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1.24(목)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008.1.24(목)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담당부서 전산정보팀
문의 0234350314
수정일 2008-01-24 08:29









※ 우리공사에서 제공하는 가격동향 및 표준가격은 자유로이 인용 · 전재 할 수 있으나, 출처는 반드시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농산물

가격지수 : 109.4 전일대비 0.02
《 강세 요인 》
○ 주 산지의 우천과 작황 부진으로 인한 시장 반입량 감소로
- 제주지역 우천과 강원도 폭설로 출하량 감소한 감자의 강세가 지속됐고, 무도 오름세임.
- 산지 작황 부진이 계속되고 있는 고추류 강세 지속
《 약세 요인 》
○ 소비 부진이 계속되고 있는 서양채소류와 고단가로 매기 감소한 양념채소류 내림세
- 대파와 쪽파는 산지 출하량 증가와 소비 부진으로 하락하였고, 셀러리, 브로코리 약세"

◈ 고구마 감자류
가격지수 : 167.51 전일대비 9.49


◈ 잎채소류
가격지수 : 112.29 전일대비 -3.27
◇ 시금치 - 내림세
- 전자경매 기준 124톤 반입되어 전일 보다 18.8% 증가
- 섬초 47톤, 육지초 18톤, 포항초 21톤, 4kg상자시금치 15톤, 단시금치 23톤 가량임
- 신안 38%, 포항 17%, 무안 15%, 경기 일원 15%에서 출하되고 있으며
- 반입량 증가와 주중 소비 감소로 내림세 거래
- 내일은 주말이고, 설 성수기가 다가옴에 따라 납품 업체 등의 물량 확보 노력 강세를 보여 강세 전망됨


◈ 열매채소류
가격지수 : 117.45 전일대비 6.71


◈ 뿌리채소류
가격지수 : 159.23 전일대비 14.24


◈ 양념 채소류
가격지수 : 105.86 전일대비 -3.82
◇ 생고추 - 오름세
- 생고추 전체 반입량은 전자경매 기준 91톤가량 반입되어 전일 보다 13.4% 감소
- 품종별로는 청양 35톤, 일반풋고추 32톤, 꽈리 13톤, 홍고추 4톤 반입
- 산지 출하 대기 물량이 많지 않고, 반입량 감소로 강세가 지속되고 있으며,
-
공급량 부족이 계속되고 있는 청양고추의 오름세가 두드러짐.
- 날씨가 추워져 반입량 감소할 것이고, 주말장 수요 증가할 것으로 보여 강세 전망

◈ 서양 채소류
가격지수 : 76.98 전일대비 3.02
◇ 피망, 파프리카 - 오름세
- 피망은 전자경매 기준 34톤으로 전일 보다 25.3% 증가하였으며, 청피망 26톤, 홍피망 8톤 가량임.
- 청피망은 진주 40%, 광주 21%, 나주 15%, 홍피망은 광주 81%, 진주 3% 등에서 출하됨
- 전일 재고 소진과, 주말과 설 성수기를 앞두고 외식 및 납품 업체 주물량 증가하여 오름세 거래.
- 파프리카는 10톤가량 반입되어 전일보다 21.4% 증가. 빨강 5톤, 노랑 4톤, 주황 2톤 가량임
- 화순 18%, 진주 15%, 춘천 15%, 화성 15% 등에서 출하됨
- 날씨가 매우 추워져 내일 반입량 많지 않을 것이고, 주말장으로 강세 전망됨

◈ 버섯류
가격지수 : 92.65 전일대비 -0.57


◇ 버섯류 - 약보합세

- 전일대비 1% 감소한 179톤 반입
- 강원도지역의 폭설과 전국적인 한파로 산지 작업이 다소 부진해 출하량 감소
- 금주 추운 겨울날씨로 탕류 소비증가로 버섯류 소비 증가추세이나
- 오늘 서울 체감 아침 기온이 영하16도까지 떨어지면서, 매기가 다소 부진함
- 군납 등 납품업체 및 요식업체 납품 꾸준

◇ 양송이 - 오름세
- 전일대비 13% 감소한 10톤 반입
- 학교 방학으로 양송이 주수요처인 식자재 업체의 납품 감소로
- 양송이 주산지인 충남 부여 미산과 석성지역의 반입량 감소
- 유통업체 납품용인 고품질 양송이는 소비가 활발한 반면
- 급식업체 위주로 납품이 이뤄지는 중품의 경우 소비 부진한 편
- 상품 2kg 평균 11,450원으로 5% 상승



2. 수산물


가격지수 : 109.87 전일대비 +0.32


○ 수입생태, 냉태의 비축량 반출 및 냉동물량의 출하량이 증가한 고등어 등의 반입 물량이 대폭늘어나 전일대비 선어류는 56톤이 늘어났으며 조개 등 패류는 33톤이 증가하였으나 설 수요 및 요식업체 등의 수요가 증가하여 수산물 전체 가격은 보합세를 보임

《 강세 요인 》
○ 주중 요식업체 수요 증가로 인한 거래량 증가 및 상품 위주 물량 반입으로 가격 강세
- 외식업체 수요 증가한 바지락, 쭈꾸미 가격 상승 상승
- 상품성 좋아진 물량이 반입된 생물 중고등어 소폭 상승강세


