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4.4(금)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008.4.4(금)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 우리공사에서 제공하는 가격동향 및 표준가격은 자유로이 인용 · 전재 할 수 있으나, 출처는 반드시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농산물
가격지수 : 108.69 전일대비 1
《 강세 요인 》
○ 주말을 앞두고 요식업소의 물량 확보세가 강했고, 산지 출하량 적은 품목 위주 오름세
- 주말 외식 수요 증가로 소비 증가한 서양, 잎채소류 위주 상승하였고
- 감자는 햇품의 높은 가격으로 인해 저장 감자쪽으로 소비 몰려 오름세 거래
《 약세 요인 》
○ 완연한 봄이 다가오면서 제철 품목 위주 소비 진행으로 동절기 수요 많은 품목 하락세
- 시금치, 고구마, 근대 등의 하락폭이 컸음
◈ 고구마 감자류
가격지수 : 132.73 전일대비 6.25
◇ 감자 - 오름세
- 금일 반입량은 전자경매 기준 238톤으로 전일대비 27%가량 증가함
- 품종별로 수미 187톤, 대지 27톤, 미국산 수입 24톤 반입됨
- 수미는 김제, 평창, 남원 등에서 출하되고 있으며,
-햇품 가격이 높아 강원도 저장 감자 로 수요 집중되는 양상임
- 가격은 20kg상자 상품 기준 수미 45,200원으로 3% 상승하였으며,
- 대지는 34,450원으로 35% 오름
◈ 잎채소류
가격지수 : 105.58 전일대비 2.97
◇ 상추 - 오름세
- 상추 전체 반입량은 전자경매 기준 84톤으로 전일보다 큰 폭 감소
- 적포기 71톤, 청상추 9톤, 적상추 4톤, 기타 1톤 가량 반입됨
- 최근 낮과 밤의 일교차가 크고 날씨도 쌀쌀해 생육 저조로 출하량 감소함
- 대부분 경기 근교 일원에서 출하되고 있으며, 이천, 용인, 성남에서 주출하
- 내일은 물량 증가할 것으로 보이며, 소비도 주춤할 것으로 보여 내림세 전망
◈ 열매채소류
가격지수 : 107.81 전일대비 1.87
◈ 뿌리채소류
가격지수 : 129.52 전일대비 -1.28
◈ 양념 채소류
가격지수 : 108.99 전일대비 -0.34
◇ 생고추 - 내림세
- 생고추 전체 반입량은 전자경매 기준 111톤으로 전일 보다 8% 증가함
- 품종별로는 청양 46톤, 일반풋고추 38톤, 꽈리 17톤, 홍고추 7톤 가량임
- 주 출하지는 밀양, 진주, 창녕 등이며, 충남 부여, 예산에서도 소량 출하중
- 반입량 증가한데다, 소비도 부진하여 약세 거래됨
- 내일은 주말장 수요 소폭 증가할 것으로 보여 강보합세 전망
◈ 서양 채소류
가격지수 : 78.72 전일대비 4.33
◇ 피망 - 오름세, 파프리카 - 내림세
- 피망은 전자경매 기준 34톤 반입되어 전일 보다 23% 증가
- 청피망 25톤, 홍피망 9톤가량임.
- 최근 소비 부진으로 낮은 가격이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 금일 저가매수세 유입과 주말장을 앞두고 소비 증가하여 상승함
- 파프리카는 17톤가량 반입되어 전일 보다 31%가량 감소
- 빨강 7톤, 노랑 8톤, 주황 2톤가량이고, 익산, 화순, 김해에서 주 출하됨
- 전일 재고 미소진으로 중도매인 구매력 약화되어 내림세 거래
◈ 버섯류
가격지수 : 93.43 전일대비 -1.35
◇ 버섯류 : 약보합세
- 반입물량이 173톤으로 전일184톤의 94% 물량 반입.
- 버섯류는 전 품종별로 우수품은 시세하락폭이 적으나 매기부진으로 인한 하락폭이
증가함.
- 버섯류는 느타리버섯의 강세를 제외하고 주말 봄나들이 행사 등으로 약보합세를 보임.
