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4.18(수)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007.4.18(수)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담당부서 전산정보팀
문의 0234350314
수정일 2007-04-18 09:44





※ 우리공사에서 제공하는 가격동향 및 표준가격은 자유로이 인용 · 전재 할 수 있으나, 출처는 반드시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1. 농산물

가격지수 : 103.66 전일대비 -0.24
《 약세 요인 》
○ 주중장에 접어들어 잎채소류 등 소비 둔화
- 외식 업체 수요가 많은 쌈채류(상추,치커리 등) 위주로 하락세
- 고추류는 반입량 증가와
구매자
매기 둔화로
하락
《 강세 요인 》
○ 물량감소와 소비자 선호도가 높은 농산물 소비 증가
- 고구마는 저장량이 소진되고 있고, 소비자 선호도가 높은 호박고구마 중심으로 상승
-
브로코리는 수입산 품질 저하로
국내산 가격 상승

◈ 고구마 감자류
가격지수 : 114.67 전일대비 11.59
◇감자-오름세
- 반입량이 감소한데다 상품성 좋은 햇감자 출하량 증가로 오름세를 이어감
- 금일 감자 반입량은 408톤으로 전일대비 1.2% 감소하였으며 품종별 출하비중은 수미 83%,


대지마 14%, 수입산 3%정도임
- 수미는 저장과 햇감자 비중이 각각 80%, 20% 정도로 햇감자가 거래를 주도하는 모습임
- 가격은 20kg상품 기준 수미 27,803원, 대지마 23,492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2.9%, 3.7% 상승함

◈ 잎채소류
가격지수 : 109.47 전일대비 -1.89
◇배추-내림세
- 주 중반임에도 주초부터 가격이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자 반입량이 크게 증가함
- 금일 반입량은 613톤으로 전일대비 39.8% 증가하였으며 해남 70%, 무안 12%, 진도 11%에서 출하됨
- 갑자스러운 작업량 증가로 선별되지 않은 물량이 많아 원망 출하비중이 높음
- 가격은 10kg그물망 기준 상품 3,366원, 보통 2,721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6.6%, 11.7% 하락함
- 반입량이 증가한데다 원망 출하로 상품성도 떨어짐
- 그러나 물량 증가대비 가격하락은 상대적으로 적었는데 재고가 소진되면서 가격 지지 역활을 하였음

◈ 열매채소류
가격지수 : 102.28 전일대비 -0.19
◇호박-품종별 등락이 엇갈림
- 반입량이 감소한 가운데 애호박은 내림세, 쥬키니는 오름세
- 금일 호박 전체 반입량은 218톤으로 전일대비 7.5% 감소하였으며 애호박 112톤, 쥬키니 47톤,


단호박 39톤, 늙은호박 20톤이 반입됨
- 쥬키니와 단호박은 반입량이 증가한 반면 애호박은 감소함
- 가격은 애호박 20개 상품 11,595원, 보통 10,365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3.3%, 3.6% 하락함
- 쥬키니는 10kg상자 기준 상품 11,465원, 보통 10,344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7.7%, 6% 상승함
- 4월들어 쥬키니의 강세가 두드러졌는데 전년도 출하기 가격이 낮아 재배면적이 감소하였고


연작피해와 일사량 부족으로 작황도 좋지 못해 생산량이 적기 때문임

◈ 뿌리채소류
가격지수 : 91.2 전일대비 -0.93
◇무-내림세
- 전일 가격 강세의 영향으로 반입량이 증가하였으나 소비가 원활해 가격은 소폭 내리는데 그침
- 금일 반입량은 493톤으로 전일대비 29.7% 증가하였으나 지난주 일평균 반입량 535톤에는 8% 적은


물량임
- 전일 출하가 없었던 육지무가 영암과 고창에서 각각 1대가 출하되었고 나머지는 제주무였음
- 가격은 육지무는 2,700원, 3,300원 출하량이 적어 큰 폭의 오름세였고 제주무는 최고가 7,500원


주 거래가격 5,000~6,000원 선으로 등급별로 100~200원 가량 하락함
- 제주지역이 끝물 출하인데다 저장물량은 단가 맞지 않아 관망세를 보여 상품성 좋은 물량이 적음
- 따라서 육지산과 제주산의 가격 격차가 많이 좁혀진 모습임

