)부류별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006.1.24(화)부류별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1. 농산물
가격지수 : 117.6 전일대비 -4.66
동 향 : 농산물은 지난 주말까지 실시된 백화점등 대형 유통업체의 할인행사 종료로 물량의 대량 수요처가 줄어 들면서 주초반 고정 수요처인 납품업체, 외식업체의 물량 확보외에 설 대목을 앞두고 매기는 예상외로 한산하여 전부류가 내림세에 거래되었음. 상승폭이 큰 품목은 돗나물, 미나리, 깐도라지, 대파와 서류의 고구마, 감자등이며 쌈채소 및 서양채소류 대부분 품목이 내림세에 거래됨.
◈ 고구마 감자류
가격지수 : 77.51 전일대비 -6.25
동 향 : 감자는 전일에 비해서는 감소하였으나 평소에 비해 많은 물량이 반입되었음. 금일 반입량은 275톤으로 전일에 비해 25%감소하였으나 지난주 평일물량에 비해서는 크게 늘었음. 특히 대지종 출하량이 180톤이상으로 크게 증가하면서 상품이 평균 15,500원으로 전일에 비해 11%하락하였음. 수미종은 인제지역 물량이 35%로 많으며 횡성, 전선, 완주, 평창지역에서 출하되었음. 저장감자 반입량은 다소 감소하면서 금일 시세는 상품이 평균 11,750원으로 전일에 비해 24%상승하였음. 지역별 경락가는 인제 9000-1000원, 횡성 9000-1500원, 정선 6000-3000원, 완주 21500-6000원, 평창 9000-1000원임. 고구마는 57톤(경매)반입되어 전일에 이어 반입량은 많으나 호박고구마가 최고 19500-15500원에 거래되어 고가를 형성하면서 보합세 유지됨.
◈ 잎채소류
가격지수 : 141.51 전일대비 -13.13
동 향 : 배추는 금일 반입량은 717톤으로 전일대비 14.8% 감소하였으나 전일이 주초임을 감안하면 평소 보다 조금 많은 물량이었음. 해남산이 66%로 출하비중이 조금 증가하였고 그밖에 진도 14.8%, 무안 14.8%, 영광 3.3%에서 출하되었음. 가격은 상품기준 4,550원으로 전일대비 9.5% 하락하였음. 전일 재고량이 많았고 추위로 시장 이용객이 줄어든데다 김치공장 등 외부 반출량도 감소하였음. 또한 저장과 출하가 병행되면서 질 낮은 물량이 우선 출하되어 중도매인들의 구매의욕을 저하시켰음. 따라서 유치물량이 다수 발생하는 등 물량 판매에 애로가 있었음. 설 대목을 앞두고 있으나 수요가 예전만 못해 가격이 하락 추세에 있으며 일별 가격 등락이 심해 경매 후 가격 조정을 요구하는 경우가 다수 발생하고 있음. 출하시 선별포장, 규격망 사용 등으로 상품성 향상에 유념해야 할 것이임.
상추 금일 반입량은 64톤으로 전일 대비 7%가량 감소하여 반입되었음. 주초 물량이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오름세 거래되면서 전일에 이어 금일도 60톤이 넘는 물량이 반입되었으나 전일 미판매분이 증가하면서 시세는 큰폭으로 하락하였음. 또한 성수품위주로 거래가 이루어지면서 쌈채류의 소비가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시기에 접어들면서 매기 또한 부진하여 내림세 거래되었음.
시금치 금일 반입량은 142톤으로 전일대비 13%가량 감소한 양이 반입되었으나 섬초나 포항초는 전일 물량증가에 따른 재고누적으로 보합세를 보인반면 경기지역 박스 시금치는 물량 감소로 인해 오름세를 보였음.
미나리 금일 반입량은 103톤으로 전 거래일 대비 16%가량 증가한 물량이 반입되었음. 주초물량이 예상보다 적게 반입되었고 명절 수요가 가미되면서 판매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면서 금일 물량 증가에도 불구하고 시세는 큰폭의 오름세를 보였음. 품종별로는 돌미나리는 하락한 반면 물미나리는 수요증가로 큰폭의 오름세를 보였음. 지역별로는 부산지역의 물미나리 출하비중이 67%정도로 가장 많이 반입되고 있으며 시세 또한 타 지역에 비해 높은 시세를 보이고 있음. 다음으로는 전주지역이 17% 정도의 출하비중을 보이고 있음.
◈ 열매채소류
가격지수 : 156.93 전일대비 -9.9
동 향 : 호박은 전일에 이어 금일에도 평소보다 많은 물량이 출하되었음. 이는 지난주 높은 기온으로 생육이 활발하였는데다 설 대목 수요를 노린 물량이 본격 출하되고 있기 때문임. 금일과 전일 반입량은 각각 193톤, 210톤이었는데 이는 지난주 일평균 반입량보다 40% 정도 늘어난 물량임. 물량 증가로 가격은 내림세에 거래됨. 상품 애호박 20개 26,250원, 쥬키니 17,500원으로 각각 13.9%, 11.4% 하락함. 그러나 품종별 가격은 예년가격(표준가격)과 큰 차이를 보이고 있음. 애호박은 예년과 비숫한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으나 쥬키니는 등급별로 60~80% 정도 높게 거래되고 있음.