. 느타리버섯은 소비자 소비는 꾸준하고 전일 재고소진에 따라 소폭 오름세를 형성.
느타리버섯은 우수상품과 중.하급상품의 가격차이가 크게 벌어짐.
. 표고는 원목 표고의 중.하품류가 증가하면서 소폭내림세를 형성.
. 팽이버섯은 물량이 청도, 음성에서 꾸준하게 반입되었으며 시세는 약보합세를 나타냄.
팽이버섯은 소비가 주춤하여 당분간 약보합세를 유지할 전망.
. 양송이도 소비가 주춤하여 약세를 보였으며,
. 새송이는 주말동안의 소비자의 봄나들이 행사로 도심지 소비가 감소되어 약보합세를
형성.
2. 수산물
가격지수 : 106.30 대비 -0.52
《 강세 요인 》
○ 반입량 감소 및 상품성 상승으로 인한 일부 품목 가격 강세
- 시장내 재고량 감소한 수입생태, 활넙치 강세
- 소비수요 증가 및 상품성 양호한 바지락, 미더덕 상승
《 약세 요인 》
○ 반입량 증가 및 전일 물량으로 시장내 재고량 증가로 고등어, 수입홍어, 문어, 쭈구미 가격 약세
◈ 생선류
가격지수 : 85.07 전일대비 -1.12
《 강세 요인 》
○ 아귀, 수입생태, 숭어, 넙치
- 아귀는 제주산 대형어 반입 및 상품성이 양호해 가격이 강세
- 수입생태는 반입량 및 시장내 재고량 감소로 매수세가 증가해 상승세
- 활넙치 자연산은 선도가 좋고 반입물량이 적어 강세
《 약세 요인 》
○ 고등어, 수입홍어
- 고등어는 대형선망 조업이 양호하여 생물 반입 물량이 전체적으로 증가하여 가격이 하락
- 수입홍어는 전일대비 반입물량 증가 및 소형어 반입으로 약세를 보임
□ 패류(조개류 및 연체류) : 금일 반입량 99톤 전일대비 5톤 감소
◈ 조개류 표준가격지수 : 105.91 전일대비 +1.62
○ 조개류 오름세 품목 : 동죽, 새꼬막, 바지락수입, 봉지바지락, (겉)바지락
- 동죽은 서산산이 주 반입. 가격은 대폭 오름세, 전일대비 상품 87.5% 상승(1㎏ 1,875원)
- 새꼬막은 12톤 반입 전일대비 1톤 증가. 전량 순천산이 주 반입. 7kg 하등품 가격은 오름세, 17kg그물망 중품 가격은 강보합세. ① 17kg망에 중품은 26,000원으로 8.3%상승, 상품 가격은 33,250원으로 3.6%하락. ② 7kg pp대 새꼬막 하품은 9,000원으로 38.5%상승, 중품은 11,750원으로 4.1%하락, 상품은 15,750원으로 1.6%하락.
- 바지락수입 8톤 반입 전일과 같음. 북한산과 중국산이 주 반입. 가격은 전일대비 내림세. 20kg 상품은 45,500원으로 전일대비 19.7%상승, 중품은 40,000원으로 31.18% 상승.
