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11.13(화)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007.11.13(화)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 우리공사에서 제공하는 가격동향 및 표준가격은 자유로이 인용 · 전재 할 수 있으나, 출처는 반드시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농산물
가격지수 : 123.44 전일대비 -1.96
《 강세 요인 》
○ 열매 채소류와 버섯류중 일부는 기온하락으로 출하작업 부진하여 물량 감소로 강세
- 취청오이, 단호박, 양송이버섯은 산지 반입량 감소와 중소형마트 주문 증가로 시세상승
《 약세 요인 》
○ 잎, 뿌리, 양념, 서양 채소류와 서류는 전일 재고와 납품업체 주문 감소로 약세
- 얼갈이배추, 다발무, 붉은고추, 깐쪽파는 전일 시세영향으로 반입량 증가하면서 내림세
- 피망, 양상추, 파세리, 고구마, 감자는 전일 판매부진으로 재고 늘어 매수세 약화
◈ 고구마 감자류
가격지수 : 89.12 전일대비 -9.32
◇ 고구마 - 내림세
- 금일 76톤 출하되면서 전일대비 17% 반입량 증가.
- 고구마는 여주 43%, 논산 12%, 서산 11%, 홍성 11%, 서천 4% 등 반입.
- 밤고구마는 여주 1,000-12,500원, 논산 2,000-13,000원,
- 호박고구마는 여주 1,000-20,000원, 홍성 2,000-11,000원
- 전일 시세영향으로 경기여주 밤고구마 출하량 증가.
- 일반 소매상 및 중소형마트 주문 감소로 중도매인 구매력 저하
- 금일 상품 평균 10,189원으로 전일대비 7% 하락하면서 내림세 거래
◇ 감자 - 내림세
- 금일 194톤 출하되면서 전일대비 4% 반입량 감소.
- 수미종 감자는 평창 20%, 춘천 13%, 인제 9%, 김제 9% 등 반입
- 평창 2,500-27,000원, 춘천 3,500-22,000원, 인제 3,000-22,000원.
- 전북 김제지역 이모작 감자 시세영향으로 출하량 감소
- 경북 의성, 강원 평창 저장감자 상품성 저하로 판매부진, 매수세 약화
- 금일 상품 평균 19,346원으로 전일대비 10% 하락하면서 내림세 거래
◈ 잎채소류
가격지수 : 135.63 전일대비 -2.13
◇ 시금치 - 내림세
- 금일 반입량은 전자경매 기준 94톤으로 전일보다 6.7% 증가함
- 섬초 5톤, 육지초 3톤, 포항초 20톤, 4kg상자시금치 16톤, 단시금치 51톤 가량임
- 전일 섬초 반입이 없어 15kg 묶음 가격이 낮게 형성되었으나, 금일 반입되면서 정상화됨
- 남부 지방 출하 물량(섬초,육지초,포항초) 증가 추세이고, 겨울철 시세 주도할 것으로 보임
◈ 열매채소류
가격지수 : 139 전일대비 1.59
◇ 단호박 - 오름세
- 금일 43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43% 반입량 증가.
- 경기지역 37%, 강원 37%, 전남 8%, 충청 14%, 경북 4% 반입됨.
- 경기와 강원지역 중심으로 출하되면서 충청권 출하량 증가.
- 경북 영주산 상품성 우수로 시세 상승. 외식업체 및 죽가공업체 주문 증가
- 8kg 상품 평균 7,650원으로 전일대비 10% 상승하면서 오름세 거래
◈ 뿌리채소류
가격지수 : 180.5 전일대비 -4.85
◇ 무 - 내림세
- 금일 반입량은 전일보다 17% 증가한 717톤 반입되었으며, 반입량 증가로 시세는 하락함
- 김장철을 맞아 다발무가 본격 출하되어 65% 정도의 점유율을 보임
- 다발무는 부안, 당진, 고창, 무안 등지에서,
-외대무는 영암, 평택, 당진, 태안에서 출하되어 출하지가 충청 이남지역으로 이동함
-다발무 5톤트럭 기준 최고가 760만원이었고 평균가격은 422만원으로 전일대비 44만원 하락
- 외대무는 최고가 15,600원으로 서산에서 출하되었고 평균가격은 11,100원으로 보합세를 보임
◈ 양념 채소류
가격지수 : 112.91 전일대비 -2.59
◇ 양파 - 약보합세
- 금일 627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4% 반입량 감소.
