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12.11(화)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007.12.11(화)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 우리공사에서 제공하는 가격동향 및 표준가격은 자유로이 인용 · 전재 할 수 있으나, 출처는 반드시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농산물
가격지수 : 133.18 전일대비 -0.93
《 강세 요인 》
○ 잎, 열매 채소류와 버섯류는 출하량 감소, 재고확보 위한 매수세 증가로 강세
- 깻잎, 미나리, 시금치는 산지 우천으로 작업부진하면서 반입량 감소로 시세상승
- 취청오이, 느타리, 양송이버섯은 전일 재고소진, 중도매인 매수세 증가로 오름세
《 약세 요인 》
○ 뿌리, 양념, 서양 채소류와 서류는 반입량 증가와 우천으로 판매부진하면서 약세
- 무, 당근, 홍고추, 쪽파는 전일 시세영향으로 반입량 늘면서 구매력 저하로 내림세
- 피망, 셀러리, 치커리, 고구마는 우천으로 수요 감소, 재고 증가로 시세하락
◈ 고구마 감자류
가격지수 : 121.83 전일대비 -10.43
◇ 고구마 - 내림세
- 금일 53톤 출하되면서 전일대비 20% 반입량 감소.
- 고구마는 여주 43%, 대전 13%, 익산 12%, 논산 8% 등 반입.
- 밤고구마는 여주 500-20,500원, 대전 2,000-16,000원,
- 호박고구마는 여주 7,000-26,000원, 논산 3,000-23,500원
- 우천으로 판매부진하면서 전일 재고증가. 중도매인 매수세 약화
- 전일 소매상 및 납품업체 재고물량 확보로 주문 감소하면서 소비부진
- 금일 상품 평균 13,457원으로 전일대비 20% 하락하면서 내림세
◇ 감자 - 약보합세
- 금일 279톤 출하되면서 전일대비 5% 반입량 증가.
- 수미종 감자는 평창 18%, 인제 15%, 강릉 7%, 횡성 7% 등 반입
- 평창 2,000-25,500원, 인제 2,000-24,500원, 강릉 6,000-25,500원.
- 남부지방 이모작 감자 상품성 우수로 판매 활발하면서 특품은 강보합세
- 강원지역 저장감자는 전일 재고 늘면서 중도매인 구매력 저하
- 금일 상품 평균 24,528원으로 전일대비 6% 하락하면서 약보합세
◈ 잎채소류
가격지수 : 140.87 전일대비 1.54
◇ 시금치-약세
- 금일 반입량은 전자경매 기준 108톤으로 전일보다 9.5% 감소함
- 섬초 24톤, 육지초 8톤, 포항초 18톤, 4kg상자시금치 25톤, 단시금치 33톤 가량임
- 겨울철 수요 많은 섬초 소비 활발하고, 경기 일원 단시금치는 오름세 거래
- 전남 신안 비금도의 섬초는 파종 시기 잦은 비로 출하 시기가 지연되고,
-작황도 좋지 않아 물량이 부족해 예년보다 높은 가격(표준가격 대비 202%)을 보이고 있음
- 겨울철 소비 많아 당분간 강세 전망됨
◈ 열매채소류
가격지수 : 103.15 전일대비 2.97
◈ 뿌리채소류
가격지수 : 202.35 전일대비 -10.75
◈ 양념 채소류
가격지수 : 144.47 전일대비 -5.71
◇ 생고추-내림세
- 생고추 전체 반입량은 전자경매 기준 전일 보다 7.8% 감소한 102톤가량 반입
- 품종별로는 청양 42톤, 일반풋고추 32톤, 꽈리 14톤, 홍고추 6톤 반입
- 고단가에 대한 부담으로 소비 부진하여 중도매인 매기 약세를 보여 내림세 거래
- 청양에 비해 약세를 보이던 일반 풋고추 소비 증가하여 시세 상승함
- 경남 밀양과 진주지역 반입량 증가하고 있으며 12월 하순 이후 증가세가 두드러질 것으로 예상됨
- 그렇지만 전반적으로 물량 부족 현상이 지속될 것으로 보여 강세는 계속될 것임
◇ 양파 - 보합세
- 금일 582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2% 반입량 증가.
- 무안 50%, 함평 9%, 영천 6%, 해남 6%, 익산 4% 등 차지함
- 무안산 kg당 305-880원, 함평 280-642원, 영천 356-509원 거래.
