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3.19(월)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007.3.19(월)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 우리공사에서 제공하는 가격동향 및 표준가격은 자유로이 인용 · 전재 할 수 있으나, 출처는 반드시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농산물
가격지수 : 97.64 전일대비 0.28
《강세 요인》
○ 온화한 주말 날씨로 소비량 증가하며 재고량 감소
- 외식업체 및 가정용 수요가 늘어났던 버섯류는 재고량 감소로 강세형성
- 출하지역이 한정된 양배추, 칼리플라워(제주도), 대파(진도)는 출하량 증가폭이 적어 강세
《약세 요인》
○ 지난주말 강세를 보였던 쌈채소류 외식업체 매수 시기 조절로 약보합세
- 케일, 적겨자채, 비타민, 쌈추등은 가격상승에 따른 매수량 감소로 하락세
- 단호박은 수입물량 증가로 하락세, 깐쪽파는 쪽파 반입증가로 수요분산되어 내림세
◈ 고구마 감자류
가격지수 : 113.67 전일대비 4.7
◇ 고구마 : 약보합세
- 전일대비 7% 증가한 38톤 반입. 주초 재고물량 확보로 매수세 증가
- 밤고구마는 경기 여주 16톤, 경북 영주 5톤, 전남 해남 5톤 등 반입
- 여주산 최고 26,000원, 영주산 8,000-20,000원, 해남산 9,000-17,500원 거래
- 호박고구마는 9톤 반입. 전북 익산 6톤, 충남 서산 2톤 등 반입
- 날씨가 따뜻해지면서 상품성 떨어져 서산산 4,000-30,000원으로 약보합세
◇ 감자 : 강보합세
- 금일 286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48% 증가. 산지 저장량 출하 조절로 물량 증가
- 수미종 감자는 전일대비 12% 증가한 101톤 반입. 평창 28톤, 화천 20톤,
- 밀양 18톤, 인제 11톤, 고령 9톤 등 반입, 주말 재고 소진으로 중매인 구매력 강화
- 상품 평균 20,000원으로 전일대비 14% 시세상승하면서 강보합세 거래
- 제주산 대지종 감자는 금일 183톤 반입. 주말 이틀 작업분 출하로 반입량 증가
- 주말 미판매분 재고가 많아 거래부진. 상품 평균 24,750원으로 보합세 거래
◈ 잎채소류
가격지수 : 100.47 전일대비 -1.11
◇배추 - 등급별 등락이 엇갈림
- 주초를 맞아 반입량이 크게 증가하였으나 가격은 등급별로 엇갈림
- 지난 주말 반입량이 적어 재고가 소진되어 중도매인 구매가 활발함
- 금일 반입량은 623톤으로 전일대비 89% 증가하였으며 해남 74%, 진도 16%, 무안 7%에서 출하됨
- 아직은 대부분 노지 출하나 저장배추가 소량 반입되고 있으나 다음주 이후 노지출하가 종료되고
저장배추가 거래를 주도할 할 것으로 보임
- 가격은 10kg그물망 기준 상품은 2,660원 7.5% 상승하였으나, 보통은 1,960원으로 8.8% 하락함
- 반입량이 많아 판매가 다소 부진하여 재고 일부 잔류 할 것으로 보임
◈ 열매채소류
가격지수 : 101.08 전일대비 -4.32
◇오이 - 내림세
- 주초를 맞아 반입량이 크게 증가하여 내림세
- 금일 오이 전체 반입량은 450톤으로 전일대비 96.7% 증가하였으며 올해 들어 가장 많은 물량이
출하됨
- 품종별로는 백다다기 314톤, 취청 135톤, 오이기타 2톤이었음
- 백다다기는 상주, 부여, 공주에서, 취청은 수례, 순천, 보성에서 출하됨
- 백다다기는 전년도 오이 시세가 좋아 충청지역의 재배면적이 증가하여 출하비중이 꾸준히 높아지는
추세임.
- 가격은 상품기준 백다다기(100개)는 34,250원으로 7.4% 하락하였고 취청은 39,000원으로 보합
◈ 뿌리채소류
가격지수 : 78.14 전일대비 3.05
◇무 - 보합세
- 주초를 맞아 물량 증가에도 소비가 원활해 보합세
- 금일 반입량은 673톤으로 전일대비 35% 증가하였으나 주초 물량으로 다소 적었음.
- 지역별로는 육지산과 제주산이 각각 20%, 80% 정도였음.
- 가격은 육지산은 흙무 1,200~2,100원, 세척무 3,200~3,300원, 제주산은 3,500~6,000원 선이었음
- 반입량이 꾸준한 가운데 매기가 조금씩 살아나고 있어 가겨 rdhfmatp가 지속되고 있음.
