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8.14(화)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007.8.14(화)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 우리공사에서 제공하는 가격동향 및 표준가격은 자유로이 인용 · 전재 할 수 있으나, 출처는 반드시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농산물
가격지수 : 99.23 전일대비 4.99
《 강세 요인 》
○ 잎, 열매, 양념, 서양 채소류와 버섯류는 우천으로 반입량 감소, 전일 재고소진으로 오름세
- 상추, 깻잎, 오이, 쥬키니호박은 경기지역 우천으로 출하작업 부진하여 반입량 감소
- 풋고추, 깐쪽파, 양상추, 청피망, 느타리버섯 등은 납품업체 주문증가로 시세상승
《 약세 요인 》
○ 뿌리 채소류와 서류는 상품성 저하로 판매부진, 전일 재고증가로 내림세
- 무는 강원 태백, 정선, 평창, 영월 등에서 출하량 증가, 소비시장 우천으로 판매부진 시세하락
- 고구마, 감자는 무더위로 전일 재고증가하면서 중도매인 구매력 저하로 거래부진
◈ 고구마 감자류
가격지수 : 123.91 전일대비 -3.35
◇ 고구마 - 보합세
- 금일 69톤 출하되면서 전일대비 34% 반입량 감소.
- 고구마는 여주 59%, 익산 29%, 이천 12% 등 반입.
- 밤고구마는 여주 2,000-22,500원, 익산 2,000-21,000원,
- 이천 1,000-21,000원, 논산 2,000-14,500원 거래
- 국지성 강우로 경기지역 출하작업 부진하면서 상품성 저하 물량 증가
- 금일 상품 평균 16,539원으로 전일대비 1% 시세 상승하면서 보합세 거래
◇ 감자 - 보합세
- 금일 232톤 출하되면서 전일대비 14% 증가.
- 수미종 감자는 평창 42%, 강릉 11%, 고성 6%, 성남 6%, 홍천 5% 등 반입
- 평창 2,000-24,000원, 강릉 2,000-19,000원, 고성 3,500-24,000원 거래.
- 산지 기상호전으로 강원지역 출하량 증가. 소비시장 우천으로 판매부진
- 금일 상품 평균 17,448원으로 전일대비 1% 시세 상승하면서 보합세
◈ 잎채소류
가격지수 : 115.88 전일대비 13.34
◈ 열매채소류
가격지수 : 122.3 전일대비 6.93
◈ 뿌리채소류
가격지수 : 105.62 전일대비 -9.68
◈ 양념 채소류
가격지수 : 85.81 전일대비 3.25
◇ 생고추 - 오름세(청양-내림세)
- 말복 수요 증가로 상승세였느나, 청양은 반입물량이 어제에 이어 많아 하락세
- 생고추 전체 반입량은 전일보다 7.8% 증가한 197톤(전자경매기준)가량 반입
- 품종별로는 청양 75톤, 일반풋고추 52톤, 꽈리 26톤, 홍고추 34톤 반입
- 청양 고추는 강원 인제(45%), 춘천(19%), 홍천(8%), 경북 예천(11%)에서 출하됨
- 청양(10kg 기준) 전체 평균 가격은 8,862원으로 전일보다 20% 하락
- 익일에도 소비가 원활하지 못해 재고 미소진 등으로 약세가 이어질 전망
- 일반 풋고추는 홍천(26%), 춘천(24%), 인제(22%), 양구(4%) 등에서 출하되며
- 일반 풋고추(10kg 기준) 전체 평균가는 22,584원으로 전일보다 65% 상승
- 일반 풋고추는 금일보다는 낮겠지만 물량이 많지 않아 강세 전망
- 꽈리 고추는 충남 당진(45%), 예산(41%), 홍천(3%) 등에서 출하
- 꽈리(4kg 기준) 전체 평균 가격은 9,953원으로 전일보다 9% 상승
- 충청도 지역의 비로 물량 감소한 가운데 소비는 원활하여 익일에도 오름세 전망
◇ 양파 - 보합세
- 금일 695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7% 증가.
- 무안 52%, 함평 16%, 함양 6%, 해남 4%, 청도 4% 등 차지함
- 무안산 kg당 163-623원, 함평 254-600원, 함양 160-475원 거래.
- 경상지역 기상 호전되면서 산지출하 증가. 소매상 주문 감소로 매수세 약화
- 금일 상품 평균 420원으로 전일수준 보합세 거래
◇ 대파 - 오름세
- 금일 179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13% 증가.
- 강원 평창 23%, 경기 이천 17%, 안성 9%, 여주 8%, 강릉 4% 등 반입
- 평창 560-980원, 이천 350-1,120원, 안성 580-1,180원, 여주 400-970원 거래
- 전일 시세 영향으로 강원 및 경기지역 출하량 증가. 납품업체 주문 감소
- 금일 상품 평균 880원으로 전일대비 32% 시세 하락하면서 내림세 거래
◈ 서양 채소류
가격지수 : 124.11 전일대비 33.57
◇ 피망, 파프리카 - 오름세
- 금일 피망은 강원도 출하량이 증가하여 전자경매 기준 전일보다 11% 증가한 32톤 반입
- 청피망 27톤, 홍피망 6톤이며 강원 인제(41%), 춘천(14%), 평창(7%), 홍천(5%) 등에서 출하됨
- 청피망 전체 평균가는 10,720원으로 전일보다 50.5% 상승함
- 익일 역시 반입량이 많지 않을 것으로 보여 강세 전망
- 파프리카는 전일 보다 35.5% 증가한 21톤가량 반입됨.