《 약세 요인 》
○ 반입 물량이 대폭늘어난 냉동고등어, 숭어, 중하품이 많이 반입된 굴, 꼬막 하락세



◈ 생선류


가격지수 : 79.52 전일대비 +0.32


《 강세 요인 》
○ 중고등어, 수입아귀
- 중고등어는 남해안 대형선망 조업 부진으로 상품성이 좋은 물량 부족으로 소폭 상승세
- 수입아귀는 제주산 대형 아귀의 출량이 줄어들어 중도매인의 수입산 대체 수요 증가로


가격 소폭 상승


《 약세 요인 》
○ 수입 부세, 냉동 고등어, 가자미, 숭어
- 수입부세는 설 대비하여 물량이 늘었고 대체 품목 조기도 주중 반입량이 늘어 내림세
- 냉동 고등어는 월명기에 따른 대형 선망 조업부진으로 생고등어 대신 반입물량이 대폭


늘어나 하락세
- 숭어는 급격한 기온하락에 대한 수요감소 예상으로 중도매인을 구매욕이 저하되었고



출하물량이 늘어나 약세





□ 패류(조개류 및 연체류) : 166톤 반입 전일대비 25%(33톤) 증가


◈ 조개류
가격지수 : 89.84 전일대비 +2.95


○ 강세품목 : 가무락(모시조개), 굴, 바지락, 해락(동죽살), 동죽, 홍합

《 강세 요인 》
- 가무락(모시조개)은 순천산 미 반입으로 전량 군산산만 반입되어 가격은 오름세.
- 굴은 13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3톤 감소. 고흥, 남해, 통영산이 주반입됨. 상품성이 양호한 잔굴은 상(등급)품을 중심으로 강보합세, 중굴의 하(등급)품은 약보합세. 주수요처는 전문요식업소였음
- 바지락은 10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2톤 감소. 1㎏ 국내산 깐바지락은 삼천포·서산산이 반입되어 가격은 오름세, 주소비처는 전문요식업소였음. 20㎏그물망 수입바지락은 전량 북한산으로 칼국수전문점등 수요증가로 하등품은 강보합세. 5㎏ 북한산봉지바지락은 반입량 감소로 보합세.
- 소라(피뿔고동)는 군산·순천산 상등품의 반입으로 가격은 오름세. 씨알이
굵고 상품성 양호로 고정수요처인 전문 요식업소가 주소비처였음. 고흥산은
중등품이 반입되어 가격은 약보합세
- 해락(동죽살)은 서산산 소량 반입으로 고정수요처의 물량 확보로 오름세
- 동죽은 서산산 반입으로 고정수요처의 물량 확보로 보합세
- 홍합은 18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3톤 감소. 마산산과 여수산이 주 반입됨.
반입량 감소로 고정수요처의 물량확보로 씨알이잔 하(등급)품 가격은 오름세, 상등품은 보합세, 깐홍합 상품은 고정수요처의 물량확보로 강보합세


○ 약세품목 : 소라(피뿔고동), 새꼬막, 우렁쉥이(멍게)
《 약세 요인 》
- 소라(피뿔고동)는 순천산과 서산산이 반입되어 중품 가격은 약보합세
- 새꼬막은 12톤 반입되어 전일과 같음. 순천산이 주 반입. 씨알이 잔 중하품의 반입량 증가로 등급간 가격차이가 컸고, 전일반입량 미판매 누적으로 가격은 약보합세
- 우렁쉥이(멍게)는 충무산이 주 반입되었고 가격은 내림세


◈ 연체류
가격지수 : 96.02 전일대비 +2.06


○ 강세품목 : 물오징어, 갑오징어, 냉오징어, 낙지, 미더덕, 쭈꾸미,
《강세 요인 》
- 물오징어는 39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3톤 감소. 울산(방어진), 울진(후포), 경주(감포), 거제도, 부산산이 반입되었으나, 백화점등 대형 유통업체의 가격할인행사 및 전문요식업소의 물량 확보로 가격은 상등품은 오름세, 중·하등품은 강보합세.
- 냉오징어는 17톤 반입 전일(3톤)대비 14톤(527%) 증가, 전량 중국산의 대량 반입에도 설날 대비 물량 확보로 가격은 강보합세
- 낙지는 3톤 반입으로 전일대비 1톤 감소. 전량 중국산 수입낙지로 보합세
- 미덕덕은 마산산이 1톤 반입 전일 반입량과 비슷하나, 가격은 오름세
- 수입쭈꾸미는 중국산이 반입되어 상품성에 따른 등급간 가격차이가 심해 가격은 중품은 오름세 상품은 보합세, 냉동쭈꾸미는 중등품은 보합세
- 쭈꾸미는 1톤 반입으로 전일과 같음. 국내산은 장항산이 소량 반입되었고 가격은 상품은 약보합세, 중품은 강보합세


○ 약세품목 : 오만둥이, 갑오징어
《 약세 요인 》
- 오만둥이는 마산산 및 여수산 생물이 주반입되었음. 가격은 상품은 약보합세, 중품은 강보합세
- 갑오징어는 일본산 반입으로 가격은 약보합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