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12.26(수)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007.12.26(수)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 우리공사에서 제공하는 가격동향 및 표준가격은 자유로이 인용 · 전재 할 수 있으나, 출처는 반드시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농산물
가격지수 : 116.39 전일대비 -0.92
《 강세 요인 》
○ 열매, 양념, 서양채소류, 버섯류는 전일 재고소진, 금일 중도매인 구매력 증가로 강세
- 단호박, 붉은고추, 쪽파는 산지 출하량 줄면서 재고물량 확보위한 매수세 늘면서 시세상승
- 양상추, 치커리, 양송이, 생표고버섯은 외식업체 및 납품업체 주문 증가로 오름세
《 약세 요인 》
○ 잎, 뿌리 채소류와 서류는 반입량 증가와 전일 판매부진으로 재고 늘면서 약세
- 배추, 시금치, 무, 당근은 전일 재고 증가로 중도매인 매수세 약화되면서 시세하락
- 고구마는 산지출하량 증가, 감자는 판매부진으로 재고늘고 납품업체 주문 감소로 내림세
◈ 고구마 감자류
가격지수 : 119.87 전일대비 -21.63
◇ 고구마 - 약보합세
- 금일 76톤 출하되면서 전일대비 13% 반입량 증가.
- 고구마는 여주 49%, 논산 15%, 익산 14%, 당진 6% 등 반입.
- 밤고구마는 여주 1,000-19,000원, 익산 2,500-17,000원,
- 호박고구마는 당진 2,000-26,000원, 여주 4,500-21,000원
- 전일 성탄절 휴일 수요 증가로 재고 소진되면서 중도매인 구매력 증가
- 상품성 좋은 당진산 호박고구마 위주로 일반 소매상 주문 증가
- 금일 상품 평균 14,412원으로 전일대비 2% 상승하면서 약보합세
◇ 감자 - 내림세
- 금일 190톤 출하되면서 전일대비 17% 반입량 감소.
- 수미종 감자는 평창 16%, 인제 16%, 성남 12%, 강릉 10% 등 반입
- 평창 2,000-26,000원, 인제 3,500-26,000원, 강릉 3,000-25,000원.
- 각급학교 겨울방학 시작으로 급식수요 감소하면서 납품업체 주문 감소
- 전일 성탄절 휴일 끝나고 외식업체 주문 감소하면서 매수세 약화
- 금일 중품 평균 13,924원으로 전일대비 20% 하락하면서 내림세
◈ 잎채소류
가격지수 : 115.37 전일대비 -3.43
◇ 배추 - 내림세
- 금일 484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46% 증가.
- 전남 해남 55%, 무안 11%, 영암 8%, 전북 고창 5%, 신안 5% 등 비중 차지
- 전남 해남, 고창, 부안 등에서 김장배추 출하 증가. 전일 휴일로 김치공장 주문
- 줄면서 재고 증가하여 중도매인 구매력 저하. 해남산 월동배추가 소량 출하됨.
- 10kg 상품 평균 4,760원으로 전일대비 12% 시세 하락하면서 내림세
◈ 열매채소류
가격지수 : 106.65 전일대비 1.63
◇ 단호박 - 오름세
- 금일 36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18% 반입량 감소.
- 서울지역 36%, 경기 17%, 전남 13%, 경북 6%, 수입산 15% 등 반입됨.
- 서울, 경기지역 위주로 출하됨. 국내산 물량 줄고 시세영향으로 수입산 증가
- 연말연시 각종 행사를 앞두고 외식업체 및 납품업체 주문 증가
- 8kg 상품 평균 16,800원으로 전일대비 14% 상승하면서 오름세 거래
◈ 뿌리채소류
가격지수 : 181.61 전일대비 -17.51
◇ 무 - 내림세
- 금일 667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31% 증가.
- 전북 고창 44%, 제주 17%, 전남 영암 16%, 나주 9%, 전북 부안 5% 등 반입.
- 날씨가 따뜻해 산지 출하작업 활발하면서 영암, 고창, 부안 등 육지무 출하 증가
- 전일 휴일로 판매부진하여 재고 늘었고 제주산 세척무 상품성 떨어져 시세하락
- 18kg 상품 평균 10,642원으로 전일대비 12% 하락하면서 내림세
◈ 양념 채소류
가격지수 : 129.16 전일대비 3.04
◇ 양파 - 보합세
- 금일 569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12% 반입량 증가.
- 무안 44%, 함평 19%, 해남 9%, 영광 7%, 영천 6% 등 차지함
- 무안산 kg당 200-600원, 함평 260-571원, 해남 394-583원 거래.
