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10.17(수)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007.10.17(수)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담당부서 전산정보팀
문의 0234350314
수정일 2007-10-17 09:46





※ 우리공사에서 제공하는 가격동향 및 표준가격은 자유로이 인용 · 전재 할 수 있으나, 출처는 반드시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농산물

가격지수 : 144.34 전일대비 2.17
《 강세 요인 》
○ 뿌리, 서양 채소류 및 서류는 반입량 감소와 매기 활발로 강세

- 강원도 지역 출하 막바지에 접어들어 물량 감소한 붉은고추, 양상추, 피망 등 강세 거래

- 무는 산지 출하량 감소하였고, 중,하품 가격이 큰 폭으로 상승함
《 약세 요인 》
○ 최근 높은 시세가 지속되고 있는 상추 등 잎 채소류 소비 부진하여 약세

- 주중장으로 접어들면서 쌈용 채소의 소비 감소하여 상추, 신선초, 깻잎 등 하락세

◈ 고구마 감자류
가격지수 : 108.77 전일대비 6.76
◇ 고구마 - 오름세
- 금일 87톤 출하되면서 전일 대비 1% 반입량 증가.
- 고구마는 여주 26%, 논산 22%, 서산 22%, 이천 6%, 보령 6% 등 반입.
- 밤고구마는 여주 1,000-19,000원, 논산 3,000-20,000원,
- 호박고구마는 서산 1,000-15,000원, 보령 2,500-12,500원
- 논산, 여주지역 밤고구마 출하량 감소. 전일 시세영향으로 산지출하량 조절
- 논산지역 세척 호박고구마 출하. 전일 재고소진으로 중도매인 매수세 증가
- 금일 중품 평균 8,140원으로 전일대비 21% 상승하면서 오름세
◇ 감자 - 약보합세
- 금일 209톤 출하되면서 전일대비 12% 반입량 감소.
- 수미종 감자는 평창 42%, 홍천 14%, 인제 10%, 정선 9% 등 반입
- 평창 1,000-20,000원, 홍천 2,500-18,500원, 인제 2,000-20,000원.
- 전일 시세영향으로 강원지역 출하량 감소. 중소형마트 및 소매상 주문 감소
- 각급학교 중간고사 기간으로 급식업체 주문 줄면서 중도매인 구매력 저하
- 금일 상품 평균 17,266원으로 전일대비 3% 상승하면서 약보합세

◈ 잎채소류
가격지수 : 176.12 전일대비 -8.01
◇ 배추-오름세
- 반입량이 소폭 감소하면서 오름세
- 금일 반입량은 850톤으로 전일대비 8.1% 감소하였으나 최근 일주일 평균 반입량이 840톤이었던


점을 감안하면 평일보다 많은 수준임
- 최근 배추 가격의 고공 행진이 어이지면서 예전 같으면 산지 폐기 되어야 할 물량이 작업되어


반입량은 꾸준한 편임
- 지역별로는 평창, 홍천, 영월 등지에서 출하되어 가을배추가 거래를 주도하고 있는 편이며 2기작은


꾸준히 감소한 추세임
- 가격은 최고가 11,200원으로 강릉에서 출하되었고 평균 가격은 6,900원으로 전일에 비해 340원


상승함
- 전일 소비가 주춤하였던 김치공장 등 외부 반출량이 금일은 20대(5톤트럭)가 넘어 시장 판매량이


적었음

◈ 열매채소류
가격지수 : 162.2 전일대비 6.55


◈ 뿌리채소류
가격지수 : 228.16 전일대비 24.97
◇ 무-오름세
- 반입량 증가에도 가격 오름세가 지속됨
- 전일 가격이 많이 오른 데다 기상여건이 호조를 보이면서 반입량은 전일대비 16.7% 증가한