- 품종별로는 빨강 13톤, 노랑 6톤, 주황 2톤가량이며
- 출하 지역은 강원 춘천(13%), 횡성(5%), 경기 화성(7%), 경남 함양(9%) 등임
- 빨강파프리카는 6,550원, 노랑 8,170원, 주황 11,980원으로 전일보다 상승
- 금일 피망의 원활한 소비가 파프리카 소비에도 영향을 미쳐 강세.
- 익일에도 잦은 비로 물량이 많지 않을 것으로 보여 강세가 전망됨
◈ 버섯류
가격지수 : 75.53 전일대비 4
◇ 버섯류 - 상승세
- 전일대비 10% 감소한 172톤 반입
- 내일 광복절 휴일을 앞두고 가족단위 외식 수요를 대비한 요식업체 수요 증가
- 납품 활발로 중도매인 재고량 감소
◇ 표고 - 상승세
- 잦은 우천과 일교차로 인한 표고 생육부진으로 전일대비 3%가 감소한 19톤 반입
- 고품질 출하가 많은 충청도 지역의 물량이 금일 한시적으로 반입량 감소
- 경북 문경과 충북 영동의 출하가 꾸준한 가운데, 강원 고성 및 경기 양평 지역등의 출하 증가세 두드러짐
- 대형마트 및 백화점 세일로 인해 중도매인 납품량 증가
- 상품 4kg 평균 36,138원으로 전일대비 8% 상승
2. 수산물
가격지수 : 100.43 전일대비 -0.66
《 강세 요인 》
○ 산지 우천으로 출하량 감소한 고등어, 문어, 새꼬막 강세
《 약세 요인 》
○ 주초 요식업체 매수세 마무리와 우천으로 소비수요 둔화되며 시장내 재고 증가
- 생태, 바지락은 산지 출하량 증가하면 내림세에 거래
- 강세를 나타냈던 홍합, 갈치는 소비 부진으로 재고 증가하며 약세
◈ 생선류
가격지수 : 83.03 전일대비 +0.65
《 강세 요인 》
○ 고등어, 냉동고등어, 일본산 갈치, 삼치 강세
- 고등어는 열대성 저기압 영향으로 대형선망 조업 부진하여 생물 출하량 감소함. 일본 및 냉동고등어 반입 늘어났으며 생물고등어는 반입량 부족으로 중품을 중심으로 오름세
- 냉동고등어는 생물고등어 반입량 저조와 상품성이 떨어지면서 대체수요가 늘어 강세
- 일본산 갈치는 국내산 출하량이 감소하였고 익일 광복절 휴무에 따른 소비 증가 기대감으로 상승세
- 삼치는 조업여건 악화로 여수, 부산산 출하량이 크게 감소하면서 강세를 형성함
《 약세 요인 》
○ 갈치, 생태, 대구, 아귀 약세
- 제주산 채낚기 갈치 반입량이 크게 감소한 가운데 거문도 및 일본산 생물갈치 반입량 증가하였음. 제주산 갈치는 체장이 작아 하락세를 주도하였고 그나마 거문도산이 상품성이 양호하여 하락폭을 줄였음.
- 최근 강세를 나타냈던 생태는 일본산 반입량이 4톤 늘어나면서 하락세에 거래. 상품성이 양호한 물량은 보합세를 보였으나 중품은 출하량 증가로 하락세
- 대구는 출하량 줄어들었으나 먼바다 조업이 어려운 기상여건으로 중∙소형어 위주로 어획되어 하락세
- 아귀는 목포산 반입량 증가하고 선도가 떨어지면서 내림세
◈ 조개류
가격지수 : 124.49 전일대비 -2.90
《 강세 요인 》
○ 굴, 새꼬막, 겉소라, 깐바지락 강세
- 굴은 시세하락으로 소비량이 다소 회복된 가운데 통영산 반입량은 전일대비 1톤 줄어들면서 오름세에 거래
- 새꼬막은 산지 기상여건 악화로 순천산 반입량이 1톤 감소하였고 익일 광복절 연휴로 소비량 증가 기대감은 커져 강세 형성
- 깐바지락은 삼천포, 여수산 출하량이 크게 줄어들어 오름세를 나타냈고, 겉소라는 영광산 상품성 우수로 상승세에 거래
《 약세 요인 》
○ 바지락, 봉지바지락, 홍합 약세
- 전일 강세를 나타냈던 바지락은 반입량이 3톤 증가하였고 소비부진으로 시장내 재고는 늘어 하락세에 거래
- 봉지바지락은 최근 시세 상승 여파로 시장내 재고량이 증가하면서 내림세
- 오름세에 거래되었던 홍합은 여수, 마산산 출하량이 3톤 가량 늘어나 하락세를 나타냄
◈ 연체류
가격지수 : 130.00전일대비 -3.29
《 강세 요인 》
○ 문어, 수입낙지 강세
- 포항산 문어는 익일 광복절 연휴로 산지 주문량이 증가하면서 출하량이 크게 줄어들어 강세에 거래
- 수입낙지는 중국산이 소량 반입되었고 대체제인 일본산이 반입되지 않아 오름세에 거래. 스티로폼 상자는 상품성 우수로 38,000원 이상에서 거래되었으나, 망 포장 낙지는 선도 부진으로 22,000원에 낙찰됨.
《 약세 요인 》
○ 물오징어, 오만둥이, 미더덕, 산낙지
- 물오징어는 호우주의보 발령으로 안흥산 출하량이 크게 줄어들었으나 체장이 작은 중∙하품 위주로 거래되어 하락세
- 강세를 보였던 오만둥이는 주초 요식업체 매수세가 마무리되고 여수, 마산산 반입량은 늘어 내림세에 거래
- 미더덕은 출하량이 전일 수준을 나타내었으나 단가 상승에 따른 판매 부담으로 소폭의 하락세 형성
- 산낙지는 상품성이 우수한 녹동산이 반입되지 않고 중국산 물량 위주로 반입되어 약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