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2.13(수)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008.2.13(수)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 우리공사에서 제공하는 가격동향 및 표준가격은 자유로이 인용 · 전재 할 수 있으나, 출처는 반드시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농산물
가격지수 : 105.25 전일대비 -3.48
《 약세 요인 》
○ 설 명절 이후 가계 소비 감소한데다, 추위로 인한 매기부진도 이어져 대부분 부류 내림세
- 최근 높은 시세 거래되고 있는 서류, 잎채소류의 소비 감소 폭이 컸으며
- 신선초, 파세리 등 서양채소류의 약세도 지속됨
《 강세 요인 》
○ 낮은 시세로 인한 산지 출하량 감소하였고, 소비가 살아나면서 오름세 거래
- 무는 최근 가격 하락으로 산지 작업량 큰 폭 감소하여 시세 반등하였고
- 산지 출하 대기 물량 적은 대파, 쪽파 등 소폭 상승
◈ 고구마 감자류
가격지수 : 129.81 전일대비 -12.8
◇ 고구마-내림세
- 설 이후 반입량이 증가한데다 소비는 위축되어 내림세
- 금일 반입량은 78톤으로 전일대비 19% 증가하였으며, 설 전 6일 평균 물량이 63톤이었던 점을
감안하면 다소 많은 물량임
- 품종별로는 호박 78톤, 밤고구마 36톤, 기타 4톤이었음
- 지역별 출하는 호박고구마는 여주(47%), 논산(34%), 당진(10%)에서 밤고구마는 여주(50%),
논산(19%), 송파(16%)에서 출하됨
- 가격은 10kg상품 기준 호박고구마 18,886원, 밤고구마 13,283원으로 전일대비 2.6%, 8.7% 하락함
- 호박고구마는 충남 당진이, 밤고구마는 충남 논산 물량이 상품성이 좋아 비교적 높은 시세를 형성함
◈ 잎채소류
가격지수 : 123.55 전일대비 -8.94
◇ 양배추-내림세
- 기온이 크게 떨어지면서 시장이용객이 적어 소비량이 감소한 반면 반입량은 늘어 내림세
- 금일 반입량은 308톤으로 전일대비 17.7% 증가하였으며 제주 79%, 진도 14%, 무안 5%에서
출하됨
- 전일에 비해 제주는 60톤, 진도는 20톤 가량이 감소함
- 가격은 8kg그물망 기준 상품 4,793원, 보통 3,461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3.3%, 4.6% 내림
◈ 열매채소류
가격지수 : 92.62 전일대비 -5
◇ 호박-오름세
- 전일 가격이 크게 내린데다 기온이 크게 떨어지면서 향후 반입량이 적을 것을 우려 소비증가로
오름세
- 금일 반입량은 애호박 77톤, 쥬키니 51톤으로 전일대비 각각 9.5%, 0.4% 증가함
- 애호박은 진주(62%), 광양(26%), 고성(8%)에서 쥬키니는 진주(55%), 고성(32%), 전주(6%)에서
출하됨
- 가격은 상품기준 애호박 20개 15,543원, 쥬키니 12,221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5.8%, 32% 상승함
◈ 뿌리채소류
가격지수 : 116.84 전일대비 3.78
◈ 양념 채소류
가격지수 : 116.68 전일대비 -5.33
◈ 서양 채소류
가격지수 : 70.33 전일대비 -4.52
◈ 버섯류
가격지수 : 112.77 전일대비 3.07
◇ 버섯류 - 오름세
- 전일대비 8% 증가한 169톤 반입
- 어제보다 출하량은 다소 증가했지만, 설 이전인 예년 수준 정도로 반입됨
- 졸업시즌으로 외식업체 구매 다소 증가
- 설 이후 설 성수품인 느타리 위주로 약세 형성
◇ 생표고 - 오름세
- 산지 작황 호조로 전일대비 18% 증가한 16톤 반입
- 충남 부여 구룡, 미산 농협의 출하가 많이 이뤄짐
- 충남 부여 45%, 경북 청도 21%, 충남 보령 16%, 충북 영동에서 9.9% 반입
- 대형유통업체 납품에 쓰이는 고품질 표고는 오름세 형성
- 상품성이 떨어지는 중하품은 상대적 약세 형성
- 상품 4kg 평균 43,411원으로 26% 상승
2. 수산물
가격지수 : 107.54 대비 +2.30
《 강세 요인 》
○ 산지 조업량 감소로 물량 반입 감소, 주중 중도매인 재고량 확보로 수입낙지, 쭈꾸미, 물오징어,
수입생태 가격 상승세
- 금일 반입물량 감소로 수입생태, 물오징어 상승
- 시장내 재고량 감소 및 상품성이 양호한 쭈꾸미, 문어 강세,
《 약세 요인 》
○ 설 특수가 끝나면서 소비수요 감소로 중도매인의 매수세 감소로 수입냉장갈치, 참조기, 바지락,
꼬막 가격 내림세
◈ 생선류
가격지수 : 86.51 전일대비 -0.06
《 강세 요인 》
○ 수입생태, 병어8
- 수입생태는 전일보다 상품성이 좋은 물량 반입으로 반입물량은 증가했으나 전일보다 소폭
가격이 상승.