517톤이 반입됨
- 출하지역은 홍천(58%), 평창(23%), 강릉(5%) 순이며 김제에서 다발무가 2대 반입됨
- 평균가격은 18,000원으로 전일에 비해 2,500원 가량 상승해 비교적 오름폭이 크게 나타났음
- 배추 가격의 강세로 대체수요가 증가하였고 가을철 각종 행사의 영향으로 요식업소 등의 소비량이


꾸준하였음
- 고단가로 저가품에 소비량이 집중되면서 상대적으로 중, 하품의 오름세가 크게 나타남

◈ 양념 채소류
가격지수 : 133.74 전일대비 4.27
◇ 생고추 - 오름세
- 생고추 전체 반입량은 전일 보다 5.3% 감소한 144톤가량 반입
- 품종별로는 청양 51톤, 일반풋고추 59톤, 꽈리 18톤, 홍고추 11톤 반입
- 지방 도매시장의 시세가 좋아 분산 출하로 시장 반입량 감소하여 오름세 거래
- 날씨가 선선해지면서 찌개류 소비 늘어 일반 풋고추(녹광)보다 청양고추 소비가 좋음
- 홍고추가 큰 폭 상승하였는데 이는 강원도 지역 출하 막바지로 물량 감소 때문임
- 금주는 출하지 이동 및 출하처 다변화되어 시장 반입량 감소할 것으로 보여 강보합세 지속 전망
◇ 양파 - 강보합세
- 금일 577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15% 반입량 감소.
- 무안 55%, 해남 18%, 함평 6%, 함양 5%, 익산 2% 등 차지함
- 무안산 kg당 250-554원, 해남 229-546원, 함평 408-525원 거래.
- 함평, 익산지역 전일 시세영향으로 출하량 조절하면서 반입량 감소
- 주중 중소형마트 및 일반 소매상 주문 늘면서 중도매인 매수세 증가.
- 금일 상품 평균 485원으로 전일대비 6% 상승하면서 강보합세 거래
◇ 대파 - 강보합세
- 금일 202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1% 반입량 감소.
- 경기 고양 17%, 구리 11%, 강원 평창 15%, 철원 8% 등 반입
- 고양 1,500-2,200원, 평창 1,600-2,680원, 구리 1,600-2,070원
- 강원지역 출하 종료기 도래로 고양, 구리 등 경기 북동부지역으로 산지이동
- 체육의 날 행사 주간 탓에 외식업체 및 음식점 수요 늘면서 거래 활발
- 단풍 관광객을 맞아 지방 주요 관광지 수요 증가로 지방 소매상 주문 증가.
- 금일 상품 평균 2,115원으로 전일대비 6% 상승하면서 강보합세 거래

◈ 서양 채소류
가격지수 : 178.26 전일대비 17.85
◇ 피망-오름세, 파프리카-내림세
- 금일 피망은 전자경매 기준 전일과 비슷한 32톤 반입
- 청피망 23톤, 홍피망 9톤 가량이며 외식 및 납품업체 소비 활발하여 오름세 거래
- 광주지역 출하 시기가 본격화 되었지만, 지방 분산 물량이 많아 반입량 증가세 주춤함
- 파프리카는 전일보다 12.1% 감소한 17톤가량 반입되었으며,
- 빨강 9톤, 노랑 7톤, 주황 2톤임.
- 반입량 소폭 감소하였으나, 피망으로의 대체 수요가 많아 하락세 거래
- 익일은 주중장으로 접어들어 외식업체 수요 감소할 것으로 보여 약보합세 전망
◇ 양상추-약보합세, 빨간양배추-내림세
- 금일 양상추(법인 반입량 기준)는 전일보다 28.6% 감소한 55톤 반입됨
- 잦은 비로 강원도 지역 작황이 좋지 않고, 당진, 예산 지역의 출하가 늦어져
-
예년보다 반입량 줄어 강세 거래되고 있어 표준가격 대비 210.7% 수준임
- 당진, 여주, 용인 지역 물량 차츰 증가하고 있으며
- 중국산 수입 물량이 종료된고 미국산이 거래되며 상품성 좋아 높은 시세에 거래됨
- 빨간 양배추의 고단가로 중국산 수입 물량 반입되어 하락세 거래
- 익일 주중장으로 양채류 수요 감소할 것으로 보여 약보합세 전망

