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4.9(월)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007.4.9(월)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담당부서 전산정보팀
문의 0234350314
수정일 2007-04-09 09:57

















※ 우리공사에서 제공하는 가격동향 및 표준가격은 자유로이 인용 · 전재 할 수 있으나, 출처는 반드시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농산물

가격지수 : 111.48 전일대비 3.48

《강세 요인》
○ 주초를 맞아 전일 휴장으로 재고가 소진되어 소비량 증가

- 잎채소류, 열매 채소류, 서류 등의 수요가 많아 오름세 주도

- 봄철 벗꽃구경 등 나들이 인파 증가로 거래 활발

《약세 요인》

지난 주
가격이 많이 올랐던 품목은 가격부담으로 내림세로 반전
-
열매채소류, 버섯류 등이 출하량이 늘고 고단가로 소비가 부진해 내림세


◈ 고구마 감자류
가격지수 : 114.98 전일대비 9.46
◇ 고구마 - 오름세
- 금일 24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60% 증가. 주말 작업분 출하로 물량 증가
- 밤고구마는 여주 15톤, 진천 2톤, 음성 2톤 등 19톤 반입.
- 지난 주말 반입량 감소로 재고 부족, 중도매인 구매력 증가로 오름세
- 호박고구마는 영주 3톤, 서산 2톤, 여주 2톤 등 7톤 반입
- 영주산 12,000-27,000원, 서산산 9,000-27,500원에 거래. 주초 소비수요 증가
- 상품 평균 21,134원으로 전일대비 13% 시세 상승하면서 오름세
◇ 감자 - 보합세
- 금일 389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53% 증가. 주말 출하 지연된 작업물량 증가
- 수미종 감자는 264톤 반입. 남원 90톤, 밀양 40톤, 평창 28톤, 춘천 17톤 등
- 대형 유통업체 세일행사 종료로 주문 감소, 중하품은 위주 거래 활발로 강보합세
- 상품 평균 29,086원에 전일수준으로 거래되면서 보합세
- 제주산 대지종 감자는 금일 117톤 반입. 산지 주말 작업분 출하로 증가
- 봄철 햇감자 소비 선호로 수요 감소, 중도매인 매수세 약화
- 상품은 평균 22,789원에 전일수준으로 거래되면서 보합세

◈ 잎채소류
가격지수 : 130.34 전일대비 19.34
◇배추-오름세
- 지난 주 가격이 많이 내려 주초임에도 반입량이 저조해 오름세
- 금일 반입량은 518톤으로 전일대비 21.2% 증가하였으며 해남 86%, 진도 8%, 무안 6%에서 출하됨
- 가격은 10kg그물망 기준 상품 2,984원, 보통 2,421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9.3%, 20.5% 상승함
- 주초 납품 수요가 몰리면서 고가품보다는 중, 하품의 내림세가 두드러짐
◇ 상추 - 약세
- 반입량은 감소하였으며, 주초 수요가 감소로 시세는 내림세에 거래됨.
- 전주 지속적인 강세를 보였으며, 표준가격을 상회하는 가격을 보이고 있는 등 최근 강세임.
- 반입량은 96톤(전자경매 기준)으로 전일보다 7.5%가량 감소하였으며,
- 품종별로는 적포기 75톤, 청상추 15톤, 적상추 3톤 가량임.
- 적포기(4kg,상)는 전일보다 19.4% 하락한 9,500원, 청상추는 21.6% 하락한 9,600원에 거래됨.
◇ 시금치 - 오름세
- 주초 급식업체 및 유통업체의 수요 증가로 오름세에 거래됨.
- 반입량은 전자경매 기준 110톤이며, 상자시금치 20톤, 단시금치 77톤, 포항초 13톤임.
- 상자시금치(4kg,상) 12.2% 상승한 5,700원, 단 시금치(400g단,상)는 2.2% 하락한 745원에 거래됨.


◈ 열매채소류
가격지수 : 138.42 전일대비 -4
◇오이-내림세
- 지난주 기온이 예년 수준으로 회복된데다 주초를 맞아 이틀치 물량이 출하되어 내림세
- 금일 반입량은 593톤으로 전일대비 72% 증가하였으며 백다다기 428톤, 취청 160톤, 기타 5톤이


출하됨
- 백다다기는 57%, 취청은 134% 증가함
- 백다다기는 상주 18.5%, 천안 16.4%, 부여 11.3%에서, 취청은 구례 35.8%, 순천 24.6%,


보성 11%에서 출하됨
- 가격은 상품기준 백다다기 100개 30,274원, 취청 31,503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9.7%, 13.8% 하락함

◈ 뿌리채소류
가격지수 : 80.24 전일대비 -2.61
◇무-오름세
- 주초를 맞아 반입량이 증가한데다 지난주 가격이 많이 올라 가격부담으로 내림세
- 금일 반입량은 661톤으로 전일대비 14.5% 증가하였으며 서귀포 87%, 제주시 5%, 영암군 3%에서


출하됨
- 육지산은 4대가 출하되어 1,600~1,800원에, 제주산은 3,500~6,500원에 거래됨
- 제주산은 전일대비 등급별로 100~200원 정도 하락해 하락폭은 크지 않았음.


