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9.20(목)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007.9.20(목)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 우리공사에서 제공하는 가격동향 및 표준가격은 자유로이 인용 · 전재 할 수 있으나, 출처는 반드시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농산물
가격지수 : 111.61 전일대비 0.25
《 강세 요인 》
○ 잎, 양념 채소류는 전일 재고소진과 우천으로 산지 작업 부진하면서 반입량 감소로 강세
- 얼갈이배추, 시금치, 미나리는 납품업체 및 소매상 주문 증가로 시세상승
- 대파, 쪽파, 깐쪽파는 우천영향으로 경기, 강원지방 출하량 감소하면서 시세상승
《 약세 요인 》
○ 열매, 뿌리, 서양 채소류와 서류, 버섯류는 소비시장 우천으로 판매부진하여 약세
- 취청오이, 가시오이, 단호박, 무는 추석 연휴 앞두고 출하량 증가하면서 시세하락
- 피망, 파세리, 치커리, 팽이, 느타리버섯은 소매상 주문 감소로 매수세 약화
◈ 고구마 감자류
가격지수 : 89.84 전일대비 -5.55
◇ 고구마 - 내림세
- 금일 68톤 출하되면서 전일대비 32% 반입량 감소.
- 고구마는 여주 42%, 논산 19%, 이천 12%, 영주 9% 등 반입.
- 밤고구마는 여주 1,000-18,000원, 논산 1,000-17,000원,
- 호박고구마는 서산 1,000-12,000원, 영주 4,000-15,500원
- 태풍 간접영향으로 계속된 우천 때문에 소비시장 판매부진 재고증가
- 금일 중품 평균 7,164원으로 전일대비 11% 하락하면서 내림세
◇ 감자 - 약보합세
- 금일 255톤 출하되면서 전일대비 39% 반입량 증가.
- 수미종 감자는 평창 55%, 강릉 8%, 정선 7%, 횡성 5% 등 반입
- 평창 2,000-28,000원, 강릉 2,000-17,500원, 정선 2,000-16,000원.
- 강원지역 기상호조로 출하량 증가. 상품성 우수한 특상품 위주 거래활발
- 금일 상품 평균 17,855원으로 전일대비 8% 상승하면서 약보합세
◈ 잎채소류
가격지수 : 132.57 전일대비 9.63
◈ 열매채소류
가격지수 : 124.32 전일대비 -7.74
◈ 뿌리채소류
가격지수 : 106.08 전일대비 -19.6
◈ 양념 채소류
가격지수 : 120.33 전일대비 1.56
◇ 양파 - 보합세
- 금일 793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13% 반입량 증가.
- 무안 56%, 함평 10%, 해남 10%, 신안 7%, 경산 5% 등 차지함
- 무안산 kg당 138-547원, 함평 203-500원, 해남 245-489원 거래.
- 남부지방 기상이 좋아지면서 출하 작업 늘어 반입량 증가.
- 일반 소매상 및 납품업체의 추석용 구매주문 감소로 매수세 약화
- 금일 상품 평균 463원으로 전일대비 1% 하락하면서 보합세
◇ 대파 - 오름세
- 금일 230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6% 반입량 증가.
- 강원 평창 29%, 정선 7%, 경기 이천 16%, 안성 9% 등 반입
- 평창 1,100-1,750원, 이천 500-1,670원, 안성 850-1,500원
- 전일 소비시장 기상호조로 가정용 소비 활발하면서 재고소진.