◈ 버섯류
가격지수 : 106.71 전일대비 0.49


2. 수산물
가격지수 : 90.40 전일대비 -0.24
《 강세 요인 》
○ 가격하락으로 소비량 증가한 수입낙지, 수입주꾸미 오름세에 거래
《 약세 요인 》
○ 성어기로 산지 출하량 늘어났고 주중 수산물 소비는 둔화되어 하락세
- 반입물량 증가한 병어, 대구가 하락세 재고 증가한 물오징어 약세
- 주중 소비수요 둔화로 주문량 감소한 수입농어, 숭어류, 봉지바지락 약세

◈ 생선류
가격지수 : 76.23 전일대비 -1.15
《 강세 요인 》
○ 고등어, 생태, 부세, 수입꽁치, 은어 강세
- 고등어는 어군이 제주도 주변해역에서 형성되고 있으며 조업부진으로 부산산 생물 반입량이 줄어들어 반입량이 1톤 줄었음. 대형어는 상품성 저조로 소폭의 하락세를 보였으나 소형어는 반입량 감소로 상승세에 거래
- 생태는 일본산 반입량이 1톤 증가하였으나 냉동명태 반입이 부진하고 상하품가 상품성 차이가 나지 않아 오름세 형성
- 중국산 부세는 반입량이 현저히 감소하였고 일부 고정 요식업체 수요로 소폭의 오름세 - 수입꽁치는 일본산 반입량이 다소 감소하였으며 선도가 양호하여 외식업체 주문량이 꾸준함을 보이며 오름세
- 은어는 일본, 속초산이 반입량이 늘어났으며 일본산은 8kg상자로 거래되었고 속초산은 3kg상자로 거래되었음. 일본산이 체장이 커 속초산에 비해 단가가 높게 형성됨.
《 약세 요인 》
○ 갈치, 수입갈치, 참조기, 삼치, 대구, 병어, 숭어류 약세
- 갈치는 제주 주변 해역 어황호조로 반입량이 늘었으며 일본산 낚시 갈치 반입도 늘어 총 반입량이 전일에 비해 7톤 증가하였음. 반입량이 크게 늘어났고 소비수요는 주중에 접어들면서 둔화되어 약세
- 일본산 갈치는 국내산 갈치 반입증가와 전일 가격상승에 따른 소비부진으로 내림세
- 참조기는 제주산 반입량이 크게 증가하였고 전반적으로 씨알이 작아 내림세
- 삼치는 반입물량이 전일 수준을 보였으나 상․하품간 상품성 차이가 두드러졌음. 삼천포, 여수산이 강세를 보였으나 포항, 감포산은 체장이 작아 내림세 주도함.
- 대구는 포항, 보령산 출하량 증가로 반입물량이 전일대비 3톤 증가하였음. 전반적으로 상품성 양호하였으나 전문점 수요 감소에 따른 매수세 부진으로 내림세
- 병어는 목포, 삼천포산 출하량이 크게 늘어났으나 전일 반입량 감소로 시장내 매기는 활발하였음. 다만 늘어난 물량으로 인해 5kg상자가 내림세 형성함
- 숭어류는 여수, 서산, 부안, 군산산이 주로 출하되었으며 어획량 증가로 반입물량 전일에 비해 늘어났으며 소형어 비중이 높고 주중 횟감 수요 감소로 약세