◈ 양념 채소류
가격지수 : 74.94 전일대비 0.31
◇ 양파 : 약보합세
- 전일대비 3% 감소한 642톤 반입. 소비둔화로 판매부진, 재고량 증가
- 전남 무안 352톤, 함평 82톤, 김천 30톤, 익산 26톤, 신안 25톤 등 반입
- 경북지역 96톤, 경남지역 28톤 등 기온상승에 따른 저장양파 출하 증가
- 상품 평균 534원으로 전일대비 2% 시세 상승하면서 보합세
◇ 대파 : 오름세
- 금일 312톤 반입(전일대비 4% 증가). 전남 영광, 충남 예산 지역 출하량 증가.
- 전남 진도산 192톤, 신안산 108톤, 영광 7톤, 예산 2톤 등 반입
- 주초 소비 수요가 일어나면서 재고 소진에 따른 중도매인 매수세 증가.
- 상품 평균 415원으로 전일대비 10% 시세 상승하면서 오름세 거래
◇ 쪽파 : 내림세
- 전일대비 30% 증가한 금일 52톤 반입. 육지산 흙쪽파, 제주산 깐쪽파 물량 증가
- 흙쪽파는 예산 7톤, 당진 4톤, 보성 2톤 반입. 예산지역 상품성 우수로
- 상품 평균 1,100원 전일대비 10% 시세 상승하면서 강보합세 거래
- 깐쪽파는 제주산 31톤, 당진산 3톤 반입. 지난 주말 우천으로 작업 연기된
- 이틀분 작업된 제주산 물량 증가로 상품 평균 16,000원에 거래되면서
- 전일대비 11% 시세 하락으로 내림세 형성
◈ 서양 채소류
가격지수 : 118.17 전일대비 -0.13
◇ 피망, 파프리카 - 약보합세
- 최근 강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금일은 반입량 증가와 함께 소폭 하락하는 양상임.
- 주출하지는 경남 진주와 전남 광주, 화순 등이며,
- 피망은 전일보다 3.3% 감소한 31톤(전자경매기준), 파프리카는 41% 증가한 11톤 반입됨.
- 청피망(10kg,상)은 전일보다 250원 하락한 52,250원, 홍피망은 1,,500원 하락한 63,000원,
- 빨강파프리카(5kg,상)는 2,500원 오른 26,000원, 오렌지파프리카는 1,000원 떨어진 25,500원에 거래됨.
◇ 양상추 - 보합세
- 반입물량이 크게 증가하였으나, 주초 수요 상승에 힘입어 보합세를 보임.
- 반입량은 전일보다 45% 증가한 72톤이며, 상품기준(8kg박스) 9,500원에 거래됨.
- 브로코리는 전일보다 500원 오른 19,000원에 거래되었으며, 셀러리는 250원 오른 5,250원에 거래됨.
◈ 버섯류
가격지수 : 81.74 전일대비 7.51
◇버섯류 - 오름세
- 주초 이틀치 물량으로 다소 적은 물량이 반입되어 오른 품목이 많음
- 금일 버섯 전체 반입량은 198톤으로 전일대비 11% 증가하는데 그침
- 느타리는 양평, 양주, 경기 광주시 등으로 대부분 경기지역에서 출하되었고 가격은 2kg상자 기준
상품 8,250원, 보통 4,500원으로 각각 6.5%, 5.9% 상승함
- 양송이는 보령, 당진, 금산 등 충청지역에서 출하되었고 가격은 2kg상자 기준 상품 10,000원,
7,000원으로 각각 8.1%, 12.1% 상승함
- 생표고는 보령, 당진, 천안 등 충청지역에서 출하되었고 가격은 4kg상자 상품 28,500원으로 3.6%
상승하였고 보통 17,500원으로 보합
2. 수산물
가격지수 : 97.07 전일대비 -0.59
《 강세 요인 》
○ 주초 장세을 맞아 유통업체 및 고정 수요처의 물량 확보량 증가
○ 어획부진에 따른 대형품의 반입감소로 오름세
- 급식수요가 많은 삼치, 수입조기,냉장갈치, 냉동오징어,새꼬막의 수요 증가
- 생물 어획부진으로 생물갈치,수입생태,국산조기, 수입낙지, 쭈꾸미 등의 요식업체 수요 증가
《 약세 요인 》
○ 생물 어획부진에 따른 수입 물량 증가
○ 선도부진으로 인한 생물의 내림세
- 고등어, 냉동갈치, 생물오징어의 내림세
◈ 생선류
가격지수 : 81.93 전일대비 -0.70
《 강세 요인 》
○ 반입물량 감소로 갈치, 생태, 조기, 삼치 오름세
- 갈치는 제주 및 일본산이 8톤 반입되어 주말대비 1톤 증가. 제주산은 어획부진으로 반입이 감소하여 일본산의 반입이 증가 추세이며 대형 유통업체 및 고정 수요처의 수요증가로 오름세
- 수입생태는 8톤 반입으로 주말대비 4톤 증가하였으나 주초장세로 요식업소 물량 구매 증가로 오름세
- 조기는 4톤 반입되었고 국내산은 목포산 대형품의 반입으로 오름세, 수입산은 주초 물량 확보량 증가로 강세
- 삼치는 고정 수요처인 급식업체의 물량 확보로 오름세
《 약세 요인 》
○ 상품성이 낮은 고등어와 임면수어는 내림세
- 고등어는 7톤 반입되어 주말대비 5톤 감소, 어획부진으로 생물 대고등어의 반입이 없어 중,소고등어가 소량 반입되었으나 선도부진으로 내림세. 대만 및 일본 수입산의 반입은 늘었으나 매기는 부진하였고 냉동물은 급식 수요증가로 거래량 증가.
