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10.19(금)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007.10.19(금)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 우리공사에서 제공하는 가격동향 및 표준가격은 자유로이 인용 · 전재 할 수 있으나, 출처는 반드시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농산물
가격지수 : 141.05 전일대비 -0.77
《 강세 요인 》
○ 뿌리, 서양 채소류는 산지 출하량 감소, 주말 앞두고 납품업체 주문 증가로 강세
- 무는 잦은 우천으로 생육상태 불량하면서 반입량 감소, 전일 재고소진으로 시세 상승
- 홍피망, 양상추, 파프리카는 주말 외식업계 판매 대비한 납품업체 주문 증가로 오름세
《 약세 요인 》
○ 잎, 열매, 양념 채소류와 버섯류는 전일 재고증가, 기온하락에 따른 소비부진으로 약세
- 얼갈이배추, 미나리, 가시오이, 애호박은 기온이 내려가면서 소비부진으로 시세 하락
- 붉은고추, 대파, 쪽파는 연일 고가로 소비부진, 재고증가하면서 내림세
◈ 고구마 감자류
가격지수 : 109.72 전일대비 -0.45
◇ 고구마 - 내림세
- 금일 90톤 출하되면서 전일 대비 9% 반입량 증가.
- 고구마는 여주 32%, 서산 20%, 익산 13%, 보령 9% 등 반입.
- 밤고구마는 여주 2,000-18,000원, 익산 3,000-16,000원,
- 호박고구마는 서산 2,000-16,000원, 논산 2,500-18,000원
- 전일 시세상승으로 경기 여주 밤고구마 출하량 증가. 전일 고가로 판매부진
- 호박 고구마 재고증가. 주말 재고회피로 중도매인 구매력 저하
- 금일 중품 평균 7,706원으로 전일대비 10% 하락하면서 내림세
◇ 감자 - 강보합세
- 금일 228톤 출하되면서 전일대비 1% 반입량 감소.
- 수미종 감자는 평창 49%, 홍천 10%, 강릉 9%, 인제 12% 등 반입
- 평창 2,000-21,000원, 홍천 3,000-18,000원, 강릉 3,000-19,000원.
- 강원 정선, 횡성 지역 출하량 감소. 대형유통업체 세일행사 주문 증가
- 주중 재고소진으로 물량 확보 위한 중도매인 매수세 증가
- 금일 중품 평균 13,552원으로 전일대비 8% 상승하면서 강보합세
◈ 잎채소류
가격지수 : 173.06 전일대비 -1.46
◇ 상추-오름세
- 금일 상추 반입량 감소한 반면, 주말장 수요 증가로 오름세 거래
- 상추류 전체 58톤 가량 반입되었고, 적포기 42톤, 청상추 10톤, 적상추 5톤 가량임
- 이천, 광주, 용인과 충남 논산에서 주 출하되고 있으며, 강원 홍천에서 소량 출하됨
- 10월은 가을 파종 이후 생육 시기에 접어든 물량이 많아 출하량이 감소하기 시작하고,
- 현재 출하 물량도 잦은 비와 무더위로 생산량이 많지 않아 강세가 지속되고 있음
◈ 열매채소류
가격지수 : 145.95 전일대비 -7.81
◇ 오이-내림세
- 최근 고가와 날씨가 선선해지면서 소비 활동이 부진하여 하락세
- 금일 반입량은 백다다기 165톤, 취청 67톤, 기타 6톤 가량임
- 주출하지는 백다다기는 춘천, 연기, 부여, 평택, 안성 등이며,
- 취청은 여주, 천안, 진천, 안성, 나주에서 출하됨
- 백다다기(100개) 전체 평균 가격은 28,130원, 취청(10kg상자)은 17,130원을 형성함
◈ 뿌리채소류
가격지수 : 248.06 전일대비 15.11
◇ 무 - 오름세
- 산지 출하량이 감소하여 강세 지속됨
- 금일 반입량은 485톤 가량이며 홍천(44%), 평창(29%), 인제(6%), 정선(6%), 강릉(4%)에서 주로 출하됨
- 그외 예산, 당진, 전북, 고창 지역에서 첫출하 되었으나,
-홍천 지역에서 출하된 무가 상품성이 좋아 시세를 주도함
- 생육기 날씨 변동이 커지면서 상품성이 하락하는 추세이며,
-산지 출하 대기 물량이 적어 당분간 강세 지속 전망
◈ 양념 채소류
가격지수 : 124.23 전일대비 -7.72
◇ 양파 - 약보합세
- 금일 690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32% 반입량 증가.
- 무안 58%, 해남 14%, 함양 6%, 함평 4%, 신안 3% 등 차지함
- 무안산 kg당 281-525원, 해남 247-519원, 함양 394-520원 거래.