- 연말연시 각종 송년행사 시즌으로 수요 기대심리로 산지 출하량 증가
- 징검다리 연휴(성탄절)이후 납품업체 및 소매상 주문 소폭 증가
- 금일 상품 평균 518원으로 전일대비 1% 하락하면서 보합세 거래
◇ 대파 - 약보합세
- 금일 227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19% 반입량 감소.
- 진도 62%, 신안 24%, 영광 10%, 부안 4% 등 반입
- 진도 1,000-1,300원, 신안 1,000-1,620원, 영광 1,000-1,500원
- 동절기 대파 주산지가 남부지방으로 완전 교체되면서 진도산 위주로 거래
- 전일 시세영향으로 신안, 영광지역 물량 감소. 주중 급식 및 납품업체 주문 감소
- 금일 상품 평균 1,368원으로 전일대비 2% 하락하면서 약보합세 거래
◈ 서양 채소류
가격지수 : 74.6 전일대비 2.51
◇ 양상추 - 오름세
- 금일 56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27% 감소.
- 주출하지는 경남 56%, 전북 25%, 전남 11%, 충남 5% 등 반입됨
- 경남산 2,500-10,000원, 전북산 3,000-8,000원, 전남산 3,000-6,000원
- 연말 외식업체 및 중소형 유통업체 주문 증가. 재고 확보위한 매수세 증가
- 금일 상품 평균 9,000원으로 전일대비 20% 상승하면서 오름세 거래
◈ 버섯류
가격지수 : 84.71 전일대비 3.3
◇ 버섯류 - 강보합세
- 전일대비 6% 감소한 181톤 반입
- 전일 성탄절 휴일로 인해 산지 작업 부진으로 출하량 감소
- 연말 버섯류 소비는 활발한 편이며, 연말 모임 증가로 요식업체 위주로 구매 증가세
◇ 양송이 - 오름세
- 전일대비 25% 감소한 11톤 반입
- 산지 작황은 호전되었으나, 전일 휴무로 작업량이 줄어, 큰 폭 감소
- 충남 부여 41%, 보령 40%, 논산 10%, 홍성에서 4.5% 반입
- 외식업체 구매도 증가하고, 특히 대형고깃집 위주로 매기 활발
- 상품 2kg 평균 11,500원으로 전일대비 22% 상승
2. 수산물
가격지수 : 111.88 전일대비 -0.77
《 강세 요인 》
○ 상품성이 우수한 병어, 대구, 수입주꾸미, 제철 수요 증가한 감숭어 오름세
《 약세 요인 》
○ 전일 연휴로 시장내 재고량 감소하였으나 꾸준히 반입된 물량과 주중 소비 줄어 약세
- 주중 소비부진 기대로 요식업체 구매량 줄어든 수입낙지, 수입바지락 내림세
- 반입물량 증가한 갈치, 일본산 생태, 상품성 부진한 새꼬막 하락세
◈ 생선류
가격지수 : 81.65 전일대비 +0.26
《 강세 요인 》
○ 수입고등어, 일본산 갈치, 병어, 감숭어, 대구
- 고등어는 월명기로 대형선망 조업이 중단되어 반입량은 전일대비 27톤 감소하였고 일본산 수입고등어 위주로 거래되었음. 일본산 고등어는 국내산 반입감소에 따른 수요 늘어 소폭의 오름세를 보임.
- 일본산 갈치는 전일 연휴로 외식업체 소비량이 늘어나면서 시장내 재고 감소하였고 제주산 갈치 출하도 대형마트에 집중되면서 출하량이 줄어 오름세를 보임
- 병어는 부산, 삼천포산이 거래되지 않고 목포산만 거래되었음. 10kg 상자 위주로 거래되었으며 대형어는 상품성 우수로 강세를 보였으나 중소형어는 부산산에 비해 체장이 작아 내림세에 거래
- 감숭어는 여수산이 거래되었으며 제철 수요 증가로 산지 소비량이 늘어나면서 시장 반입량이 적어 강세에 거래
- 대구는 보령, 방어진, 거제도산이 거래되었으며 조업호조로 반입량이 전일대비 5톤 증가하였음. 반입량 늘어났으나 거제도산이 선도가 우수하여 1kg단위 시세 상승을 주도하였으며 보령산은 체장이 크고 전일 연휴로 소비량 늘어 오름세를 보임
《 약세 요인 》
○ 갈치, 생태, 삼치, 가자미
- 갈치는 제주 채낚기 조업이 꾸준함을 보이는 가운데 전일 크리스마스 연휴로 출하비중이 대형마트에 집중되면서 출하량이 감소하여 반입물량이 전일대비 3톤 줄었음. 반입량이 줄어들면서 상품은 오름세를 보였으나 중소형어는 선도가 부진하여 약세
- 생태는 일본산 반입량이 2톤 증가하였고 기온상승에 따른 재고관리 어려움과 타 생선류 반입증가에 따른 소비부진으로 하락세.