- 금일 납품업체 및 일반소매상 주문 늘면서 중도매인 구매력 증가
- 금일 상품 평균 1,552원으로 전일대비 16% 상승하면서 오름세
◈ 서양 채소류
가격지수 : 98.46 전일대비 -14.6
◇ 피망, 파프리카 - 내림세
- 금일 피망은 전자경매 기준 전일보다 15.9% 감소한 44톤 반입
- 청피망 35톤, 홍피망 9톤이며 인제(33%), 춘천(13%), 평창(9%), 횡성(7%)에서 출하
- 청피망 전체 평균가는 19,880원, 홍피망 13,710원으로 각각 13.9% 하락, 2.4% 상승
- 파프리카는 전일보다 29.4% 증가한 27톤가량 반입됨
- 품종별로는 빨강 12톤, 노랑 11톤, 주황 2톤가량이며
- 출하 지역은 김제(36%), 함양(14%), 화성(11%), 춘천(6%), 강릉(5%) 등임
- 빨강파프리카는 14,980원, 노랑 12,710원, 주황 25,040원으로 내림세 거래
◇ 양상추 - 내림세, 브로코리 - 보합세
- 금일 양상추(법인 반입량 기준)는 전일보다 30% 증가한 83톤가량 반입됨
- 강원 횡성 30%, 춘천 30%, 미국 25%, 중국 11%의 분포를 보임
- 양상추 전체 평균은 5,690원으로 전일보다 26.8% 하락
- 브로코리는 전자경매 기준 9톤가량 반입되었으며,
- 평창(38%), 횡성(26%), 제천(16%), 중국(8%), 춘천(6%)에서 출하되며
- 브로코리 전체 평균은 19,300원으로 전일보다 1% 하락으로 보합세
- 추석 성수품 중심 시세 형성으로 양채류는 전반적으로 약세 전망
◈ 버섯류
가격지수 : 75.38 전일대비 -3.12
◇ 버섯류 - 약보합세
- 전일대비 6% 감소한 238톤 반입
- 태풍 위파의 영향으로 전국적으로 비가 내리면서 산지 작업이 부진하여 반입량 감소
- 전일 계속된 기습폭우로 장세 약세 형성
- 백화점 및 할인마트 납품 꾸준
◇ 표고 - 오름세
- 중부지방에 많은 비가 내리면서 표고 생육이 둔화되고 산지 작업이 부진해 전일대비 30% 감소한 39톤 반입
- 경기 용인 26%, 충남 청양 21%, 경기 양평 17%, 충남 천안에서 15% 반입
- 수요는 증가하는 추세인데 반입량이 큰 폭으로 감소하면서, 가격은 오름세 형성
- 우천으로 인해 품질이 떨어지는 중저품 물량이 증가하였고, 특상품의 비율이 감소하면서선물용으로 납품수요가 높은 특, 상품 위주로 오름세 형성
- 상품 4kg 평균 30,267원으로 전일대비 39% 가격 상승
2. 수산물
가격지수 : 93.59 전일대비 -0.72
《 강세 요인 》
○ 추석을 앞두고 제수용품 수요 증가하여 국내산 참조기, 수입부세 오름세
《 약세 요인 》
○ 산지 출하량 증가하였고 제수용품 제외 품목 매기부진으로 하락세
- 수입주꾸미, 물오징어, 수입낙지는 요식업체 추석 휴무로 주문량 감소하여 내림세
- 반입물량 증가한 고등어, 병어 시장내 재고 증가한 미더덕 약세
◈ 생선류
가격지수 : 76.17 전일대비 +0.95
《 강세 요인 》
○ 생태, 갈치, 참조기, 부세, 삼치 오름세
- 일본산 생태는 반입량이 3톤 감소하였고 추석을 앞두고 소비수요 늘어나면서 오름세
- 갈치는 제주 채낚기 조업이 부진하여 반입량이 줄어들었고 일본산 반입량도 감소하여 총 반입량은 전일대비 4톤 줄었음. 제주산은 공급량 부족으로 오름세를 보였고, 일본산 낚시갈치 역시 수요 꾸준으로 상승세에 거래
- 참조기는 제주 산지 조업 부진과 현지 지방 도매상 매수세가 유입되면서 시장내 출하량이 전일에 비해 크게 줄었고 추석을 앞두고 물량을 확보하려는 중도매인이 늘어 강세 형성
- 수입부세는 중국산 반입량이 늘어났으나 최근 공급량 부족으로 시장내 재고량이 줄어들었고 가정용 수요증가기대로 강세를 나타냄
- 삼치는 냉동 물량 출하가 늘어나면서 반입량 늘어났으나 생물 출하량은 감소하였음. 충무, 여수에서 주로 출하되었으며 최근 가격하락으로 소비량이 증가하여 오름세
《 약세 요인 》
○ 고등어, 일본산 꽁치, 병어, 가자미 내림세
- 고등어는 기상여건 개선으로 부산산 생물 출하량이 크게 늘어 반입량이 전일대비 8톤 증가하였음. 대형어는 반입되지 않고 전반적으로 체장이 작은 가운데 반입량 증가하면서 내림세를 나타냄
- 요식업체 소비량이 많은 일본산 꽁치는 주중 소비수요 둔화와 추석을 앞두고 소비성향이 제수용품 위주로 형성되어 하락세
- 병어는 목포, 충무산 출하량이 늘어났으며 판매가 수월한 중․소형어 위주로 거래되어 내림세에 거래.