- 양파가격 전일 강보합세 보이면서 전남 신안, 경남 함양지역 출하량 증가
- 주말 판매부진 우려 중도매인 재고 회피로 구매력 저하. 요식업소 주문 증가
- 금일 상품 평균 486원으로 전일대비 3% 하락하면서 약보합세 거래
◇ 대파 - 내림세
- 금일 220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4% 반입량 증가.
- 경기 고양 15%, 평창 14%, 이천 9%, 철원 8%, 안성 7% 등 반입
- 고양 1,020-2,030원, 평창 1,200-2,550원, 이천 1,050-1,850원
- 금일 우천 예보되면서 전일 출하작업 활발로 경기, 강원지역 출하량 증가
- 주말 앞두고 판매부진 우려 중도매인 매수세 약화. 유통업체 및 급식업체 주문 감소.
- 금일 상품 평균 1,647원으로 전일대비 20% 하락하면서 내림세 거래
◇ 청양, 일반풋고추 - 오름세, 꽈리,홍고추 - 내림세
- 생고추 전체 반입량은 전일 보다 5.5% 감소한 138톤가량 반입
- 품종별로는 청양 51톤, 일반풋고추 48톤, 꽈리 20톤, 홍고추 13톤 반입
- 최근 시세가 좋아 강원도 지역의 막바지 출하가 계속되고 있으며,
-광주 지역 출하량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
- 광주, 대구 도매시장으로의 출하량이 많아 시장 반입량 감소하여 오름세 거래
- 일반 풋고추(녹광)와 청양고추는 소비가 원활하고, 홍고추는 고가로 매기 부진하여 하락세
- 익일 역시 출하지 이동 및 출하처 다변화로 시장 반입량 감소할 것으로 보여 강보합세 전망
◈ 서양 채소류
가격지수 : 200.78 전일대비 30.31
◇ 피망, 파프리카-내림세
- 금일 피망은 전자경매 기준 전일보다 23.3% 감소한 39톤 반입
- 광주, 나주지역 출하가 본격화 되었지만, 지방 분산 물량이 많아 반입량은 감소
- 청피망 32톤, 홍피망 8톤 가량이며, 청피망은 소비 부진하여 내림세였으며
- 금일 홍피망은 강원도 물량이 대부분으로 출하량 감소하여 강세 거래
- 파프리카는 전일보다 7.0% 감소한 16톤가량 반입되었으며,
- 빨강 8톤, 노랑 6톤, 주황 2톤임.
- 반입량 소폭 감소하였으나, 주중 외식업체 수요가 마무리 되고,
-주말전 수요가 일시 감소하여 하락세 거래
- 익일은 주말장으로 외식업체 등의 수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어 보합세 전망
◈ 버섯류
가격지수 : 109.71 전일대비 -3.6
◇ 버섯류 - 약보합세
- 산지 작황 호전과 동절기 재배지 증가로 전일 대비 17% 증가한 185톤 반입
- 버섯 장세 활성으로 중도매인 재고량 감소
- 기온하락과 야유회 행사 증가로 요식업체 및 유통업체 납품 활발
◇ 느타리 - 오름세
- 금주 좋은 시세가 꾸준히 형성되고, 주말 수요 대비 산지 작업 물량증가로 전일대비 57% 증가한 38톤 반입
- 경기 양평 23%, 경기 여주 21%, 전남 보성 18%, 충남 보령에서 15% 반입
- 주말에 기온이 뚝 떨어질 것으로 예상 됨에 따라, 주말 탕류 수요 증가로 요식업체 납품 활발
- 2kg 상품 평균 8,856원으로 전일대비 10% 가격 상승
2. 수산물
가격지수 : 90.45 전일대비 +1.56
《 강세 요인 》
○ 주말을 앞두고 수산물 소비량 증가 기대되는 가운데 반입물량 감소하여 강세
- 수입물량 감소한 중국산 냉장 낙지, 어황저조로 공급량 부족한 고등어 오름세
- 주말대비 수요 증가한 활 꽃게, 전문점 구매량 증가한 바지락, 아귀 강세
《 약세 요인 》
○ 국내산에 비해 상품성 저조한 중국산 쭈꾸미, 체장이 작은 삼치 내림세
◈ 생선류
가격지수 : 80.91 전일대비 +3.25
《 강세 요인 》
○ 고등어, 생태, 갈치, 부세, 대구, 병어, 감숭어, 전어 강세
- 고등어는 어황 저조로 생물 반입량이 줄어들었으며 특히 대형어 공급량이 부족하면서 상품이 다른 등급에 비해 가격 상승폭이 컸음. 국내산 고등어 가격 상승으로 일본산 냉장고등어 가격도 오름세에 거래