- 임면수어는 체장이 작은 것의 반입이 늘면서 내림세
◈ 조개류 108.65 전일대비 +1.21
《 강세 요인 》
○ 반입량 감소로 새꼬막,바지락,홍합은 오름세였고 미판매 재고량도 소진
- 새꼬막은 6톤 반입되어 주말대비 8톤 감소. 순천산으로 출하 종료기 임에도 상품성이 좋고 급식 수요증가로 주말 미판매 물량이 완전 소진되어 오름세. 일본 수입산도 소량 반입되었음.
- 바지락은 11톤 반입되어 주말과 같음. 국내산은 군산산 망바지락이 소량 반입되어 17kg망대당 38,000-42,000원에 거래되었고 중국수입산은 20kg망대당 10,000-30,000원에 거래. 물량 비중이 많은 봉지바지락은 수요증가로 오름세, 깐바지락은 가격이 높게 형성되어 거래 부진으로 내림세. 주초장세로 고정수요처의 물량 확보로 거래량은 증가.
- 홍합은 마산, 여수산이 11톤 반입되어 주말대비 8톤 감소, 주소비처인 요식업소의 경기부진으로 거래량은 감소추세이나 반입량이 적은 소포장은 오름세, 대포장은 반입량 감소로 강세
《 약세 요인 》
○ 굴은 반입량 감소에도 매기부진, 키조개,대합,모시조개는 수요처 한정으로 약보합세
- 굴은 통영,고흥산이 5톤 반입되어 주말대비 5톤 감소, 산지 작업부진으로 반입량은 감소하였으나 주말 재고 물량 미소진으로 가격은 내림세. 가정 수요도 늘고 있으나 매기는 꾸준함
- 제철을 맞은 키조개는 반입은 증가하나 상등품은 산지 자체 소비로 반입이 드물었고 시장 반입품 대부분은 씨알이 잘아 낮은 가격 형성
- 대합은 국내산이 소량 반입되나 중국 수입산 반입 증가로 약세
- 모시조개는 목포산과 북한 수입산이 소량 반입되나 가격차이가 크고 수요처가 한정되어매기부진으로 내림세
◈ 연체류
가격지수 : 101.34 전일대비 -3.08
《 강세 요인 》
○ 반입물량 감소와 고정 수요처의 주초 물량 확보 증가로 오름세
- 수입낙지는 4톤 반입되어 주말대비 1톤 감소, 반입물량 감소로 강보합세였으나 대형 유통업체 및 전문 요식업체의 물량 확보 증가로 거래량 증가
- 주꾸미 전체 반입량은 1톤으로 주말대비 3톤 감소, 국내산은 서천, 보령, 군산산이 소량 반입되었으나 선호도가 높아 가격이 높게 형성되었고, 수입산도 반입량 감소로 강세에 거래
- 미더덕과 오만둥이는 산지 작업부진으로 반입량이 감소. 생물 반입 증가와 전문 요식업체의 주초 물량 확보로 오름세
- 우렁쉥이는 통영산으로 반입량은 증가하나 씨알이 잘아 가격이 낮았고 등급간 가격등락이 심하였으나 상등품은 강세
《 약세 요인 》
○ 물오징어는 출하지역 남하로 인한 상품성 저하로 내림세
- 물오징어는 5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1톤 감소, 출하지역이 부산, 통영과 제주지역으로 확산되었으나 반입품 대부분이 그물 어획품으로 선도와 살이 물러 상품성은 낮았음. 제주산에서 반입된 체낙기 물량은 높은 가격을 형성. 냉동 오징어는 급식 수요증가와 고정 수요처의 거래량 증가로 강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