- 가자미는 산지 소비량 늘어나면서 출하량 줄어들었으나 선도가 떨어져 약세
◈ 조개류 110.28 전일대비 +4.41
《 약세 요인 》
○ 고정 수요처의 구매량 감소로 깐바지락외에는 대부분 품목이 하락세
- 바지락은 11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1톤 증가. 겉바지락은 태안(안면도), 인천, 군산산. 봉지바지락은 안면도산이었음. 겉바지락은 반입량 증가로 내림세, 봉지바지락도 등급간 가격차이는 적었고 요식업체의 구매량 감소로 내림세. 깐바지락(바지락살)은 추석 성수품으로 반입량 감소와 추석 수요증가로 오름폭이 컸음
- 굴은 3톤 반입되어 전일과 같음, 통영산으로 반입량은 적은 편이나 전반적인 수요부진으로 가격은 보합세. 주소비처는 가정수요 보다는 전문 요식업소 및 급식 납품업체였음
- 새꼬막은 10톤 반입되어 전일과 같음. 순천산이며 추석 성수품이나 전문 요식업소의 구매량 감소로 매기부진하였고 가격도 내림세
- 소라는 서천(장항)산이 소량 반입되었으나 씨알이 작고 선도부진으로 매기가 부진하였고 수요처가 전문 요식업소로 한정되어 전일대비 내림세
- 홍합은 11톤 반입되어 전일과 같음. 마산, 여수산이며. 상품성이 좋은 다듬이 물량은 고정수요처의 물량확보 가격 변동이 없었고, 일반물량은 선도부진으로 거래가 줄면서 내림세
- 겉동죽과 해락(깐동죽)은 서산산이며 대체품인 바지락 가격하락으로 내림세
- 가무락(모시조개)은 목포산 흑모시가 소량 반입. 수요처 한정에 따른 매기부진으로 내림세
◈ 연체류 108.01 전일대비 -11.30
《 약세 요인 》
○ 전반적인 매기부진으로 전품목이 약세
- 생물오징어는 24톤 반입으로 전일대비 4톤 증가. 태풍으로 인한 기상 특보발효에도 서해안의 태안(안흥), 동해안의 속초,동해,울진산 채낚기 물량이 주반입되었고 부산은 그물오징어가 소량 반입되었으나 선도부진으로 낮은 가격에 거래. 대형유통업체의 구매량도 증가와 추석 수요는 증가하나 가격은 전일대비 내림세였고, 냉동오징어의 대체수요가 증가 추세
- 수입냉장낙지는 중국산으로 2톤 반입되어 전일과 같음, 반입량 감소에도 등급간 가격차이가 커 내림세였고 주소비처는 전문 요식업소였음
- 주꾸미는 국내산과 중국산이 반입되었으나 등급간 가격차이가 심했고 국내산은 상품성이 하락으로 낮은 가격에 거래
- 미더덕과 오만둥이는 마산산으로 반입량은 전일 수준. 전문 요식업소의 구매량 감소로 내림세
- 산낙지는 고흥산으로 소량 반입되어 가격은 높았으나 전문 요식업소의 구매량 감소로 약보합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