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4.7(월)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008.4.7(월)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 우리공사에서 제공하는 가격동향 및 표준가격은 자유로이 인용 · 전재 할 수 있으나, 출처는 반드시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농산물
가격지수 : 109.62 전일대비 1.01
《 강세 요인 》
○ 주초 농산물 수요 증가와 함께 매기 활발하여 오름세 거래
- 지난주 물량 증가폭이 컸던 무, 양배추 등이 물량 감소와 함께 상승세 거래되었고,
- 최근 오름세 거래되고 있는 양파는 제주산 햇 양파 반입 시작과 함께 상승세 추춤함
《 약세 요인 》
○ 날씨가 좋아져 생육이 좋아진 열매 채소류의 물량 큰 폭 증가로 하락
- 오이, 호박, 파프리카 등이 하락하였고,
- 한지형 피마늘은 출하량 증가와 소비 부진하여 내림세
◈ 고구마 감자류
가격지수 : 136.95 전일대비 8.42
◈ 잎채소류
가격지수 : 118.66 전일대비 8.46
◈ 열매채소류
가격지수 : 101.69 전일대비 -5.89
◈ 뿌리채소류
가격지수 : 133.47 전일대비 10.2
◈ 양념 채소류
가격지수 : 103.56 전일대비 -3.8
◇ 양파 - 내림세
- 금일 전자 경매 기준 692톤 반입되어 전주말 보다 11%가량 증가함
- 무안 31%, 영천 10%, 신안 8%, 김천 6%에서 출하중
- 저장 물량 감소 추세인데다, 조생양파의 작황이 좋지 않아 최근 오름세 거래됨
- 제주산과 고흥군의 조생 양파 출하 시작됨
◈ 서양 채소류
가격지수 : 83.72 전일대비 2.49
◇ 피망, 파프리카 - 내림세
- 피망은 전자경매 기준 42톤 반입되어 전주말 보다 12% 증가
- 청피망 32톤, 홍피망 11톤가량임.
- 최근 소비 부진으로 낮은 가격이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 금일 저가매수세 유입과 주초장 수요 증가하여 소폭 상승함
- 파프리카는 30톤가량 반입되어 전주말 보다 15%가량 증가
- 빨강 12톤, 노랑 15톤, 주황 4톤가량이고, 진주, 강진, 익산에서 주 출하됨
- 반입량 증가가 계속되어 시장내 재고 물량 많아 내림세
◈ 버섯류
가격지수 : 91.95 전일대비 1.63
◇ 버섯류 : 강보합세
- 주초를 맞아 반입물량이 208톤으로 전일184톤의 113% 물량 반입.
- 버섯류는 전 품종별로 우수품은 시세하락폭이 적으며 소비자의 소비가 증가하여
강보합세를 형성.
- 버섯류는 느타리버섯의 강세를 제외하고 주말 봄나들이 행사 등으로 보합세를 보임.
. 느타리버섯은 소비자 소비는 꾸준하고 전일 재고소진에 따라 소폭 오름세를 형성.
느타리버섯은 반입물량이 증가했지만 소비가 증가하여 강보합세를 형성. 당분간 시세는 강세 전망.
. 표고는 원목 표고의 물량이 증가하면서 보합세를 형성.
. 팽이버섯은 물량이 청도, 음성에서 꾸준하게 반입되었으며 전일에 비해 감소하여 시세는 보합세를
나타냄.
. 양송이 및 새송이도 소비가 주춤하여 약세를 보임.,
2.수산물
□ 패류(조개류 및 연체류) : 금일 반입량 108톤 전일대비 8톤 증가
◈ 조개류 표준가격지수 : 111.5 전일대비 +7.32
○ 조개류 오름세 품목 : 새꼬막, 바지락수입, (겉)바지락, 홍합, 굴
- 새꼬막은 12톤 반입 전일대비 2톤 증가. 전량 순천산이 주 반입. 7kg pp대 가격은 오름세, 17kg그물망 가격은 강보합세.
· 7kg pp대 새꼬막 하품은 11,000원으로 25.7%상승, 중품은 13,500원으로 16.4% 상승, 상품은 16,500원으로 5.8% 상승.
· 17kg망에 중품은 32,000원으로 8.5%상승, 상품 가격은 37,500원으로 5.6% 상승.
- 바지락수입 7톤 반입 전일대비 2톤 감소. 북한산과 중국산이 주 반입. 가격은 전일대비 오름세. 20kg 상품은 44,000원으로 전일대비 18.9%상승, 중품은 37,000원으로 13.8% 상승.
- (겉)바지락은 북한산, 안면도산, 순천산이 주로 반입. 가격은 오름세. 가격은 17kg망에 상품은 46,500원으로 전일대비 17.7%상승
- 홍합은 16톤 반입 전일대비 2톤 증가. 남해산과 여수산이 주 반입, 하품 가격은 오름세, 중상품 가격은 보합세.
30㎏홍합 중상품은 보합세(상품은 13,500원, 중품 12,500원), 하품은 9,500원으로 전일대비 18.8% 상승
15㎏홍합 중상품 가격은 변동 없음(상품 가격은 7,000원,15㎏ 중품 가격은 6,000원으로 보합세).
- 굴은 10톤 반입 전일대비 3톤 증가. 삼천포, 남해, 충무산이 주 반입. 특중품 가격은 전일대비 오름세 상품가격은 강보합세. 1kg에 특품 가격은 6,725원으로 24.5% 상승, 상품은 4,600원으로 9.5% 상승, 중품은 4,250원으로 13.3% 상승
○ 조개류 내림세 품목 : 깐홍합, 깐바지락, 봉지바지락, 가무락
- 깐홍합(1㎏)은 여수산이 주 반입됨. 가격은 내림세. 상품 가격은 1㎏ 2,675원으로 16.4% 하락.