- 삼치는 통영, 부산산이 주로 거래되었고 냉동삼치는 마산산이 주로 거래됨. 냉동물량 반입이 늘어나면서 총 반입량은 전일대비 4톤 증가하였고 상품성이 우수한 제주도산이 거래되지 않아 상품이 내림세
- 가자미는 인천, 목포, 구룡포산이 거래되었으며 사리철로 어획량 증가하였으나 가락시장 경락가는 다소 낮게 형성되면서 출하량은 증가하지 않았음. 상품성이 떨어지는 물량위주로 거래되어 약세
◈조개류 86.77 전일대비 +2.85
《 강세 요인 》
○ 소라 강세
- 소라는 군산, 서천산이 주반입되었으나 반입량이 소량이고 상품성이 좋아 전문 요식업소의 물량확보로 강보합세
《 약세 요인 》
.○ 바지락, 굴, 홍합, 새고막, 동죽, 해락, 가무락 약세
- 바지락은 18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1톤 감소. 국내산의 반입은 없었고 전량 북한 수입산만 거래되었음. 반입량 감소와 연말 임에도 살품성이 좋은 상품은 오름세이나, 반입 비중이 많은 중품이하는 내림세. 전문 요식업소의 구매량도 감소
- 굴은 22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2톤 감소. 생식용으로 소비가 많은 잔굴은 고흥산, 요식업소의 조리용으로 소비가 많은 중굴은 통영산이 주반입되었으나 잔굴은 반입량 감소에도 매기부진으로 내림폭이 컸고, 중굴은 반입량 감소에도 전문 요식업소의 연말 소비로 가격은 약보합세였으나 상품성은 좋은 편. 서해안 기름유출에 따른 소비기피로 전반적인 매기는 부진하였음
- 홍합은 26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4톤 감소하였고 여수산이 주반입되었음. 다듬이 물량은 17,000원에 고정가격에 거래되었고, 전문 요식업체의 수요가 많은 일반물량도 씨알이 크고 선도가 얀호한 중품은 보합세였으나 잔품은 상품성이 낮아 내림세., 연말 수요로 고정 수요처인 요식업소의 소비는 꾸준하였음
새꼬막은 19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3톤 감소. 순천산으로 전일 가격 상승에 다른 가격부담으로 내림세에 거래되었으나 평소에 비해서는 오름세. 연말 가정수요 증가와 전문, 요식업체와 급식 납품업체의 구매량 증가
-동죽과 해락은 서산산으로 상품성은 낮은 편이었으나 고정 수요처인 요식업소외에 일반 수요는 한산하여 내림세
- 가무락은 북한산이 소량 반입되었음, 선도부진에 따른 매기부진으로 내림세
◈ 연체류 84.78 전일대비 -1.79
《강세 요인 》
○ 생물오징어, 주꾸미, 문어, 미더덕 강세
- 생물오징어는 22톤 반입으로 전일대비 4톤 증가. 출하지역이 동해안 울진, 포항, 경주(감포), 부산산으로 채낙기 물량 중 체장이 잘은 물량의 반입이 증가하였고 부산산은 트롤물량과 채낚기 물량의 반입도 증가. 체장이 큰 채낚기 상등품은 소량 반입과 거래증가로 오름세, 중품은 대형유통업체의 소비증가로 강보합세, 그물오징어와 잔 채낚기 물량은 재래시장의 수요가 많았고 내림세
- 주꾸미는 국내산의 반입은 없었고 수입산만 2톤 반입됨. 상품성은 좋은 편으로 연말수요 증가로 오름세
- 문어는 통영, 군산산이 중.소문어 위주로 소량 반입되었으나 연말 수요 증가로 오름세
- 미더덕은 냉동물량이 주반입되었음. 반입량 감소와 고정수요처의 물량 확보로 강보합세
《약세 요인 》
○ 수입낙지, 오만둥이. 생물오징어(그물) 약세
- 수입낙지는 5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2톤 감소, 선도가 좋고 크기별로 고르게 반입되었으나 매기부진으로 내림세였고 주소비처는 전문 요식업소였음
- 오만둥이는 마산산 생물이 주반입되었으나 가격 형성이 낮고 매기부진하였으나 미더덕 가격이 높게 형성되어 대체소비로 거래가 늘어 약보합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