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4.12(목)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007.4.12(목)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 우리공사에서 제공하는 가격동향 및 표준가격은 자유로이 인용 · 전재 할 수 있으나, 출처는 반드시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농산물
가격지수 : 103.91 전일대비 -1.22
《 약세 요인 》
○ 반입량 증가와 우천으로 인한 소비 활동 둔화
- 감자는 수입산(미국)이 반입되는 등 물량이 증가하였고 소비도 부진하여 내림세
- 우천으로 인한 소비 부진으로 잎 채소류 등 하락
《 강세 요인 》
○ 일사량 감소로 생육이 부진한 열매채소류 반입량 감소
- 오이는 반입량이 크게 감소하였고, 단호박은 상품성 좋은 것이 반입되어 오름세
◈ 고구마 감자류
가격지수 : 100.07 전일대비 -11.52
◇ 고구마 - 약보합세
- 금일 30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18% 감소. 우천영향 산지작업 부진
- 밤고구마는 여주 11톤, 이천 3톤, 영주 1톤 등 반입.
- 여주산 2,000-23,000원, 영주산 4,000-16,000원 거래. 소비시장 우천으로 수요 감소
- 호박고구마는 여주 1톤, 서산 1톤 등 반입
- 상품성 저하로 거래부진. 수요 감소로 재고 증가하면서 매수세 약화
- 상품 평균 19,000원으로 전일대비 5% 시세 하락하면서 약보합세
◇ 감자 - 내림세
- 금일 370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17% 증가. 미국산 수입감자 반입
- 수미종 감자는 228톤 반입. 남원 57톤, 밀양 36톤, 평창 29톤, 김천 19톤 등
- 하우스 햇감자 산지 작업부진으로 출하량 감소. 우천으로 소비수요 감소
- 상품 평균 24,598원에 전일대비 10% 시세 하락하면서 내림세
- 민간업체 수입감자(미국산) 6톤 출하. 상품성 좋아 20kg 15,000-17,000원 거래
- 제주산 대지종 감자는 전일대비 43% 감소한 금일 39톤 반입.
- 산지 출하작업 마무리로 상품성 크게 떨어지면서 소비 수요 감소
- 상품은 평균 22,238원에 전일대비 1% 시세 하락하면서 약보합세
◈ 잎채소류
가격지수 : 108.87 전일대비 -4.11
◇배추-오름세
- 반입량 증가에도 소비가 따라주어 오름세
- 금일 배추 반입량은 557톤으로 전일대비 12.7% 증가하였으며 해남 84%, 무안 9%, 진도 5%에서
출하됨
- 가격은 10kg기준 상품 3,216원, 보통 2,577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4.7%, 7.8% 상승함
- 가격대별 판매수량은 4000원대 4대, 3000원대 18대로 산지에서 재 포장된 골판지 출하 위주로
소비가 원활하게 이루어졌음
◈ 열매채소류
가격지수 : 123.57 전일대비 7.58
◇오이-오름세
- 흐리고 비 오는 날이 어이지면서 일사량 부족으로 수확량이 감소한데다 최근 가격 약세가 지속되면서
출하를 서두르지 않아 반입량이 감소함
- 금일 오이 전체 반입량은 335톤으로 전일대비 21% 감소하였으며 백다다기 287톤, 취청 46톤이 반입됨
- 백다다기는 9.2% 감소에 그쳤으나 취청은 전일 22톤 반입되었던 순천 물량이 금일 8톤에 불과해
전체적으로 56% 감소함
- 가격은 백다다기 100개 상품 26,534원, 보통 23,255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1.8%, 2.2% 하락하였으나
- 취청은 20kg기준 상품31,847원, 27,986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9.5%, 11.8% 상승함
- 백다다기는 물량 감소가 상대적으로 적었고 최근 반입량이 많아 재고가 남아 있어 가격 소폭 하락함
