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2.12(화)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008.2.12(화)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담당부서 전산정보팀
문의 0234350314
수정일 2008-02-12 09:21













※ 우리공사에서 제공하는 가격동향 및 표준가격은 자유로이 인용 · 전재 할 수 있으나, 출처는 반드시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농산물

가격지수 : 109.6 전일대비 -1.42
《 약세 요인 》
○ 대목장이 끝난데다 주 중반으로 소비량이 적어 대부분의 품목이 내림세가 이어짐. 그러나 전일
급략세는 다소 진정되어 내림폭이 줄어 안정세로 접어듬
- 전일 상대적으로 내림폭 적었던 잎채소류가 내림세를 주도한 가운데 양념채소류, 서양채소류
뿌리채소류도 내림세
《 강세 요인 》
○ 장기간 약세가 이어졌던 일부 품목 저가로 소비가 살아나면서 오름세로 돌아섬
- 양송이의 오름세로 버섯류가, 무의 오름세로 뿌리채소류가 소폭 반등함

◈ 고구마 감자류
가격지수 : 142.61 전일대비 -1.11


◈ 잎채소류
가격지수 : 132.49 전일대비 -10.5
◇ 상추 - 내림세
- 전자경매 기준 78톤 반입되었으며,
- 적포기 57톤, 청상추 15톤, 적상추 5톤, 기타 2톤 가량 반입됨
- 대부분 경기 일원에서 시설 재배 출하되고 있으며,
-
이천 34%, 용인 12%, 광주 10%의 점유율을 보이고 잇으며
- 설 연휴 이후 가계 소비 감소와 외식 업체 등 수요 감소로 내림세 거래

◈ 열매채소류
가격지수 : 97.62 전일대비 0.27


◈ 뿌리채소류
가격지수 : 113.06 전일대비 -1.82


◈ 양념 채소류
가격지수 : 122.01 전일대비 -0.36
◇ 생고추 - 강세
- 생고추 전체 반입량은 전자경매 기준 145톤으로 평일 수준 반입
- 품종별로는 청양 50톤, 일반풋고추 49톤, 꽈리 19톤, 홍고추 12톤 가량임
- 일조량 부족으로 산지 생육이 좋지 않아 전반적으로 강세 거래되고 있으며
- 특히 청양은 생산량 많지 않아 지속적으로 강세 유지

◈ 서양 채소류
가격지수 : 74.85 전일대비 -1.7
◇ 양상추, 브로코리 - 내림세
- 양상추는 전자경매 기준 57톤 반입되었으며,
-
의령 54%, 광양 17%, 하동 15%, 합천 10%, 중국 4% 등에서 출하됨.
- 브로코리는 전자경매 기준 55톤 가량 반입되었고, 제주 79%, 중국 21%의 점유율을 보임
- 설 이후 가계 지출 부담으로 소비 감소하여 내림세 거래
-
각종 물가 상승 악재 속에
주 소비처인 납품 및 외식 업체 수요 감소하여 낮은 시세를 보이고 있음

◈ 버섯류
가격지수 : 109.7 전일대비 5.88
◇ 버섯류 - 상승세
- 전일대비 24% 감소한 169톤 반입
- 설 이후 산지 작업량 부진 및 생산량 감소로 출하량 감소
- 산지 재배면적 감소 추세
- 설 이후 반입량이 감소했을 뿐더러, 연휴 이후 식자재업체 구매 증가하여 전반적으로 오름세 형성
◇ 양송이 - 상승세
- 산지 작황부진으로 전일대비 30% 감소한 11톤 반입
- 충남 보령 52.6%, 충남 부여 32.2%, 충남 논산 9%, 경기 용인에서 2.9% 반입
- 학교 개학으로 인해 급식업체 납품 증가
- 상품 2kg 평균 11.076원으로 22% 상승


2. 수산물


가격지수 : 105.24 대비 -5.90


《 강세 요인 》
○ 국내산 상품 물량 반입 증가 및 주중 요식업체 소비량 증가로 인한 갈치, 명태수입, 쭈꾸미





가격 상승세

《 약세 요인 》
○ 국내산, 수입 반입물량 증가 및 연휴 이후 소비량이 줄어 시장내 재고량 증가로 인해 낙지수입,




물오징어, 참조기, 바지락, 가격 내림세
- 금일 반입물량 증가 및 재고량 증가로 물오징어, 수입낙지 약세
- 연휴 이후 소비수요 감소 및 상품성 감소한 참조기, 굴비 가격 하락,

◈ 생선류
가격지수 : 86.57 전일대비 +1.43
《 강세 요인 》
○ 갈치, 병어5, 수입냉장갈치10
- 갈치는 연휴로 인해 국내산 물량이 반입량이 그동안 없었고 산지 조업량이 적어 반입물량도



소량이었던 영향으로 가격이 상승.
- 병어는 전일보다 크기가 큰 상품의 물량이 반입되어 가격 강세
- 수입냉장갈치는 체장이 큰 상품 위주로 물량이 반입되었고 휴일을 지나 시장내 재고량이



소진되어 중도매인의 수요가 늘어 강세를 보임

《 약세 요인 》
○ 참조기, 가자미
- 참조기는 연휴 이후 체장이 큰 물량에 대한 수요가 줄었고 체장이 작은 물량이 반입되어 약세를 보임
- 가자미는 반입물량은 감소하였으나 전일보다 상품성이 좋은 물량이 줄어들어 가격이 약세를 보임


□ 패류(조개류 및 연체류) : 반입량 121톤 전일대비 14톤 증가
◈ 조개류 표준가격지수 : 113.33 전일대비 -8.14
◈ 연체류 가격지수 : 79.70 전일대비 -26.62

◈ 조개류
《 강세 요인 》: 설 연휴 이후 산지의 조업부진과 수입부진으로 반입물량 감소 및 고정수요처의 구매량(수요) 증가
○ 강세품목 : 동죽살(해락)
- 동죽살(해락)은 서산산과 장항산이 반입. 설 휴무 이후 고정수요처의 물량확보로 수요증가로 오름세.