- 병어는 반입물량이 적었고 크기가 큰 상품의 물량이 반입되어 가격 강세
《 약세 요인 》
○ 참조기, 수입냉장갈치10
- 참조기는 체장이 큰 물량의 반입이 적었고 수요가 감소하여 약세를 보임
- 수입냉장갈치는 갑작스런 추위로 수요가 감소하였고, 중도매인의 매수감소로 가격이 하락세
□ 패류(조개류 및 연체류) : 반입량 134톤 전일대비 13톤 증가
◈ 조개류 표준가격지수 : 105.24 전일대비 -8.09
○ 강세품목 : 가무락(모시조개), 소라(피뿔고동)
《 강세 요인 》
- 가무락(모시조개)은 설날 휴장에 따른 산지 작업부진으로 반입물량이 줄어 가격은 강보합세.
- 소라(피뿔고동)는 순천산, 나라도산이 주반입. 설 휴무 이후 산지작업물량 감소 및 고정수요처의 물량확보 증가로 나라도산 중품은 오름세, 순천산 상품은 강보합세.
○ 약세품목 : 봉지바지락(5㎏), 깐바지락(1kg), 바지락수입, 새꼬막(고막), 굴, 홍합, 깐홍합, 동죽과 동죽살(해락)
《 약세 요인 》
- 동죽과 동죽살(해락)은 서산산이 주 반입. 설 휴무 이후 고정수요처의 한정으로 약보합세.
- 봉지바지락(5㎏)은 전량 북한산으로 설 휴무 이후 전문음식점의 수요 한정으로 반입물량 증가로 가격은 내림세.
- 깐바지락(1kg)도 삼천포산이 주반입. 반입물량 증가로 가격은 내림세
- 바지락수입(20kg 그물망)은 16톤 반입 전일대비 1톤 증가. 전량 북한산으로 반입물량 증가로 가격은 보합세
- 새꼬막(고막)은 19톤 반입 전일대비 2톤 감소. 전량 순천산이 주 반입.
전문음식점의 수요 한정으로 가격은 내림세.
- 굴은 15톤 반입 전일대비 3톤 증가. 충무, 남해, 삼천포, 고흥산이 주 반입. 설 휴무 이후 고정수요처의 한정으로 약보합세
- 홍합은 24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1톤 감소. 마산·여수산이 주 반입됨. 설날 이후 전문음식점의 수요 감소로 가격은 내림세
- 깐홍합도 여수산이 주 반입됨. 반입물량 감소로 가격은 내림세
- 동죽과 동죽살(해락)은 서산산이 주 반입. 설 휴무 이후 고정수요처의 한정으로 약보합세.
◈ 연체류 가격지수 : 97.31 전일대비 +17.61
○ 강세품목 : 물오징어, 낙지수입, 문어, 오만둥이, 쭈구미수입(중품),
《 강세 요인 》
- 물오징어는 21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10톤 증가. 울진(구룡표), 경주(감포) 거제도, 부산산이 주로 반입되었으나, 반입물량 증가에도 고정수요처의 물량확보에 따른 수요 증가로 가격은 오름세
- 낙지수입은 3톤 반입으로 전일대비 2톤 감소. 전량 중국산으로 설 휴무 이후 산지작업물량 감소 및 고정수요처의 물량확보로 수요가 증가하여 가격은 오름세
- 문어는 포항산 소문어 가격은 대폭 오름세이고 포항산 대문어 및 포항산 중문어 가격도 오름세
- 오만둥이는 마산산 생물이 주 반입되었음. 반입량 감소 및 고정수요처 물량확보로 수요가 증가하여 가격은 오름세
- 쭈꾸미수입(중품)는 중국산이 1톤 반입 전일대비 1톤 감소. 반입물량 감소 및 상품성에 따른 등급간 가격차이가 심해 중품 가격은 오름세, 상품 가격은 내림세
○ 약세품목 : 쭈꾸미(상품), 쭈꾸미수입(상품), 미더덕, 냉동오징어, 냉동낙지
《 약세 요인 》
- 쭈꾸미수입(상품)은 중국산이 1톤 반입 전일대비 1톤 감소. 반입물량 감소 및 상품성에 따른 등급간 가격차이가 심해 상품 가격은 내림세, 중품 가격은 오름세,
- 쭈꾸미(상품)는 국내산은 상품은 군산산이 주 반입, 설 연휴 이후 반입량 감소 및 전문요식업소의 수요 감소로 가격은 상품은 내림세, 중품은 약보합세
- 미덕덕은 마산산이 1톤 반입 전일대비 3톤 감소. 반입량 감소로 상품 가격은 내림세, 중품가격은 약보합세
- 냉동오징어 11톤 반입 전일대비 6톤 증가. 반입물량 증가로 가격은 약보합세
- 냉동낙지 설 이후 수입부진으로 반입물량 감소로 전량 중국산으로 7㎏상자 상품 가격은 내림세, 10㎏상자 상품 가격은 약보합세
□ 건어류 : 물량은 42톤 반입 전일대비 10톤 증가
◈ 건어류 가격지수 : 131.64 전일대비 +0.34
《 보합세 요인 》
- 참굴비 중품 가격은 내림세, 건대멸치 하품가격은 강보합세
- 건오징어, 건멸치, 건명태, 김, 미역은 보합세
○ 보합세 품목 : 참굴비, 김, 건멸치, 건명태, 건오징어, 미역
- 건오징어는 1톤 반입 전일보다 3톤 감소
- 건멸치는 10톤 반입 전일보다 3톤 증가
- 건명태는 8톤 반입 1톤 증가
- 김은 9톤 반입 전일보다 1톤 증가
- 미역은 6톤 반입 전일보다 3톤 증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