◈ 뿌리채소류
가격지수 : 78.02 전일대비 -0.86
◇무-내림세
- 제주지역 노지물량의 막바지 작업으로 반입량이 증가한데다 전반적으로 상품성이 낮아 가격은 내림세
- 금일 반입량은 588톤으로 전일대비 14.2% 증가하였으며 서귀포시 90%, 남제주 4%, 제주시에서 출하
- 육지산은 고창과 영암에서 각각 1대만 반입됨
- 가격은 육지산은 1,800원에 제주산은 3,200~6,300원까지 거래되었으며 주거래가격은 4,200~5,000원
선으로 전일에 비해 등급별로 300원 가량 하락함
- 전반적으로 내림세인 가운데 상품성 좋은 물량이 적어 특품은 소폭 오름세였음
◈ 양념 채소류
가격지수 : 84.05 전일대비 -2.69
◇ 양파 - 내림세
- 금일 1,066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6% 증가. 조생양파 출하량 증가
- 제주 768톤, 무안 98톤, 고흥 35톤, 함평 21톤, 군위 13톤 등 반입
- 제주산 조생양파, 무안, 고흥 등 육지하우스 조생양파 출하량 증가. 매수세 약화
- 금일 상품 평균 365원으로 전일대비 11% 시세 하락한 내림세 거래
◇ 대파 - 오름세
- 전일대비 18% 감소한 208톤 반입. 진도, 신안산 산지작업 부진으로 물량 감소
- 전남 진도산 130톤, 신안산 42톤, 영광 14톤, 부산 12톤, 부안 6톤 등 반입
- 부산, 부안지역 출하 증가. 영광산 상품성 우수로 kg단에 520-710원에 거래
- 상품 평균 603원으로 전일대비 11% 시세 상승하면서 오름세 거래
◇ 쪽파 - 약보합세
- 금일 36톤 반입(전일대비 5% 감소). 제주산 깐쪽파 출하량 감소
- 흙쪽파는 예산 5톤, 아산 3톤, 남양주 3톤 등 반입. 우천영향 판매부진
- 상품 평균 1,100원으로 전일대비 8% 시세하락하면서 약보합세 거래
- 깐쪽파는 제주 5톤, 당진 4톤, 서천 3톤, 예산 2톤 등 반입
- 제주지역 일기불순으로 작업 부진. 우천으로 소비수요 감소
- 상품 평균 18,846원으로 전일대비 1% 시세 하락하면서 보합세 거래
◈ 서양 채소류
가격지수 : 173.61 전일대비 0.44
◇ 피망, 파프리카 - 오름세
- 우천 등으로 일사량이 많지 않아 반입량 감소하여 오름세에 거래됨.
- 전자경매 기준 피망은 전일보다 10.0% 감소한 20톤, 파프리카는 13톤가량 반입됨.
- 청피망(10kg,상)은 전일보다 5,000원 상승한 45,000원, 홍피망은 4,000원 상승한 94,000원,
- 빨강파프리카(5kg,상)는 전일과 비슷한 27,000원, 노랑파프리카는 2,000원 상승한 29,000원에 거래됨.
◇ 양상추 - 내림세
- 금일 반입량은 전일보다 9.8% 증가한 63톤이며, 시세는 다소 하락하여 10,500원에 거래됨.
- 대부분 서양채소류는 주중 우천으로 인한 소비 둔화로 약보합세에 거래됨.
- 브로코리는 19,000원, 셀러리 9,500원, 케일은 11,000원, 파세리는 16,000원에 거래됨.
◈ 버섯류
가격지수 : 96.31 전일대비 -3.35
◇ 버섯류 하락세
- 전일대비 출하량이1%감소했으나, 중도매인 재고가 많아 시장내 재고량 누적
- 장 형성시간대의 우천으로 인해 매기가 침체되어 버섯류 전반적으로 내림세 형성
◇ 새송이 보합세
- 52톤이 반입되어 전일대비 2% 반입량 증가
- 충남 천안지역의 출하가 23%에 이르는 등 충청지역의 출하비중이 늘어나고 있음
- 봄 재배 수확비중이 높아지면서 전반적으로상품성 향상
- 주중 재고 발생이 증가하였고 특별한 소비유인이 없어 가격은 약보합세 형성
- 새송이 상품 2kg 평균가는 6,238원으로 전일과 비슷한 가격대 보임
2. 수산물
가격지수 : 94.47 전일대비 +0.41
《 강세 요인 》
○ 수입 물량 상품성 양호와 산지 조업부진으로 냉장물량 반입 감소
- 수입낙지, 수입주꾸미 선도양호로 오름세
- 반입량 감소한 물오징어, 임연수어 강보합세
《 약세 요인 》
○ 고등어, 갈치 우천에 따른수요 감소와 상품성 하락으로 내림세
◈ 생선류
가격지수 : 77.87 전일대비 -1.62
《 강세 요인 》