- 남부지방 기상호전으로 저장양파 출하작업 활발하면서 반입량 증가
- 각급학교 기말고사 시험기간으로 급식수요 감소하면서 매수세 약화
- 금일 상품 평균 533원으로 전일수준의 보합세 거래
◇ 대파 - 약보합세
- 금일 268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15% 반입량 감소.
- 진도 54%, 신안 26%, 영광 10%, 부안 4%, 부산 3% 등 반입
- 진도 1,300-1,600원, 신안 1,400-1,800원, 영광 1,200-1,730원
- 남부지방 우천으로 산지 작업 부진하여 출하량 감소로 구매력 증가
- 전일 시세영향으로 출하주들의 시장 출하량 조절 심화
- 금일 중품 평균 1,458원으로 전일대비 7% 상승하면서 약보합세 거래
◈ 서양 채소류
가격지수 : 141.42 전일대비 -2.05
◇ 피망-내림세,파프리카-오름세
- 피망은 전자경매 기준 전일보다 3.1% 증가한 33톤 반입되었으며, 청피망 29톤, 홍피망 4톤 가량임.
- 전일 재고가 남아 있는데다 반입량도 증가해 내림세 거래됨.
-강원도 지역 출하가 계속되고 있으나, 상품성은 많이 떨어져,
-주 출하지인 진주와 나주보다 낮은 시세를 보이고 있음
- 파프리카는 전일보다 36.6% 감소한 19톤가량 반입되었고,
-빨강 7톤, 노랑 6톤, 주황 2톤, 청파프리카 4톤임.
- 반입량이 큰 폭으로 감소한데다, 외식 및 납품업체 주문량 증가로 오름세 거래
- 파프리카 역시 강원도 출하가 계속되고 있으며, 남부지방 물량도 본격 출하되고 있어,
-가격 변동폭은 크지 않을 전망.
◈ 버섯류
가격지수 : 104.23 전일대비 3.16
◇ 버섯류 - 오름세
- 산지는 작황 호전으로 재배량은 다소 증가했지만, 격일 작업으로 인해 금일 반입량은 전일대비 6% 감소한 179톤 반입
- 대형마트 납품 위주로 소비가 활발
- 하지만 막바지 김장철로 아직 버섯 매기가 크게 호전되지 않음
- 급식 납품이 많은 느타리와 양송이 위주로 오름세
◇ 표고 - 보합세
- 전일대비 22% 감소한 16톤 반입
- 충남 부여와 구룡지역의 고르지못한 일교차로 표고의 발육이 늦어지면서, 반입량 감소
- 충남 부여 41%, 서천 25%, 청양 14%, 경북 청도에서 11% 반입
- 생육조건에 좋지 않은 날씨로, 표고 상품성 다소 하락세
- 금일은 고품질의 표고 반입이 크게 감소하면서 특상품은 내림세를 형성했고, 중하품은 소폭 오름세 형성
- 4kg 평균 24,071원으로 전일대비 5% 하락
2. 수산물
가격지수 : 116.83 전일대비 -1.70
《 강세 요인 》
○ 백화점 등 대형유통업체의 세일행사로 생물 구매량 증가
- 고등어, 수입생태, 갈치, 생물 오징어, 굴은 대형 유통업체의 소비량 증가
- 냉태, 냉갈치, 삼치, 냉오징어 등 급식 수요 증가
《 약세 요인 》
○ 수입 및 냉동물량은 선도부진에 따른 소비부진
○ 활어류 대부분이 수입 및 양식이나 반입감소에도 매기부진으로 약세
○ 연말임에도 전문 요식업소의 영업부진으로 구매량 감소
◈ 생선류
가격지수 : 80.36 전일대비 -0.19
《 강세 요인 》
○ 고등어, 생태, 갈치, 삼치 강세
- 고등어는 29톤 반입으로 전일대비 4톤 감소하였으나 대형선망의 조업 양호로 부산산 대고등어의 반입이 증가하여 오름세에 거래. 중고등어는 백화점 등 대형 유통업체의 대량 거래가 증가하였고 소고등어도 재래시장의 거래량 증가로 오름세에 거래
- 일본산 생태는 반입량이 20톤으로 전일대비 5톤 감소, 전문 요식업체의 상품 물량 확보로 오름세였고 백화점등 대형 유통업체의 구매량도 증가
- 갈치는 22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2톤 증가. 제주산은 체장과 선도도 양호하나 반입량 증가로 내림세, 일본 수입산은 반입량 증가와 전문 요식업체의 물량 확보로 대포장은 오름세이나 5kg 소포장은 내림세.