- 무안 53%, 해남 12%, 함평 8%, 신안 6%, 영천 3% 등 차지함
- 무안산 kg당 250-960원, 해남 256-608원, 함평 294-629원 거래.
- 경상지역 저장양파 출하량 조절로 물량 소폭 감소. 전일 판매부진
- 납품업체 주문 감소로 재고 증가하면서 중도매인 구매력 저하
- 금일 상품 평균 549원으로 전일대비 1% 상승하면서 약보합세
◇ 대파 - 약보합세
- 금일 225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3% 반입량 증가.
- 경기 고양 19%, 이천 10%, 구리 9%, 안성 7%, 진도 5% 등 반입
- 고양 900-1,850원, 이천 1,050-1,700원, 구리 880-1,630원
- 전남 진도, 영광, 전북 부안 등 남부지방 출하량 증가
- 지방 소매상 및 요식업소 주문 감소, 중소형 마트 구매 부진으로 재고 증가
- 금일 상품 평균 1,505원으로 전일대비 2% 하락하면서 약보합세
◈ 서양 채소류
가격지수 : 146.22 전일대비 -10.99
◇ 피망 - 내림세, 파프리카 - 오름세
- 금일 피망은 전자경매 기준 전일보다 17% 증가한 36톤 반입되었으며, 청피망 32톤, 홍피망 4톤임.
- 반입량 증가와 고단가로 납품 주문 감소 등으로 내림세 거래됨
- 전남 지역 출하물량이 대부분이고 성출하기로 가격도 타 지역보다 높게 형성됨
- 파프리카는 17톤 반입되었으며, 빨강 10톤, 노랑 4톤, 주황 2톤가량임.
- 홍피망 물량 부족으로 빨강파프리카 수요 증가해 오름세 거래되었음.
-노랑은 소폭 하락하였고 주황은 보합세를 보임
- 점차 물량 증가할 것으로 보이나 작황 부진과 고유가로 증가폭이 크지 않을 것으로 보여 강세 전망
◈ 버섯류
가격지수 : 94.43 전일대비 -0.11
◇ 버섯류 - 약보합세
- 산지 작황 꾸준하여 전일과 비슷한 202톤 반입
- 주중 요식업체 및 마트 납품 감소
- 금일 출하량 감소인 표고와 양송이를 제외한 버섯 전품목이 소폭 내림세 형성
◇ 표고 - 보합세
- 산지 톱밥재배 물량 증가로 어제보다 21% 증가한 32톤 반입
- 맑고 건조한 날씨로 표고의 생육이 좋아져 상품성 향상
- 충남 부여 40%, 충남 보령 22%, 충북 영동 15%, 전남 보성에서 10% 반입
- 주중 유통업체 납품 부진
- 외식업체 구매 꾸준
- 4kg 평균 19,357원으로 전일대비 1% 상승
2. 수산물
가격지수 : 104.76 전일대비 +0.18
《 강세 요인 》
○ 산지 기상여건 악화로 주초 반입량 감소 지속되면서 시장내 재고가 줄어 오름세
- 약세 지속으로 소비량 증가한 수입낙지, 반입량 저조한 물오징어 강세
- 공급량 부족한 숭어류, 방어, 출하량 감소한 미더덕, 삼치 상승세
《 약세 요인 》
○ 가격 상승으로 판매 부진했던 병어, 갈치, 꽃게가 재고 증가로 약세
◈ 생선류
가격지수 : 80.00 전일대비 -1.37
《 강세 요인 》
○ 참조기, 일본산 꽁치, 삼치, 아귀, 가자미
- 참조기는 금일 제주산은 반입되지 않아 반입량이 감소하였고 상품성이 좋은 목포산이 주로 거래되어 오름세
- 일본산 꽁치는 선도가 우수한 물량이 거래되어 오름세를 보였고, 삼치는 기상여건 악화에 따른 산지 대기물량이 적어 출하량이 감소하면서 상승세를 형성함
- 아귀는 중국산 반입량 줄어들었고 주초 요식업체 구매량 증가 지속으로 상승세
- 가자미는 조금철로 조업이 부진하여 반입량이 줄었고 보령, 부산, 군산산이 체장이 커 상승세
