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2.11(월)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008.2.11(월)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1. 농산물
가격지수 : 112.37 전일대비 -15.19
《 약세 요인 》
○ 설 연휴가 끝나고 개장된 첫날 설 전 급등세였던 가격이 평일수준으로 회복됨
- 설 전 제수용품 소비가 많아 상대적으로 가격이 많이 올랐던 서류, 잎채소류, 버섯류가 내림세로
돌아서 평일 수준 또는 평일보다 소폭 오름세로 거래를 마침
《 강세 요인 》
○ 대부분의 품목이 내림세인 가운데 긴 연휴동안 재고가 소진되면서 요식업소 소비가 많은 품목 위주로
오름세
- 파세리, 시금치, 배추, 알타리무 등이 오름세였으나 오름폭은 크지 않음
◈ 고구마 감자류
가격지수 : 143.72 전일대비 -27.02
◈ 잎채소류
가격지수 : 142.99 전일대비 -11.74
◇ 시금치-보합세
- 전자경매 기준 149톤 반입되었으며,
- 섬초 69톤, 육지초 9톤, 포항초 26톤, 4kg상자시금치 8톤, 단시금치 36톤 가량임
- 신안 47%, 포항 17%, 포천 15%, 무안 6%, 경기 일원 9%의 점유율을 보이고 잇으며
- 설 수요 증가 후 소비 감소하여 보합세 거래됨. 내일도 유통 업체 등 수요 감소로 약세 전망
◈ 열매채소류
가격지수 : 97.35 전일대비 -36.67
◈ 뿌리채소류
가격지수 : 114.88 전일대비 -12.41
◈ 양념 채소류
가격지수 : 122.37 전일대비 -17.27
◇ 생고추 - 강세
- 생고추 전체 반입량은 전자경매 기준 233톤가량 반입
- 품종별로는 청양 85톤, 일반풋고추 81톤, 꽈리 47톤, 홍고추 5톤 반입
- 설 연휴 휴장으로 반입량 크게 증가하였지만, 연휴 재고 소진으로 인한 주문량 증가로 강세 거래
- 내일은 설 소비 후 가계 지출 감소 등으로 약세 전망됨
◈ 서양 채소류
가격지수 : 76.55 전일대비 -19.82
◇ 피망, 파프리카 - 강세
- 피망은 전자경매 기준 71톤 반입되었으며, 청피망 40톤, 홍피망 31톤 가량임.
- 피망은 진주 44%, 광주 43%, 화성 6%, 나주 3% 등임
- 파프리카는 13톤가량 반입되었고, 빨강 6톤, 노랑 5톤, 주황 1.4톤 가량임
- 화성 39%, 진주 19%, 마산 13%, 김해 12% 등에서 출하됨
- 설 연휴 후 물량 증가 폭이 크지 않은 데다, 각급 학교 개학으로 수요 증가하여 강세 거래
- 내일 역시 시장 반입량 많지 않을 것으로 보이고,
-졸업 시즌 등으로 외식 수요 증가할 것으로 보여 강세 전망
◈ 버섯류
가격지수 : 103.82 전일대비 -58.73
◇ 버섯류 - 내림세
- 전일대비 소폭 증가한 222톤 반입
- 출하량은 명절 대목 전보다는 감소했지만, 명절 이후 소비가 부진하여 재고누적 많음
- 연휴로 인해 오늘 요식업체 및 급식업체 구매는 활발
- 가정용 소비는 부진함
◇ 느타리 - 내림세
- 전일보다 소폭 증가한 60톤 반입
- 전남 보성 24.3%, 경기 여주 21.7%, 강원 화천 19.2%, 경기 양평에서 18% 반입
- 주초 요식업체 및 마트 구매위주로 소비
- 상품 2kg 평균 6,376원으로 전일대비 29% 하락
- 설 이후 급격한 수요 감소로 설 전 평일보다도 다소 낮은 가격대 형성
2. 수산물
□ 패류(조개류 및 연체류) : 반입량 107톤
◈ 조개류
《 강세 요인 》: 설 연휴 이후 산지의 조업부진과 수입부진으로 반입물량 감소 및 고정수요처의 구매량(수요) 증가
○ 강세품목 : 동죽, 바지락수입(20kg 그물망), 봉지바지락(5㎏), 깐바지락(1kg), 새꼬막(고막), 굴, 홍합, 소라(피뿔고동)
- 동죽은 서산산이 반입. 설 휴무 이후 고정 수요처의 물량확보로 오름세.