- 봉지바지락은 북한산과 중국산이 주 반입, 가격은 오름세, 상품은 5㎏상자에 상품은 16,000원으로 14.3%상승, 중품은 15,000원으로 15.4%상승
- (겉)바지락은 북한산이 주반입되고 안면도산과 벌교산이 소량 반입. 가격은 오름세. (겉)바지락 가격은 17kg망에 46,000원(43,000-49,000원)으로 전일대비 10.8%상승
○ 조개류 강보합세 품목 : 가무락(모시조개)
- 가무락(모시조개)은 중국산이 주 반입되고 목포산과 군산산이 반입. 가격은 강보합세, 중국산, 군산산, 목포산 20kg망에 상품은 90,000으로 5.9%상승. 중품은 군산산 50,000원으로 전일대비 5.3% 상승
○ 조개류 내림세 품목 : 굴
- 굴은 8톤 반입 전일대비 2톤 증가.삼천포, 남해, 충무산이 주 반입. 특품가격은 내림세, 중상품은 약보합세, 1kg에 특품 가격은 5,400원으로 14.3% 하락, 상품은 4,200원으로 8.7% 하락, 중품은 3,750원으로 2.6%하락
◈ 연체류 가격지수 : 106.89 전일대비 +1.62
○ 연체류 오름세 품목 : 물오징어(상품), 미더덕
- 물오징어 2톤 반입 전일대비 2톤 증가. 등급간 가격차이가 심한 체장이 큰 제주산 채낚기 상품 물량 소량 반입으로 상품 가격은 오름세, 중하품 가격은 내림세. 체장이 큰 제주산 채낚기 물오징어는 6㎏상자에 상품은38,000원으로 전일대비 26.7%상승. 부산산 중하품만 주 반입. 체장이 작은 부산산 트롤(그물망) 6㎏상자에 하등품은 11,000원으로 15.4%하락, 중품은 13,000원으로 7.1%하락.
- 미더덕 3톤 반입 전일대비 1톤 증가. 마산산이 주 반입. 가격은 오름세. 상품은 1㎏ 5,900원으로 전일대비 18%상승, 중품은 4,950원으로 전일대비 13.8%상승.
○ 연체류 강보합세 품목 : 냉오징어
- 냉오징어 8톤 반입 전일대비 22톤 감소. 부산산이 주 반입 가격은 보합세. 6㎏상자 냉동오징어는 부산산 근해산이 주 반입으로 상품 가격은 18,500원으로 전일대비 5.7%상승, 중품은 15,500원으로 5.1%상승. 8㎏ PAN 냉동오징어는 부산산이 주 반입 가격은 8㎏에 15,000원으로 3.4%상승
○ 연체류 내림세 품목 : 문어, 주꾸미, 물오징어(중품, 하품)
- 문어는 포항산 중문어는 1㎏ 4,400원으로 26.7%하락, 포항산 소문어는 7,800원, 포항산 선어 대문어는 5,800원으로 21.6%하락
- 주꾸미는 10톤 반입 전일대비 5톤 증가.주꾸미 철을 맞이하여 수요증가로 주꾸미 가격은 대폭 오름세. 살아있는 활쭈꾸미는 최상품은 중국산 활쭈꾸미로 1㎏에 10,000원.5㎏ 40,000원, 군산산 선어냉장 생물주꾸미 상품가격은 5㎏ 34,000원, 군산산 선어냉장 생물쭈꾸미 중품은 5㎏에 24,500원(15,000-34,000원)으로 전일대비 21% 하락
- 물오징어 2톤 반입 전일대비 2톤 증가. 등급간 가격차이가 심한 체장이 큰 제주산 채낚기 상품 물량 소량 반입으로 상품 가격은 오름세, 중하품 가격은 내림세. 체장이 큰 제주산 채낚기 물오징어는 6㎏상자에 상품은38,000원으로 전일대비 26.7%상승. 부산산 중하품만 주 반입. 체장이 작은 부산산 트롤(그물망) 6㎏상자에 하등품은 11,000원으로 15.4%하락, 중품은 13,000원으로 7.1%하락.
○ 연체류 약보합세품목 : 낙지수입
- 낙지수입은 9톤 반입 전일대비 3톤 증가.
□ 건어류 : 반입물량 금일 64톤 반입 전일대비 30톤 증가
◈ 건어류 가격지수 : 124.09 전일대비 -0.01
○ 건어류 보합세 품목 : 건멸치 건오징어, 건명태, 미역, 김
《 건어류 보합세 요인 》
- 건멸치는 37톤 반입 전일대비 23톤 증가. 가격은 보합세.
- 건오징어는 2톤 반입 전일대비 1톤 감소. 가격은 보합세
- 건명태는 4톤 반입 전일과 같음. 가격은 보합세
- 미역은 16톤 반입 전일대비 5톤 증가. 가격은 보합세
- 김은 16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5톤 증가. 가격은 보합세.