○ 약세품목 : 바지락수입(20kg 그물망), 봉지바지락(5㎏), 깐바지락(1kg), 새꼬막(고막), 홍합, 깐홍합, 굴, 소라(피뿔고동), 동죽, 가무락(모시조개)

- 바지락수입(20kg 그물망)은 15톤 반입 전일대비 6톤 증가. 고정수요처의 한정 및 반입물량 증가로 가격은 내림세. 바지락수입은 전량 북한산으로 반입물량 증가로 가격은 내림세
- 북한산 봉지바지락(5㎏)은 전량 북한산으로 설 휴무 이후 전문음식점의 수요 한정으로 반입물량 증가로 가격은 내림세.
- 깐바지락(1kg)도 삼천포산이 주반입. 반입물량 증가로 가격은 오름세
- 새꼬막(고막)은 21톤 반입 전일대비 6톤 증가. 전량 순천산이 반입. 설 휴무 이후 반입물량 증가로 가격은 내림세.
- 홍합은 25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2톤 증가. 마산·여수산이 주 반입됨. 설날 이후 전문음식점의 수요 감소로 내림세 깐홍합도 내림세
- 굴은 12톤 반입 전일대비 4톤 감소. 충무, 남해, 삼천포, 고흥산이 주 반입. 설 휴무 이후 고정수요처의 한정으로 약보합세
- 소라(피뿔고동)는 순천산, 나라도이 주반입. 설 휴무 이후 고정수요처의 한정으로 나라도산 중품은 내림세, 순천산 상품은 보합세.
- 동죽은 서산산이 반입. 설 휴무 이후 고정수요처의 한정으로 약보합세.
- 가무락(모시조개)은 설 휴무 이후 고정 수요처의 한정으로 가격은 약보합세. 상품성이 양호한 남해산 상등품과 그 외 순천산 증등품이 주 반입됨.


◈ 연체류 가격지수 : 79.70 전일대비 -26.62

○ 강세품목 : 쭈구미수입, 냉동쭈구미, 쭈구미(중품), 냉동오징어, 냉동낙지, 오만둥이(상품), 문어,
- 쭈꾸미수입는 중국산이 2톤 반입되어 상품성에 따른 등급간 가격차이가 심해 상품은 오름세, 중가격은 보합세
- 냉동쭈꾸미 설 이후 수입부진으로 반입물량 감소로 가격도 오름세,
- 쭈꾸미(중품)는 국내산은 중품은 장항산 군산산이 주반입. 설날 이후 전문요식업소의 한정 수요로 중품 가격은 강보합세, 인천산 상품은 내림세
- 냉동오징어(8㎏ 팬) 설 이후 수입부진으로 반입물량 감소로 상품 가격은 오름세
- 냉동낙지 설 이후 수입부진으로 반입물량 감소로 전량 중국산으로 7㎏상자 상품 가격은 오름세, 10㎏상자 상품 가격은 보합세
- 오만둥이(상품)는 마산산, 여수산 생물이 주 반입되었음. 반입량 감소로 상품가격은 고정수요처 물량확보로 오름세, 중품가격은 고정수요처의 수요 한정으로 내림세
- 문어는 포항산 소문어가 가격은 오름세이나 포항산 대문어 및 포항산 중문어 가격은 보합세

○ 약세품목 : 물오징어, 낙지수입, 쭈꾸미(상품), 미더덕, 오만둥이(중품)
《 약세 요인 》고정수요처 한정 및 재고물량으로 가격 약보합세
- 물오징어는 11톤 반입 전일대비 1톤 감소. 상품은 구룡포(울산), 후포(울진) 부산산이 주 반입, 중품은 감포(경주)산이 주로 반입. 물량감소 및 설 휴무 이후 고정 수요처의 수요 한정으로 수요가 적어 내림세
- 낙지수입은 5톤 반입으로 전일과 같음. 전량 중국산으로 설 연휴 이후 전문요식업소의 수요 감소로 상품가격은 보합세이나 중품가격은 대폭내림세
- 쭈꾸미(상품)는 2톤 반입으로 전일과 같음. 국내산은 상품은 인천산이 주반입, 중품은 장항산 군산산이 주반입. 설 연휴 이후 전문요식업소의 수요 감소로 가격은 상품은 내림세, 중품은 강보합세
- 미덕덕은 마산산이 4톤 반입 전일대비 3톤 증가. 반입량 증가로 가격은 약보합세
- 오만둥이는 마산산, 여수산 생물이 주 반입되었음. 반입량 감소로 가격은 상품가격은 수요처 한정으로 약보합세, 중품가격은 고정수요처의 수요로 강보합세

□ 건어류 : 물량은 32톤 반입 전일대비 4톤 증가
◈ 건어류 가격지수 : 131.30 전일대비 +0.49
《 약보합세 요인 》: 설 이후 고정수요처의 수요 감소로 매기부진으로 특히 참굴비 중품 가격은 내림세, 김, 건멸치, 건명태, 건오징어, 미역은 보합세
○ 약세품목 : 참굴비, 김, 건멸치, 건명태, 건오징어, 미역
- 김은 8톤 반입 전일보다 1톤 감소
- 건멸치는 10톤 반입 전일보다 3톤 증가
- 건명태는 7톤 반입 2톤 감소
- 건오징어는 4톤 반입 전일(미 반입)보다 4톤증가
- 미역은 3톤 반입 전일보다 1톤 증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