《 약세 요인 》
○ 고등어, 갈치, 생태, 대구, 병어
- 고등어는 어황 저조로 부산산 생물 출하량이 감소하였으나 냉동물량 반입 증가로 총 반입량은 전일 수준을 보였음. 생물 반입량 줄었으나 중․소형어 위주로 출하되어 내림세
- 갈치는 제주 주변해역 주초 기상여건 악화로 출하량이 크게 줄었으나 일본산 낚시 갈치 반입량 증가로 반입량 감소는 2톤에 그쳤음. 반입량 줄었으나 전일 가격상승에 따른 판매부진과 일본산 반입량 증가로 내림세에 거래
- 생태는 일본산 반입량이 전일대비 2톤 감소하였으나 전일에 이어 금일도 반입량이 20톤을 넘어가면서 시장내 재고가 늘어 약세
- 대구는 동해안 풍랑주의보 발령으로 죽변, 속초산이 반입되지 않아 반입물량은 전일대비 3톤 감소하였음. 반입량 줄었으나 상품성이 우수한 동해안산이 거래되지 않아 내림세
- 전일 강세를 보였던 병어는 통영, 마산산 위주로 거래되었으며 반입량이 소폭 감소하였으나 주초 중간도매상 매수세 둔화로 하락세
◈ 조개류
가격지수 : 80.69 전일대비 -4.05
《 강세 요인 》
○ 굴, 새꼬막, 깐홍합
- 굴은 통영산 출하량이 전일대비 3톤 감소하였고 최근 김장철로 수요가 꾸준히 늘어나면서 특품이 오름세에 거래. 다만 최근 가격상승과 반입량이 꾸준하여 중품은 내림세
- 새꼬막은 순천산 반입량이 전일대비 4톤 감소하였고 제철 수요 증가로 시장내 재고량 부족하여 오름세에 거래
- 깐홍합은 마산, 여수산 출하량이 소폭 증가하였으나 요식업체 주문량 늘어나면서 오름세에 거래
《 약세 요인 》
○ 겉바지락, 봉지바지락, 수입바지락, 가무락, 동죽
- 겉바지락은 장항, 안면도산이 소량 출하된 가운데 북한산 반입량이 늘어 전일대비 3톤 증가함. 국내산은 씨알이 작고 북한산 반입 증가로 내림세
- 봉지 바지락은 태안, 북한산 출하량이 크게 증가하였고 주초 요식업체 주문량이 마무리되면서 수요는 줄어 약세
- 수입바지락은 북한산 위주로 거래되었으며 반입량 증가와 상품성 저조로 내림세를 나타냈고, 가무락은 상품성이 뛰어난 목포산이 반입되지 않고 씨알이 작은 인천산만 거래되어 약세를 형성함.
- 동죽은 서산산 출하량 늘어났으며 바지락 가격 하락에 따른 대체수요가 줄어 하락세
◈ 연체류
가격지수 : 104.12 전일대비 +12.27
《 강세 요인 》
○ 수입낙지, 물오징어, 문어, 수입주꾸미, 미더덕, 오만둥이
- 최근 약세를 보였던 수입낙지는 소비량이 회복되면서 재고량이 감소하였고 금일 중국산 물량이 선도가 우수하여 오름세
- 물오징어는 동해안 기상여건 악화로 채낚기 조업이 부진하여 반입물량이 전일대비 5톤 줄어들었고 계속된 주초 반입량 감소로 시장내 재고 부족하여 강세
- 문어는 일본, 서산산이 거래되었으며 선도가 양호한 일본산이 시세 상승을 주도하였음
- 수입주꾸미는 냉동 위주로 거래되었으며 냉장은 소량 거래되었고 국내산에 비해 상품성이 뛰어나 오름세를 나타냄.
- 미더덕은 마산산 출하량 줄어들었으나 기온하락으로 수산물 탕류 소비가 늘었고 산지 대기 물량도 적어 오름세를 나타냄. 오만둥이는 반입량 증가하였으나 미더덕 가격 상승 지속에 따른 대체 수요 늘어 상승세를 형성함.
《 약세 요인 》
○ 갑오징어, 국내산 주꾸미
- 반입량 증가한 갑오징어는 주초 요식업체 매수세 둔화로 약세를 보였고, 국내산 주꾸미는 군산산이 반입되었으나 선도가 떨어지는 하품위주로 거래되어 내림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