- 북한산 봉지바지락(5㎏)은 전량 북한산으로 설날 휴무 대비한 전문음식점의 수요 증가로 오름세.
- 바지락수입(20kg 그물망)은 9톤 반입. 설휴무 이후 고정 수요처의 물량확보로 오름세. 바지락수입은 전량 북한산으로 수요증가로 오름세
- 북한산 봉지바지락(5㎏)은 전량 북한산으로 설 휴무 이후 전문음식점의 수요 증가로 오름세. 깐바지락(1kg)도 수요 증가로 오름세
해락(동죽살)
- 새꼬막(고막)은 15톤 반입. 전량 순천산이 반입. 설 휴무 이후 고정 수요처의 물량확보로 오름세.
- 굴은 16톤 반입. 충무, 삼천포, 고흥산 주 반입. 선도가 좋은 충무산 상품성이 양호하여 상품 및 중품 오름세
- 홍합은 23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8톤 증가. 마산·여수산이 주 반입됨. 설날 휴무로 전문음식점의 수요 감소로 약보합세 깐홍합도 약보합세
- 소라(피뿔고동)는 순천산, 나라도, 군산산이 주반입. 설 휴무 이후 고정 수요처의 물량확보로 오름세.
- 가무락(모시조개)은 설 휴무 이후 고정 수요처의 수요증가로 상품성이 양호한 남해산 상품가격은 강보합세, 그 외 순천산, 군산산이 주 반입.
◈ 연체류
○ 약세품목 : 물오징어, 쭈꾸미수입, 냉동쭈구미, 낙지수입, 미더덕, 오만둥이
《 약세 요인 》고정수요처 한정 및 재고물량으로 가격 약보합세
- 물오징어는 10톤 반입. 거제도, 구룡포(울산), 경주(감포)산이 주로 반입되었으나, 물량감소 및 설 휴무 이후 고정 수요처의 물량확보로 하품은 가격은 오름세, 상대적으로 상품은 수요가 적어 내림세
- 쭈꾸미수입는 중국산이 2콤 반입되어 상품성에 따른 등급간 가격차이가 심해 가격은 약보합세, 냉동쭈꾸미 가격은 내림세
- 쭈꾸미는 2톤 반입으로 전일과 같음. 국내산은 장항산이 주반입. 설날연휴로 전문요식업소의 수요 감소로 가격은 보합세
- 미덕덕은 마산산이 1톤 반입. 반입량 감소에도 고정 수요처 한정으로 일반 거래가 한산 가격은 내림세
- 오만둥이는 마산산, 여수산 생물이 주 반입되었음. 반입량 감소로 가격은 상품가격은 수요처 한정으로 약보합세, 중품가격은 고정수요처의 수요로 강보합세
- 낙지수입은 5톤 반입으로 전일대비 2톤 증가. 전량 중국산으로 반입물량 증가로 약보합세
□ 건어류 : 물량은 28톤 반입
◈ 건어류《 물량 및 가격동향 》
《 약세 요인 》: 설 이후 고정 급식업체의 수요 감소로 매기부진으로 특히 참굴비 가격은 내림세, 건멸치, 건명태, 건오징어는 약세, 김은 강보합세
《 약세 품목 》: 참굴비, 건멸치, 건명태, 건오징어
- 건멸치는 7톤 반입
- 건명태는 9톤 반입
- 건오징어는 반입량 없음
《 강보합세 요인 》: 김은 반입량 감소로 정월 대보름을 앞두고 강보합세
- 김은 9톤 반입 전일대비 6톤 감소. 반입량 감소로 가격변동은 없음 강보합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