- 삼치는 부산, 여수, 삼천포산 출하량이 늘어나면서 반입물량은 15톤으로 7톤 감소. 전일 미판매 물량과 대형 유통업체의 물량 확보로 거래량은 증가하엿으나 가격은 강보합세
《 약세 요인 》
○ 대구, 조기, 숭어류 약세
- 대구는 속초, 부산, 군산, 보령산이 주반입되었으나 반입량은 전일대비 3톤 감소한 18톤. 전문 요식업체의 수요가 많았고 재래시장 및 유통업체의 소비는 감소 추세로 전일대비 내림세였고. 소량씩 거래가 꾸준한 일본산과 중국산도 내림세
- 참조기는 제주도산 이외에 목포, 부산이 어획량 증가로 반입량이 증가 추세이며 지역, 체장에 따른 가격차이가 컸고 가격은 대품은 오름세에 중품은 내림세였고, 수입산은 매기부진으로 약보합세
- 숭어류는 제철을 맞아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나 군산, 여수, 주문진산 출하량이 크게 늘어나면서 약보합세
◈ 조개류 98.35 전일대비 -6.13
《 강세 요인 》
○ 홍합, 동죽, 해락 강세
- 홍합은 28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7톤 감소, 마산, 여수산이 주반입되었음. 다듬이 물량은 17,000원에 고정가격에 거래되었고, 일반물량도 반입량 감소로 전문 요식업소의 물량 확보량이 늘어 강보합세
- 동죽과 해락은 서산산이 주반입되었으나, 반입량 감소로 강보합세
《 약세 요인 》
○ 굴, 바지락, 새꼬막, 겉소라, 가무락 약세
- 굴은 26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4톤 감소. 잔굴은 고흥산이 주반입되었고, 중굴은 통영산이 주반입되었으나 일요일 언론매체를 통한 굴의 건강식품소개로 거래가 유통업체와 가정 수요는 증가하였으나 전문 요식업소의 수요는 가격이 높아 감소. 가격은 전일대비 약보합세
- 바지락은 17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2톤 증가. 국내산의 반입은 없었고, 수입산은 북한산만 반입되었음. 서해안 원유 유출 여파로 안면도산의 반입은 없었고 수입산인 북한산이 거래되었으나 전문 요식업체의 영업부진과 수입산의 선도 부진으로 내림세
- 새꼬막은 22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1톤 감소. 순천산으로 씨알이 굵고 선도도 양호하였으나 전일 미판매량 증가와 매기부진으로 약보합세
- 겉소라는 순천, 군산산으로 반입량 감소에도 상품성이 낮아 매기부진으로 약보합세
- 가무락은 중국산이 소량 반입되었으나 상품성이 낮고 중모시의 반입으로 거래가 부진하여 내림세
◈ 연체류 94.72 전일대비 -2.86
《강세 요인 》
○ 생물오징어, 주꾸미, 문어 강세
- 생물오징어는 21톤 반입으로 전일대비 5톤 감소. 동해안산 채낚기 물량이 주반입 되었고, 부산산도 소량 반입되었음. 반입량 감소에도 체장이 잘고 상품성이 낮은 물량의 반입으로 강보합세에 거래. 대형 유통업체의 대량거래가 꾸준하였음
- 주꾸미는 2톤 반입되었음. 국내산은 서천산이 소량 반입되었으나 씨알이 굵고 선도가 좋아 오름세, 수입산도 크기별로 고르게 반입되어 요식업소의 수요 증가로 오름세
- 문어는 포항 군산산이 소량 반입되었으나 상품성이 양호하여 전문 요식업소의 물량 확보로 오름세
《 약세 요인 》
○ 수입낙지, 미더덕, 오만둥이 약세
- 수입낙지는 9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3톤 감소, 선도가 좋고 크기별로 고르게 반입되어 등급간 가격차이는 작았으나 전일 미판매분과 고정 수요처의 구매량 감소로 내림세
- 미더덕은 냉동물량이 주반입되었음. 반입량 감소에 따른 가격 상승으로 전문 요식업소의 소비량이 감소하여 약보합세에 거래
- 오만둥이는 생물로 반입량은 증가추세, 미더덕의 대체품으로의 소비가 증가하였으나 반입량 증가로 내림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