◈ 양념 채소류
가격지수 : 81.31 전일대비 0.08
◇ 생고추 - 강보합세
- 주말 재고 물량 소진과 주초 물량 확보 노력에 힘입어 강세를 보임.
- 일반 풋고추와 꽈리고추는 반입량이 큰 폭으로 증가하여 소폭 내림세를 보임.
- 금일 반입량은 199톤(전자경매기준)이며,
-
품종별로는 청양고추 75톤, 일반풋고추 73톤, 꽈리고추 29톤, 홍고추 15톤 가량임.
- 청양고추(10kg,상)는 9.4% 오른 44,500원, 꽈리고추(4kg,상)는 2.9% 하락한 23,000원에 거래됨.

◇ 양파 - 약보합세
- 금일 1,107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3% 감소. 주초 중도매인 매수세 증가
- 제주 843톤, 무안 78톤, 고흥 68톤, 함평 10톤, 부안 9톤 등 반입
- 조생양파 출하지가 무안, 고흥, 부안 등으로 점차 확대되면서 상품성 향상
- 금일 상품 평균 414원으로 전일대비 7% 시세 상승한 약보합세 거래
- 수입양파는 중국산 23톤 반입, 중국산 18kg 3,200-3,700원 거래. 보합세
◇ 대파 - 내림세
- 전일대비 33% 증가한 335톤 반입. 김해, 부산 등 출하지역 확대로 증가
- 전남 진도산 201톤, 신안산 85톤, 영광 13톤, 부산 13톤, 김해 5톤 등 반입
- 주말 산지 출하작업 지연된 물량 반입으로 증가. 대파 산지 확대로 출하량 증가
- 상품 평균 500원으로 전일대비 14% 시세 하락하면서 내림세 거래
◇ 쪽파 - 오름세
- 금일 37톤 반입(전일대비 9% 감소). 제주산 깐쪽파 반입량 감소, 육지산 상품성 향상
- 흙쪽파는 예산 7톤, 아산 3톤, 당진 1톤 등 반입. 주초임에도 상품성 떨어져
- 거래가 부진. 상품 평균 1,100원으로 전일수준으로 거래
- 깐쪽파는 제주 6톤, 당진 6톤, 서천 3톤, 예산 2톤, 보령 1톤 등 반입
- 제주산 출하 줄고, 육지산 상품성 향상으로 중도매인 구매력 증가
- 상품 평균 19,326원으로 전일대비 21% 시세 상승하면서 오름세 거래



◈ 서양 채소류
가격지수 : 149.28 전일대비 13.47

◇ 피망, 파프리카 - 강세
- 반입량은 평일 수준을 보였으며, 주초 물량 확보 노력에 힘입어 오름세에 거래됨.
- 전자경매 기준 피망은 전일보다 10.3% 감소한 25톤, 파프리카는 56.1% 증가한 17톤가량 반입됨.
- 청피망(10kg,상)은 전일보다 2,000원 상승한 34,000원, 홍피망은 15,000원 상승한 93,000원,
- 빨강파프리카(5kg,상)는 전일보다 2,000원 오른 28,000원, 노랑파프리카는
26,000원에 거래됨.
◇ 양상추 - 보합세
- 금일 반입량은 전일보다 21.9% 증가한 62톤이며, 시세는 보합세를 보여 10,500원에 거래됨.
- 대부분 서양채소류는 전주말 강세를 이어갔으며,
-
파세리는 산지 작황이 좋지 않아 물량이 감소하여 상승 폭이 컸음.
- 브로코리는 20,500원, 셀러리 14,000원, 케일은 12,500원, 파세리는 14,000원선에서 거래됨.

◈ 버섯류
가격지수 : 93.27 전일대비 -1.43


◇ 버섯류 보합세
- 금일 버섯 반입량은 213톤으로 전일대비 20% 증가 반입
- 산지 작황 호전으로 산지 출하량이 점차적으로 증가 추세
- 주말장 장세 상승과 매기활성으로 재고누적이 적고 소비가 활발함

◇ 느타리 보합세
- 금일 46톤이 반입되어 전일대비 22% 증가 반입
- 경기지역의 참타리 재배 농가들의 마트 납품이 줄어들면서 가락시장 출하량 증가추세
- 강원도 및 충청도 지역의 균상재배 농가 또한 봄철 재배물량 증가로 출하 증가
- 한식과 봄나들이로 재고량이 감소하였고, 수요가 꾸준해 금일 반입량이 증가했음에도 상품 2kg 평균 가격이 8,230원으로 보합세 유지