○ 수입 생태, 수입냉장갈치, 삼치 오름세
- 생태는 일본산 반입량이 늘어났으나 우천으로 기온상승이 다소 둔화되면서 선도관리가 양호하고 최근 가격하락으로 소비수요는 꾸준하여 강보합세 형성
- 수입냉장 갈치는 국내산 상품성 부진에 따른 대체수요 증가로 오름세
- 삼치는 고등어 반입 감소에 따른 수요 회복과 충무, 부산산이 상품성 양호로 상승세. 다만 하품은 상품 물량 증가에 따른 매수 둔화로 내림세
《 약세 요인 》
○ 고등어, 갈치, 아귀 내림세
- 최근 강세를 보였던 고등어는 소비지 시장 우천으로 수요가 감소하고 대형어 출하가 부진하여 약세. 또한 봄철 고등어는 배가 물러 자반가공이 어렵고 이에 따라 고정수요가 부족하여 가격등락폭이 큼
- 갈치는 제주 연승조업 물량이 전일수준을 유지하였으나 중,소형어위주로 거래되었고 일본산 선도 우수로 수요가 줄어들어 내림세에 거래
- 아귀는 주중 요식업체 주문량 감소와 제주산 선도 부진으로 하락세
◈ 조개류 97.42 전일대비 -0.02
《 강세 요인 》
○ 바지락, 모시조개 강세
- 바지락은 13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3톤 증가. 겉망바지락은 국내산의 반입은 없었음. 수입산이 주반입 되었으나 선도와 상품성이 좋아 가격차이가 작았음, 반입비중이 많은 봉지바지락은 국내산이 소량 반입되었고, 대부분 중국 수입산으로 알이 굵고 선도가 양호하여 고정 수요처의 물량 확보 증가로 오름세
- 모시조개는 목포와 인천산, 중국수입산의 소량 반입으로 고정 수요처인 전문 요식업소외에 일반 거래는 한산, 흑모시와 백모시조개의 가격차이가 컸고 국내산 흑모시 가격이 높은 가격을 형성《 약세 요인 》
○ 굴, 동죽,홍합,새꼬막,키조개 약세
- 굴은 5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3톤 감소. 통영(충무), 사천(삼천포), 남해산으로 매기부진에 따른 전일 재고 증가로 당일 반입량이 감소하였음에도 약세
- 동죽은 반입량에 따른 일간 가격 등락이 심했으나 타품목의 가격하락으로 약세
- 홍합은 마산, 여수산이 17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4톤 감소. 요식업소의 꾸준한 소비 대포장 위주로 거래되나 상품성이 낮은 것의 출하가 많았음
- 새꼬막은 17톤 반입되어 전일과 같음, 순천산으로 반입량은 꾸준하나 기온상승으로 가정 수요는 한산, 주소비처는 요식업소의 밑 반찬용과 고정 급식업체의 납품 수요가 많았고 전일 대비 약세
- 대합은 국내산이 소량 반입되나 중국 수입산 반입 증가로 약세였고 수요처 한정으로 매기는 부진
- 키조개는 반입량은 증가 추세였으나 상품성 저하와 재고량 누적으로 소비부진으로 약세
◈ 연체류 93.33 전일대비 +5.01
《 강세 요인 》
○ 생물오징어,문어, 수입낙지,주꾸미 오름세
- 생물오징어는 8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3톤 감소. 포항, 울진, 부산산이 주반입 되었으나 산지 기상악화에 따른 조업 부진으로 체낙기 물량의 반입이 줄었고, 중소오징어도 반입 감소로 오름세
- 문어는 포항,울진산이 주반입되었으나 대부분 소문어였음. 거래량 증가로 강세
- 수입낙지는 10톤 반입되어 전일과 같음. 계속된 반입량 증가에도 가격이 낮아 일반 소비량이 증가 추세였고 상품성이 좋아 거래 활발로 오름세
- 주꾸미는 5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1톤 증가. 국내산은 소량이었으나 가격이 높아 수입산의 대체소비 활발로 오름세, 일반 가정수요와 요식업소 및 유통업체의 소비량 증가
《 약세 요인 》
○ 우렁쉥이, 미더덕,오만둥이 약세
- 우렁쉥이는 통영산으로 반입량 증가와 상품성 향상으로 거래량이 증가, 등급간 가격차이가 크지 않아 상품은 내림세
- 미더덕과 오만둥이는 마산,여수산 생물과 냉동물이 동시에 반입되었음. 반입량 감소에도 매기부진으로 약세에 거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