◈ 조개류 107.85 전일대비 -0.20
《 강세 요인 》
○ 홍합 오름세
- 홍합은 21톤 반입되어 전일과 같음. 마산, 여수산이며 선도와 씨알이 굵은 다듬이 물량은 산지 출하 물량 조절로 강보합세, 일반 물량은 반입증가에도 수요 증가로 오름세
《 약세 요인 》
○ 바지락, 새꼬막, 굴, 겉소라, 해락, 모시조개, 겉동죽 약세
- 바지락은 12톤 반입되어 전일과 같음. 겉바지락은 태안(안면도), 인천, 군산산. 봉지바지락은 안면도산이었음. 겉바지락은 출하지역 확산과 반입량 증가로 내림세였으나 씨알과 선도는 좋은 편이었음. 봉지바지락도 주소비처인 칼국수 전문점 등 요식업소에서 주소비하고 있으나 전일 미판매분 누적으로 내림세
- 새꼬막은 14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3톤 증가. 순천산으로
주소비처인 전문 요식업체와 급식업체의 구매량 감소로 약보합세
- 굴은 15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2톤 감소, 중굴은 통영산, 잔굴은 사천, 마산산이 반입되었음. 잔굴은 소량으로 가격이 높아 수요가 한정되어 약보합세, 중굴은 전일 미판매분과 당일 반입량 누적으로 매기부진하여 약보합세
- 겉소라는 여수,서천산이 소량 반입, 포장단위가 일정치 않고 산지별, 등급간 차이가 컸고 수요처도 한정되어 매기부진으로 내림세
- 해락(깐동죽)은 서산산으로 소량 반입에도 매기부진으로 내림세
- 가무락(모시조개)은 목포산과 중국 수입산이 주반입, 목포산은 흑모시이며 전일 가격상승에 따른 부담으로 소폭 하락세, 중국산은 소량 반입에도 선도부진으로 내림세
- 겉동죽은 서산산으로 반입량 증가와 매기부진으로 내림세

◈ 연체류 89.00 전일대비 -1.29
《 강세 요인 》
○ 문어, 주꾸미, 오만둥이, 산낙지 강세
- 문어는 속초산으로 소문어의 반입이 없어 중문어 위주로 소량 반입되어 오름세
- 주꾸미는 4톤 반입되었고 국내산은 여수,군산산이 소량 반입됨, 선도와 크기에 따른 가격차이가 컸고 씨알이 작은 것은 가격이 낮았고 선도와 체장이 좋은 것은 강보합세, 수입산은 반입은 증가와 상품성 양호로 등급간 가격차이가 적어 오름세
- 오만둥이는 마산, 여수산으로 산지 출하 조절로 인한 반입량 감소와 고정수요처의 물량확보로 오름세
- 산낙지는 고흥산이며 소량 반입에 따른 요식업소의 물량확보로 강세

《 약세 요인 》

생물오징어, 미더덕, 수입냉장낙지 약세

- 생물오징어는 28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4톤 증가. 동해안산 채낙기 물량이 주반입되었고 선도와 체장이 크고 양호하나 반입량 증가로 내림세. 가격이 낮아 거래량은 증가 추세였고 급식업체의 납품 수요 및 백화점 등 대형유통업체의 구매량이 많았음
- 미더덕은 마산, 여수산으로 반입량은 전일 수준이나 전일 재고 물량 누적으로 매기부진하여 약보합세
- 수입냉장낙지는 중국산으로 14톤 반입되어 전일과 같음, 최근 가격이 높았음에도 전문요식업체와 대형 유통업체의 거래량 감소와 전일 미판매분 증가로 내림세

※ 활 꽃게 서산, 인천, 목포산이 18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6톤 증가, 3kg 톱밥포장으로 반입된 목포산은 씨알은 잘은 편이나 살이 차고 선도가 좋아 25,000-30,000원선에 거래. 그물망으로 반입된 물꽃게는 알이 찬 암꽃게는 오름세, 수꽃게는 강보합세였고 백화점 등 대형유통업체의 가격 할인 품목으로의 거래가 증가추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