- 생태는 일본산 반입량이 4톤 줄어들었으며 주말대비 전문점 주문량은 늘어 상승세
- 갈치는 제주산 반입량이 다소 줄어들어 반입량이 전일대비 1톤 감소하였음. 상품성이 전일에 비해 양호하고 주말을 앞두고 수요 증가 기대감으로 상승세에 거래
- 일본산 냉장갈치는 반입량 감소하여 5kg상자 낚시갈치가 오름세에 거래되었으나 10kg망갈치는 상품성 저조로 약세 형성
- 중국산 부세는 수요에 비해 반입량 부족이 지속되었고 금일 물량이 선도가 뛰어나 강세
- 대구는 동해안 우천지속으로 먼 바다 조업이 어려워 군산산만 거래되었으며 반입량 감소로 오름세. 다만 1kg 죽변산은 체장이 작아 내림세
- 병어는 목포, 삼천포산이 산지 소비지로 출하되면서 반입량이 줄어들었음. 반입량 감소하였고 가정용 수요가 많은 4kg상자는 상승세, 10kg상자는 체장이 작아 약세
- 최근 가격하락으로 출하량 감소한 전어, 감숭어는 주말을 앞두고 횟감 수요 늘어나면서 강세
《 약세 요인 》
○ 삼치는 전일과 비슷한 반입량을 보였으나 전반적으로 선도가 떨어지고 소형어 위주로 거래되어 내림세
◈ 조개류 102.20 전일대비 +3.74
《 강세 요인 》
○ 바지락, 홍합, 깐동죽 강세
- 바지락은 10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2톤 감소. 전량 태안(안면도)산으로 겉바지락은 주말임에도 반입이 적고 상품성이 좋아 고정수요처의 물량확보량 증가로 오름폭이 컸고, 봉지바지락은 주소비처인 칼국수 전문점 등 요식업소에서 수요증가로 강세
- 홍합은 16톤 반입되었고 마산, 여수산이었음. 선도와 씨알이 굵은 다듬이 물량은 산지출하량 조절로 강보합세, 일반 물량도 반입감소로 오름세였고 주말 물량 확보량 증가
- 해락(깐동죽)은 서산산으로 소량 반입으로 오름세
《 약세 요인 》
○ 새꼬막, 굴, 겉소라, 모시조개, 겉동죽 약세
- 새꼬막은 15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1톤 증가. 순천산으로 기온하락으로 소포장 거래가 증가하고 있으나 주소비처는 일반가정 보다는 전문 요식업체와 급식업체로 전일대비 내림세
- 굴은 13톤 반입되어 전일과 같음, 중굴은 통영산이며 반입증가와 전일 미판매분 증가로 약세였고, 잔굴은 삼천포,남해,사천산이나 소량 반입과 가격이 높아 매기부진하여 내림세
- 겉소라는 여수,서천산이 소량 반입, 씨알이 잘아 거래부진으로 내림세
- 가무락(모시조개)은 목포산이 주반입, 흑모시이며 거래부진으로 내림세, 최근에는 가격이 높아 수요처가 전문 요식업체로 한정되었으나, 기온하락으로 일반 가정수요도 소분 작업한 소포장이 소량씩 거래됨
- 겉동죽은 서산산으로 반입량 증가에도 매기부진으로 약세
◈ 연체류 85.85 전일대비 +0.24
《 강세 요인 》
○ 생물오징어, 수입냉장낙지, 문어 강세
- 생물오징어는 21톤 반입되어 전일과 같음. 이번주 내내 동해안에 내림 비로 반입은 크게 늘지 않았으나 대부분 채낙기 물량이었음. 상품성이 좋고 주말을 맞아 전문 요식업체와 백화점 등 대형유통업체의 구매량 증가로 오름세
- 수입냉장낙지는 중국산으로 10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8톤 감소, 크기별로 고르게 반입되었고 선도도 좋아 전문요식업체와 대형 유통업체의 거래가 증가 추세이나 전일 미판매분 증가로 반입이 줄어 오름세
- 문어는 속초, 포항산으로 중,소문어가 소량 반입되어 오름세
《 약세 요인 》
○ 주꾸미, 미더덕과 오만둥이, 산낙지 약세
- 주꾸미는 3톤 반입되었고 국내산은 여수,서천산이 소량 반입됨, 씨알이 작은 서천산은 낮은 가격을감소에도 전일 미판매분 누적으로 하락세
- 미더덕와 오만둥이는 마산, 여수산으로 반입량 감소에도 매기부진으로 내림세
- 산낙지는 수입산이며 소량 반입에도 요식업소의 주문량 감소로 약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