2. 수산물
가격지수 : 100.47 전일대비 +2.25
《 강세 요인 》
○ 주초 고정 수요처의 물량 확보량 증가
- 고정 급식업소의 냉동 및 수입물량 납품 수요 증가
- 백화점 등 대형 유통업체의 세일행사에 따른 구매량 증가
○ 지역 해산물 축제로 지역 특산물 반입 저조로 강세
○ 월명기에 따른 어획부진으로 국내산 생물 가격 상승
《 약세 요인 》
○ 반입량은 증가 추세이나 생물 반입 감소로 저가의
냉동물량의 거래량 증가
○ 급식 수요 증가로
수입산 거래량 증가

◈ 생선류
가격지수 : 83.84 전일대비 +3.79
《 강세 요인 》
○ 고등어, 갈치,
삼치, 병어는 오름세

- 생물고등어는 부산산으로 월명기에 따른 조업부진으로 주말 반입은 없었으나 저장 물량이 소량 반입되어 높은 가격을 형성하였고 대체 수요품인 냉동고등어는 급식 수요증가로 강세 지속
- 갈치는 국내산은 제주산 연승조업 물량의 소량 반입으로 대품은 가격 높아 전문 요식업소에서 주 소비되어 오름세였고 중품은 주말 가격이 높자 소비가 부진하여 내림세.
일본산은 망갈치 및 채낚기는 반입량 증가에도 상품성이 좋고 전문 요식업체 수요 증가로 오름세
- 삼치는 부산, 통영산 반입량 감소에도 상품성이 좋아 대품은 내림세, 중소품은 오름세
- 병어는 부산,목포산으로 대품의 반입으로 오름세
《 약세 요인 》
○ 수입생태 내림세
- 수입 생태는 10톤 반입되어 주말대비 5톤 증가, 일본산으로 주말 가격이 높자 수입물량도 증가 출하, 선도는 좋은 편이나 수요처가 전문 요식업소로 한정되어 일반 거래는 한산
- 활어류는 주초를 맞아 매기부진으로 약세

◈ 조개류 113.32 전일대비 -5.82
《 강세 요인 》
○ 바지락, 홍합, 모시조개 강세
- 바지락은 9톤 반입되어 주말대비 2톤 감소. 겉망바지락은 국내산의 반입은 없었고 수입산이 반입되었으나 상품성 저하로 내림세였고, 봉지바지락은 전량 수입산을 국내에서 포장한 것이나 주초 고정 수요처의 물량 확보로 오름세
- 홍합은 마산, 여수산이 24톤 반입되어 주말대비 6톤 증가. 주말 반입물량 소진으로
당일 반입이 증가하였으나 수요증가로 강세
- 모시조개는 포항, 남해산과
중국수입산이 소량 반입으로 고정 수요처인 전문 요식업소 의 물량 확보로 강세
《 약세 요인 》
○ 굴, 새꼬막, 대합, 키조개 약세
- 굴은 9톤 반입되어 주말대비 2톤 증가. 통영(충무), 사천(삼천포), 남해산이 주반입 되었고 주초 장세를 맞아 고정 수요처의 물량 확보로 상품은 오름세이나 반입비중이 높은 중품은 내림세
- 새꼬막은 18톤 반입되어 주말대비 3톤 증가, 순천산으로 반입량은 꾸준하나 주말 미판매분 증가에 따른 매기부진으로 내림세.
- 대합은 국내산이 소량 반입되나 중국 수입산 반입 증가로 약세였고 수요처 한정으로 매기는 부진
- 키조개는 상품성이 좋은 것만 선별 출하되어 거래량이 증가 추세였고 수요처도 조개구이 전문점 등으로 한정되어 일반 소비는 적은 편

◈ 연체류 102.66 전일대비
-4.11
《 강세 요인 》
○ 주꾸미와 오만둥이는 오름세
- 미더덕과 오만둥이는 마산,여수산 생물이 반입됨. 산지의 미더덕과 오만둥이 축제로 반입이 주말에 이어 오늘도 감소하여 오름세에 거래
《 약세 요인 》
○ 생물오징어, 수입낙지,주꾸미, 우렁쉥이 내림세
- 생물오징어는 12톤 반입되어 주말대비 4톤 증가. 포항, 울진, 부산산이 주반입 되었음. 어황 호조로 채낙기 물량의 반입 증가로 그물 오징어도 주말대비 내림세였으나주초 고정 수요처의 물량 확보로 거래량은 증가, 냉동 물량의 거래도 증가 추세
- 수입낙지는 10톤 반입되어 주말대비 5톤 증가. 주말에 이어 당일 반입량도 평소대비 2배 이상의 증가하여 낮은 가격을 형성하였으나 상품성이 좋고 주초 물량 확보로 거래는 활발
- 우렁쉥이는 통영산으로 반입량은 증가하였으나 씨알이 커지고 선도가 좋아 수요는 증가추세였으나 반입량 증가로 약세
- 주꾸미는 3톤 반입되어 주말대비 1톤 감소. 국내산은 서천, 군산산과 중국 수입산이 주반입 되었음. 수입산은 재고물량이 누적되었으나 상품성이 좋아 국내산과 가격차이가 없이 낮은 가격을 형성, 주초 요식업소 및 유통업체의 물량 확보에도 반입 증가로 거래량은 증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