◈ 양념 채소류
가격지수 : 85.87 전일대비 -2.5

◇ 생고추 - 내림세
- 반입량이 큰 폭으로 증가하여 시세는 하락세를 보임.
- 금일 반입량은 181톤(전자경매기준)으로 전일보다 58.7% 증가한 수준이며
- 품종별로는 청양고추 65톤, 일반풋고추 71톤, 꽈리고추 21톤, 홍고추 14톤 가량임.
- 청양고추(10kg,상)는 5.1% 하락한 30,700원, 꽈리고추(4kg,상)는 6.6% 상승한 24,700원에 거래됨.
◇ 대파 - 강보합세
- 반입량이 증가하였지만 소비 활발하여 시세는 소폭 상승함.
- 금일 반입량은 233톤으로 전일보다 27% 가량 증가한 수준이며
- 1kg단 상품 기준으로 전일보다 20원 상승한 평균 625원에 거래됨.

◈ 서양 채소류
가격지수 : 149.38 전일대비 4.86
◇ 피망 - 오름세, 파프리카 - 내림세
- 반입량이 크게 증가한 가운데, 청피망은 상품성 좋은 것 위주로 상승하였으며, 파프리카는 내림세
- 홍피망은 소폭 하락하였으나 지속적으로 강세를 보이고 있음.
- 전자경매 기준 피망은 전일보다 32.7% 증가한 36톤, 파프리카는 104.2% 증가한 21톤가량 반입됨.
- 청피망(10kg,상)은 전일과 비슷한 32,300원, 홍피망은 8.1% 떨어진 133,800원,
- 빨강파프리카(5kg,상)는 4.7% 하락한 32,100원, 노랑파프리카는 2.5% 떨어진 26,800원 에 거래됨.
◇ 양상추 - 오름세
- 금일 반입량은 전일보다 22.5% 증가한 58톤이며, 소비는 꾸준하여 보합세를 보임.
- 주출하지는 경남 의령과 충남 당진, 예산 등지이며 전북 김제에서도 반입됨.
- 전반적으로 서양채소류는 소비 증가한 가운데, 브로코리는 수입산 상품성이 떨어져 국내산 상승함
- 양상추는 전일과 같은 11,000원, 브로코리는 2.2% 상승한 23,000원에 거래됨



◈ 버섯류
가격지수 : 97.06 전일대비 -2.16
◇ 버섯류 보합세
- 잦은 우천으로 인해 습도가 양호하게 유지되는 등 버섯류의 생육조건이 좋아지면서 산지 출하량이 늘어 전일대비 17% 증가한 214톤이 반입
- 주초 우천으로 매기가 다소 부진했는데, 날씨가 좋아지면서 중도매인 재고량도 감소하고 소풍 및 나들이 수요도 소폭 증가 추세
◇ 느타리 강보합세
- 느타리는 생육조건이 좋아지면서 전년대비 28%, 전일대비 10%가 증가한 49톤이 반입
- 경기 양평 13%, 광주9.7%, 구리9.5%, 여주8.9%에서 출하되는 등 경기권의 출하가 많았음
- 날씨가 점차 더워지면서 봄 느타리 상품성은 하락하는 가운데, 충북 괴산 느타리의 상품의 상품성이 좋음
- 특품 2kg 평균 14,000원으로 전일대비 22% 증가하였고, 상, 중품은 전일과 비슷한 가격대 형성



2. 수산물
가격지수 : 94.49전일대비 -2.91
《 강세 요인 》
○ 국내산 생물은 어획부진으로 대부분 오름세
- 생물오징어,주꾸미,산낙지,바지락,오만둥이,갈치 등
○ 급식 수요 증가로 국내산 냉동물의 거래 증가
- 고등어, 꽁치. 이면수, 삼치 등
《 약세 요인 》
○ 조개류와 연체류는 수입물량의 반입 증가로 가격이 내린 품목 증가
○ 급식 수요와 관련이 적은 품목은 거래부진으로 약세