◈ 뿌리채소류
가격지수 : 117.3 전일대비 -5.33
동 향 : 무는 전일 유치된 물량이 워나 많아 금일 시세에 영향을 미쳤음. 금일 반입량은 779톤으로 전일대비 33% 감소하였으나 가격은 18kg마대 상품 기준 7,100원으로 전일대비 5.3% 하락하였음. 설 대목을 앞두고 있으나 소비증가가 뚜렷하지 않으며 아직도 재고량이 다수 있어 시세 상승의 발목을 잡고 있음. 지역별로는 제주산 세척무가 전체 물량의 60% 정도를 점유하였고 6500~7500원에 평균시세로 거래되었으며 육지무는 4000~5000원선에 평균시세였음.
◈ 양념 채소류
가격지수 : 116.79 전일대비 -0.82
동 향 : 양파는 전일 대비 23%감소한 557톤 반입되었으며 상품이 9%상승하여 kg당 평균 600원에 거래됨. 전일 많은 물량 반입으로 산지 출하량이 다소 감소하였으며 강보합세 형성. 최고 경락가는 무안, 함평지역에서 출하된 11kg 망으로 773-618원에 거래됨. 대파는 시장 반입량은 전일에 이어 많은 양이 반입되었으나 명절 소비 증가로 강보합세 거래됨. 출하지역별 경락가는 진도 1950-1480원, 신안 2080-1530원임. 풋고추는 전일과 비슷한 52톤으로 물량이 증가하면서 전일대비 12%하락하였음. 청양고추도 전일에 비해 34%감소한 51톤 반입되었으며 상품이 평균 84,500원으로 6%하락하였으나 강세 이어지고 있음.
◈ 서양 채소류
가격지수 : 96.39 전일대비 -2.43
동 향 : 피망은 40톤이 반입되면서 전일 대비 25%가량 감소한 물량이 반입되었음, 물량이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설 성수품위주로 매기가 몰리면서 약보합세를 보였으며, 양상추는 85톤이 반입되었지만 가격이 지지되면서 보합세에 거래되었음, 기타 서양채소류는 설 성수품 위주로 매기가 몰리면서 대부분 하락세 거래되었음.
◈ 버섯류
가격지수 : 93.36 전일대비 -8.12
동 향 : 버섯류는 239톤이 반입되어 전일대비 98%수준으로 감소하였으나 전일 재고 누적으로 지수하락세 형성. 느타리는 전일 큰폭의 증가세를 보였으나 금일 역시 73톤이 반입되어 소폭 하락세 형성. 그러나 설 대비 수요가 꾸준해 하락폭은 크지 않으며 2kg 상품이 14,500원에 거래됨. 물량 증가에도 전주보다 시세가 높게 형성되어 산지 출하량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 양송이는 13톤이 반입되어 전일보다 79%수준으로 감소하였으며 매기부진으로 약보합세에 거래됨. 생표고는 수요 증가에 대한 기대로 22톤이 반입되었으나 전일에 이어 물량이 증가하면서 약보합세에 거래됨. 팽이는 산지 작황 호조로 출하량이 증가하면서 매기부진과 재고누적으로 약보합세 형성.
2. 수산물
가격지수 : 110.58로 전일대비 +2.53
동 향 : 수산물은 전일 시세하락에 따른 소비 호조로 재고 소진이 원활이 이루어지면서 강보합세에 거래. 생선류는 고등어가 반입량 증가로 약세를 보였으나 꽁치냉장수입, 냉동조기가 매기 호조로 상승세를 보이며 지수상승 주도함. 조개류는 깐바지락, 바지락이 선도가 좋은 국내산 물량이 반입되면서 강보합세를 보임. 연체류는 낙지수입, 쭈꾸미가 반입량이 크게 감소하여 강세에 거래.
◈ 생선류
가격지수 : 88.16로 전일대비 +1.28
동 향 : 고등어는 부산산 생물고등어 반입량이 크게 증가하면서 하락세에 거래. 특히, 중․하품은 거래가 부진하고 재고량도 충분하여 하락폭이 상품에 비해 컸음. 냉동고등어는 생물반입량 증가 여파로 매기가 부진하여 하락세를 형성하였고 수입산은 체장이 작아 약보합세에 거래. 명태냉장수입은 금일을 기점으로 추위가 풀리면서 요식업체 수요가 감소한 가운데 반입량 마저 증가하면서 약세에 거래. 갈치는 반입물량이 크게 증가하였음에도 소비수요가 꾸준함을 보이며 국내산 및 일본산이 소폭의 오름세를 형성함. 꽁치는 전일 시세하락으로 소비는 호조를 보인 반면에 수입량은 크게 감소하면서 강보합세에 거래되었고, 수입대구는 중국산 입하량이 증가하고 선도가 다소 부진하여 약보합세를 보임. 냉동조기는 제주시 추자도산이 체장이 크고 설 매기 특수로 강보합세를 나타냈고, 중국산은 체장이 큰 상품 물량이 거래되면서 강보합세를 보임. 중국산 부세는 하품은 거래부진으로 약세를 보인반면에 상품은 체장이 커 가정용 소비가 증가하면서 소폭의 오름세를 보임. 병어는 제수용품 수요가 꾸준함을 보이는 가운데 공급량이 꾸준히 증가하면서 약보합세에 거래.
◈ 조개류
가격지수 : 119.35로 전일대비 +0.93
◈ 연체류
가격지수 : 117.94로 전일대비 +11.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