- 깐바지락(1kg)은 삼천포, 마산산이 주 반입, 가격은 약보합세. 상품 가격은 1kg망에 8,050원으로 전일대비 4.2%하락
- 봉지바지락은 북한산과 중국산이 주 반입, 가격은 약보합세, 상품은 5㎏상자에 상품은 13,500원으로 6.9% 하락, 중품은 12,000원으로 4% 하락
- 가무락(모시조개)은 목포산이 주 반입. 가격은 약보합세, 목포산 20kg망에 상품은 80,000으로 5.9% 하락. 중품은 70,000원으로 전일과 같음
◈ 연체류 가격지수 : 127.82 전일대비 +17.25
○ 연체류 오름세 품목 : 물오징어(중품), 낙지수입, 주꾸미, 주꾸미수입, 냉동낙지, 오만둥이, 냉동오징어
- 물오징어 3톤 반입 전일과 같음. 등급간 가격차이가 심하며, 체장이 큰 제주산 채낚기 물량 상품 가격은 보합세, 제주산 중품 가격은 대폭 오름세. 부산산 하품가격은 약보합세. 체장이 큰 제주산 채낚기 물오징어는 6㎏상자에 상품은 32,500원(32,000-33,000원)으로 전일대비 3% 하락. 제주산 중품은 20,000원(18,000-22,000원)으로 66.7% 상승, 부산산은 체장이 작은 하품만 반입되어 트롤(그물망) 6㎏상자에 하등품은 10,500원으로 4.5%하락.
- 낙지수입은 8톤 반입 전일대비 2톤 증가. 전량 중국산 가격은 강보합세, 4㎏상자에 상품 가격은 25,250원으로 7.4%상승, 중품은 22,500원으로 7.1%상승
- 주꾸미는 11톤 반입 전일대비 7톤 증가. 주꾸미 철을 맞이하여 수요증가로 주꾸미 가격은 대폭 오름세. 살아있는 활쭈꾸미는 최상품은 중국산 활쭈꾸미로 1㎏에 10,000원.5㎏ 40,000원, 군산산 선어냉장 생물주꾸미 상품가격은 5㎏ 34,000원, 군산산 선어냉장 생물쭈꾸미 중품은 5㎏에 24,500원(15,000-34,000원)으로 전일대비 21% 하락
- 쭈꾸미수입(상품)은 전량 중국산이 주 반입. 10톤 반입 전일대비 1톤 감소.가격은 내림세, 중국산 선어생물 냉장수입쭈구미 4㎏ 상품은 19,250원으로 전일대비 36.4%하락, 중품은 4㎏에 18,000원으로 36.8%하락. 단, 중국산 수입 냉동쭈꾸미 가격은 보합세로 5㎏ 상자에 12,000원에 경매됨
- 오만둥이(중품)는 마산산이 주 반입. 가격은 내림세, 상품 가격은 1㎏에 2,850원으로 13.6%하락, 중품 가격은 1㎏ 2,600원으로 5.5% 하락
- 냉동오징어 8톤 반입 전일대비 22톤 감소. 부산산이 주 반입 가격은 보합세. 6㎏상자 냉동오징어는 부산산 근해산이 주 반입으로 상품 가격은 18,500원으로 전일대비 5.7%상승, 중품은 15,500원으로 5.1%상승. 8㎏ PAN 냉동오징어는 부산산이 주 반입 가격은 8㎏에 15,000원으로 3.4%상승
○ 연체류 내림세 품목 : 미더덕, 문어, 물오징어(상품, 하품)
- 미더덕 3톤 반입 전일대비 2톤 증가. 마산산이 주 반입. 가격은 내림세. 상품은 1㎏ 4,650원으로 9.7% 하락, 중품은 3,900원으로 전일대비 16.1%하락.
- 문어는 포항산 중문어는 1㎏ 4,400원으로 26.7%하락, 포항산 소문어는 7,800원, 포항산 선어 대문어는 5,800원으로 21.6%하락
- 물오징어 3톤 반입 전일과 같음. 등급간 가격차이가 심하며, 체장이 큰 제주산 채낚기 물량 상품 가격은 보합세, 제주산 중품 가격은 대폭 오름세. 부산산 하품가격은 약보합세. 체장이 큰 제주산 채낚기 물오징어는 6㎏상자에 상품은 32,500원(32,000-33,000원)으로 전일대비 3% 하락. 제주산 중품은 20,000원(18,000-22,000원)으로 66.7% 상승, 부산산은 체장이 작은 하품만 반입되어 트롤(그물망) 6㎏상자에 하등품은 10,500원으로 4.5%하락.
□ 건어류 : 반입물량 금일 62톤 반입 전일대비 21톤 증가
◈ 건어류 가격지수 : 124.09 전일대비 +0.24
○ 건어류 보합세 품목 : 건멸치 건오징어, 건명태, 미역, 김
《 건어류 보합세 요인 》
- 건멸치는 27톤 반입 전일대비 15톤 증가. 가격은 보합세.
- 건오징어는 2톤 반입 전일대비 1톤 감소. 가격은 보합세
- 건명태는 5톤 반입 전일대비 2톤 증가. 가격은 보합세
- 미역은 5톤 반입 전일대비 2톤 증가. 가격은 보합세
- 김은 23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2톤 증가. 가격은 보합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