- 활어류 대부분이 약세
- 조개류와 연체류는 수입 품목을 중심으로 내림폭이 컸음

◈ 생선류
가격지수 : 77.53 전일대비 +0.23
《 강세 요인 》
○ 수입갈치, 조기류와 꽁치 등 급식수요가 많은 냉동어류는 강세
- 갈치는 제주산은 반입량 감소에도 선도부진에 따른 매기부진으로 내림세. 일본산 채낚기 갈치는 국내산의 선도 부진으로 가격이 높음에도 전문 요식업소 대체소비 증가로 오름세
- 국내산 조기의 반입은 없었으나 전일 재고 물량은 오름세 형성, 수입산은 반입 증가에도 급식업체 등 고정 수요처의 소비는 꾸준하였으나 약세, 부세는 오름세에 거래
- 꽁치는 가격이 저렴하고 고정
급식업체의 수요가 늘어 오름세
《 약세 요인 》
○ 고등어, 수입생태, 삼치, 아귀는 약세
- 고등어는 부산산으로 대형선망의 어획부진에 따라 대고등어의 반입은 없었고, 주로 중소형 고등어 위주로 거래되어 내림세, 생물고등어의 상품성 저하로 냉동물은 급식업체 및 자반 가공업자의 구매량이 증가하였으나 보합세 지속
- 일본산 생태는 4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1톤 감소. 전일 가격이 높아 반입량 감소에도 전문 요식업소의 구매량이 줄어 내림세
- 삼치는 반입량은 증가하였으나 대품의 반입이 없어 매기부진으로 내림세
- 아귀는 생물은 반입 감소에도 매기부진으로 내림세, 수입 물량의 대체 소비가 증가하지만가격은 약보합세

◈ 조개류 97.00 전일대비 -0.53
《 강세 요인 》
○ 굴, 새꼬막, 동죽,해락,키조개 강세
- 굴은 7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3톤 감소. 통영(충무), 남해산으로 산지 출하 물량 조절로 반입량이 감소하여 강세에 거래. 등급간 가격차이가 크며 주소비처는 전문 요식업체였음
- 새꼬막은 순천산으로 가정수요 보다는 요식업소의 소비가 많았으나 소포장은 내림세에, 반입비중이 많은 대포장은 오름세에 거래
- 동죽과 해락은 반입량 격감으로 고정 수요처의 물량 확보로 오름세
- 키조개는 상등품
반입이 늘면서 오름세에 거래되었고 주 소비처는 조개구이집 등 요식업소였음
《 약세 요인 》
○ 바지락,홍합,대합,모시조개 약세
- 바지락은 11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1톤 증가. 겉망바지락은 서산, 인천산이 소량 출하되었고, 수입산은 매기부진에도 반입량 감소로 보합세. 반입비중이 많은 봉지바지락도 국내산이 소량 반입되었으나 상품성은 낮은 편으로 수입산과 같이 수요부진으로 내림세
- 홍합은 마산, 여수산이 16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2톤 증가. 전일 재고량 증가로 약보합세를 형성하였으나 고정 수요처의 소비는 꾸준함
- 대합은 국내산이 소량 반입되나 중국 수입산 반입 증가로 약세였고 수요처 한정으로 매기는 부진
- 모시조개는 목포산이 소량 반입되었으나 상품성이 낮아 내림세였고, 중국 수입산도 소량 반입 되었으나 고정수요처인 전문 요식업소 외에 일반 거래는 한산

◈ 연체류 99.36 전일대비 +1.00
《 강세 요인 》
○ 생물오징어,오만둥이,우렁쉥이 강세
- 생물오징어는 8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7톤 감소. 포항, 부산, 제주산으로 산지 기상 악화에 따른 어획이 부진하여 체장이 큰 채낙기 물량을 중심으로 오름세에 거래, 냉동 물량은 고정 수요처의 꾸준한 소비로 보합세
- 오만둥이는 생물의 반입량 감소로 오름세
- 우렁쉥이는 씨알이 굵고 선도가 좋아 오름세
《 약세 요인 》
○ 주꾸미,수입낙지,문어,미더덕 약세
- 주꾸미는 4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8톤 감소. 국내산은 소량이었으나 등급간 가격 차이가 적었으나 가격이 높아 약세, 반입 비중이 많은 수입산은 물량 격감에도 전일 재고분 누적으로 내림세였고 등급간 가격차이가 컸음.
- 수입낙지는 10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4톤 감소. 계속된 반입량 증가로 재고량이 누적되어 내림세에 거래, 상품성이 좋고 평소에 비해 가격이 낮아 일반 가정 소비량은 증가 추세
- 문어는 포항,부산산이 주반입되었으나 매기부진으로 약세
- 미더덕은 마산,여수산 생물과 냉동물이 동시에 반입되었으나 재고량이 많아 약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